한국   대만   중국   일본 
모리사다 親王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모리사다 親王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 고타카쿠라인 에서 넘어옴)

고타카쿠라인 ( 天子攝官御影 ( 日本語版 ) )

모리사다 親王 (守貞親王)은 가마쿠라 時代 電氣의 皇族 이다. 太上法皇 ( 日本語版 ) 推尊 後의 인호(院?)은 고타카쿠라인 (後高倉院)이다. 本來 星氏는 至妙人노미야 (持明院宮)이며 出家 後의 法名은 敎祖 뉴도 親王 (行助入道親王)이다. 子息은 도요히吐 王 (後의 고호리카와 天皇) 等이 있다.

略歷 [ 編輯 ]

모리사다의 乳母는 헤이케 (平家)의 武裝으로 기요모리의 아들인 다이라노 圖謀모리(平知盛)의 情實(正室)인 支部쿄노 쓰步네(治部卿局)였다. 헤이케의 許諾으로 養育되었던 緣故로 駐에이 (?永) 2年( 1183年 ) 7月 헤이케가 首都를 버리고 西쪽으로 向할 때에도 安土쿠 天皇 (安?天皇)의 皇太子 (皇太子)로 待遇받아 天皇과 함께 사이고쿠 (西?)로 데려갔다.

段노우라 戰鬪 에서 헤이케가 滅亡할 때 救出되어 首都로 돌아왔지만, 水道에서는 이미 高토바 天皇 (後鳥羽天皇)이 卽位해 있었다. [1]

盆地 (文治) 5年( 1189年 )에 親王善하 (親王宣下)를 받고 겐큐 (建久) 2年( 1191年 )에 元服 (元服) ? 可觀 (加冠)을 行하였다. 後에 兆사이몬인(上西門院)의 柚子(猶子)가 되어 至妙人 모토이에(持明院基家)의 딸 ? 후지와라노 辰時(藤原陳子) [2] 를 妃로 삼고 至妙人 가(持明院家)와의 緣故가 있는 至妙人(持明院)을 고쇼(御所)로 하여 至妙人노미야(持明院宮)라 하였다.

겐큐 9年( 1198年 ) 正月 쓰値미카도 美치치카(土御門通親) 等에 依해 美치치카의 外孫子로 高토바 天皇의 아들인 쓰値미카도 天皇 (土御門天皇)이 다른 派閥을 누르는 形態로 擁立되어 卽位하였다. 이 무렵 『교쿠요』(玉葉) 겐큐 9年 正月 6日, 7日組에는 새로운 賃金 候補로 高토바 天皇의 兄인 니노미야(二宮) 卽 모리사다 親王과 산노미야(三宮) 卽 고레아키라 親王(惟明親王)의 이름이 擧論되고 있으며, 가마쿠라 幕府 (鎌倉幕府)가 어린 君主의 卽位에 難色을 표했다고 적고 있다. 또한 『엔쿄본(延慶本) 헤이케 이야기 (平家物語)』에는 僧侶 몬가쿠(文?)가 모리사다 親王의 擁立을 圖謀하여 幕府의 쇼군 (?軍) 미나모토盧 사네토모 (源?朝)에게도 接近하여 勸하였으나 實現되지 않았다고 記述하고 있다. 이러한 記錄들을 통해서 모리사다 等을 支持하는 班固토바 勢力은 조지 (正治) 元年( 1199年 ) 산자에몬 事件(三左衛門事件) 等을 거쳐 勢力을 잃었고, 調整은 幕府의 뒷배를 얻은 高토바 狀況을 頂點으로 하는 美치치카 等의 派閥이 勢力을 占하게 되었다고 보는 說도 있다. 兆겐 (承元) 4年( 1210年 )에는 쓰値미카도 天皇이 아버지 故土바인의 計劃에 따라 異腹 동생인 준토쿠 天皇 (順?天皇)에게 讓位하였다. 모리사다 親王은 겐랴쿠 (建?) 2年( 1212年 ) 3月에 出家하여 뉴도 親王(入道親王)이 되었다. 法名(法名)은 敎祖(行助)라 하였다. 王位가 高토바 系統으로 넘어가고, 自身의 王位 繼承 可能性은 稀薄해진 渦中에 不遇한 自身의 處地를 恨歎하여 出嫁를 決定한 것으로 傳하고 있다.

그러나 出嫁하고 8年 뒤인 兆큐 (承久) 3年( 1221年 ) 高토바 天皇이 幕府 打倒를 命하며 全國에 선지를 내림으로서 調整과 幕府의 軍事的 衝突인 兆큐의 난 (承久の?)이 일어났고, 敎祖의 運命도 한瞬間에 바뀌게 된다. 王位는 같은 해 4月 20日에 天皇이 된 준토쿠 天皇의 아들 街네나리 親王(?成親王, 메이지 時代에 주코 天皇으로 諡號가 追贈되었다)에게로 넘어갔지만, 亂이 鎭壓된 뒤 幕府는 主謀者로 指目된 高토바 狀況 및 그 系統의 王族들을 모조리 處分했다. 가네나리를 廢位시키는 同時에 高토바 ? 쓰値미카도 ? 준토쿠 歲 上王을 모조리 流配시켰으며, 故土바인의 다른 後孫들도 제各其 流配되거나 出家하여 僧廬가 되고, 神的降下되어 王族의 地位를 박탈당하기도 했다. 故土바인 系統의 王位 繼承을 認定하지 않는다는 方針이 定해진 것이다.

또한 敎祖의 동생으로 또 다른 뉴도 親王人 세이엔(聖円, 고레아키라 親王)의 막내아들 拘泥打카 王(?尊王)李 아직 出嫁하지 않고 있었기는 하지만, 組큐의 난 直前에 세이엔이 病으로 死亡하였기 때문에 拘泥打카가 卽位해도 인세이를 行할 後見人이 없어 候補에서 除外되었다. 때문에 王位 繼承 候補者는 敎祖의 셋째 아들인 도요히吐 王(茂仁王)밖에 남지 않게 되었다.

幕府는 卽時 도요히吐 王을 卽位시키고( 고호리카와 天皇 ) 空席이 된 治天의 軍 (治天の君) 자리에는 그 아버지인 敎條를 太上天皇(太上天皇)의 尊號를 바치고 法皇으로 받들어 인세이를 行하게 하였다. 卽位도 한 적 없고, 이미 出家하여 僧侶가 된 狀態였던 뉴도 親王을 끼고 太上天皇의 尊號를 바치고 治天으로 삼은 것은 이제까지 日本 歷史에서 先例가 없었던 奇怪한 措置였다. 그러나 故土바인 系統의 다른 宗親들이 모조리 一掃된 以上 다른 選擇肢는 없었다.

治天이 된 敎祖 뉴도 親王, 모리사다 親王은 組큐의 난 뒤 朝廷 內部의 混亂을 收拾하고 公務(公武) 關係의 融和에 實績을 남겼지만, 겨우 2年 만에 腫氣를 앓다 世上을 떠났다. 기타시라카와(北白河)에서 葬禮가 擧行되었고, 「高다카쿠라인」(後高倉院)이라는 원호(院?)를 追贈받았다. [3]

各州 [ 編輯 ]

  1. 『?鏡』?1「おどろの下」에는 高시라카와 法皇 (後白河法皇)李 모리사다 親王과 다카나리 親王(尊成親王, 高토바 天皇) 等을 불러서 곧 自身의 마음에 든 다카나리를 새로운 王으로 擁立하였다고 記述하고 있지만, 實際로 다카나리와 함께 불려간 것은 모리사다의 異腹 동생으로 首都에 머무르고 있었던 고레아키라 親王(惟明親王)으로 傳하고 있어서, 여기에 對해서는 『마스카加味』 著者에 依한 演出인지 아니면 單純한 錯誤였을 可能性도 否定할 수 없다.
  2. 모토이에의 아내로 辰時의 어머니에 該當하는 至妙人 사이쇼노 쓰步네(持明院宰相局)는 親王의 乳母였기 때문에 辰時는 유모자(乳母子)에 該當한다 또한 모토이에의 어머니인 兆사이몬인 이치조(上西門院一?)는 兆사이몬仁義 乳母였기 때문에, 兆사이몬因果 親王의 柚子 關係를 圖謀하고 周旋한 것도 至妙人 모토이에로 推定되고 있다(?我部愛「後高倉王家の政治的地位」).
  3. 『백련초』(百?抄) 조오(貞?) 2年 5月 14日組에는 「十四日、太上法皇崩御。後高倉院と?し奉る。北白河に葬ると云?」라고 되어 있다. 다만 기타시라카와 어디에서 葬禮가 이루어졌는가에 對해서는 詳細한 것이 알려져 있지 않다. 高다카쿠라仁義 陵寢은 現代에 이르기까지도 推定할 수가 없다(上野竹次?『山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