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고맹영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고맹영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고맹영 (高孟英, 1502年 ~ 1565年 11月 4日 )은 朝鮮 中期의 文臣, 官僚이다. 義兵將 고경명 의 아버지이고, 고인후 의 할아버지이며, 晉州城 戰鬪 에서 戰死한 고종후 의 할아버지이다. 本貫은 長興(長興)이고, 字는 領地(英之), 號는 河川(霞川) 또는 하헌(霞軒)이다. 그의 아버지 刑曹佐郞 고운(高雲) 또한 河川이라는 號를 使用하였다. 光州 出身.

生員(生員)을 거쳐 1540年 (中宗 35年) 別試 文科 에 丙科로 及第하여 官職에 올랐으나 이량 의 黨與가 되었다가, 이량 의 沒落 以後 反對派의 攻擊을 當하고 沒落, 流配되었다. 配所에서 死亡했으나 아들 고경명 , 孫子 고인후 , 고종후 壬辰倭亂 때 殉節하고도 20年이 지나 光海君 때 가서 아들 고경명 의 勳功과 孫子 고용후의 身元 上疏로 복작되었다. 科擧 及第 直後에는 行禮曹正郞으로 記注官을 겸하여 中宗實錄 의 編修官으로도 參與하였다. 뒤에 議政府 左議政 에 追贈되었다.

生涯 [ 編輯 ]

生涯 初盤 [ 編輯 ]

1502年 (燕山君 8) 全羅道 광주목 (光州牧) 油燈曲面(柳等谷面) 壓步村 (鴨保村)(現, 光州廣域市 南區 압촌동 )에서 태어났으나, 生日은 未詳이다. 曾祖父는 行忠佐衛副司直을 지내고 事後 增 通訓大夫 通禮院 左通禮(贈通訓大夫通禮院左通禮)에 追贈된 고상지(高尙志)이고 할아버지는 增 通政大夫 工曹參議(贈通政大夫工曹參議諱)에 追贈된 高自檢(高自儉)이며 아버지는 承義郞, 刑曹佐郞 兼 春秋館記注官을 지내고 事後 增 嘉善大夫 禮曹參判兼 同知義禁府事(贈嘉善大夫禮曹參判兼同知春秋館事)에 追贈된 孤雲이다. 어머니는 鑛山李氏(光山李氏)로 이호선(李好善)의 딸이다.

아버지 孤雲은 정암 조광조 와 親했다는 理由로 1519年 (中宗 14) 官職을 잃고 故鄕 光州 로 落鄕하여 故鄕에서 餘生을 보냈다. 아버지 孤雲은 그림도 잘 그렸는데 東文選에도 收錄되었고, 南畫風의 맹호도를 잘 그렸으며, 白額大虎度 等이 現傳한다. 그의 아버지 고운 亦是 雅號를 河川(霞川)이라는 雅號를 썼다. 아버지 孤雲의 本妻는 안만걸(安萬傑)의 딸인데, 後妻는 이호선(李好善)의 딸 鑛山이氏와 再婚하여 그를 얻었다. 그의 先代는 全羅南道 靈光郡 에 살았지만 할아버지 鼓子劍의 臺에 靈光에서 광산군 壓村마을로 移住해 왔다.

兄弟로는 고중영(高仲英), 고계영(高季英), 누이로는 박안세(朴安世)의 妻 葬擇高氏(長澤高氏) 等이 있었는데, 동생 고중영은 權臣 이량(李樑)李 自身을 도와주겠다는 請을 拒絶하고 도리어 이量을 꾸짖었다가 謀陷을 當해 全羅南道 珍島 로 流配됐다가 풀려났다. 以後 고중영은 官職을 斷念하고 光州 에 송設定(松雪亭)을 짓고 學問에 專念하며 一生을 보냈다.

生涯 中盤 [ 編輯 ]

生員(生員)에 合格하고 그 뒤 늦게 1540年 (中宗 35年) 別試 文科 에 丙科로 及第하였고, 奉列大夫(奉列大夫) 行 禮曹 正郞 (行禮曹正郞)으로 春秋館 記注官(記注官)을 겸하여 中宗實錄 의 編修에 參與하였다. 以後 弘文館(弘文館)에 올랐고, 1546年 (明宗 1) 禮曹佐郞이 되었다. 이듬해 7月 司憲府 監察 (司憲府監察)李 된 뒤, 1550年 5月 司憲府 地平(司憲府持平)李 되었으며 이때 兩司에서 진복창 一派를 論罪할 때 구수담·宋純·허자·이준경·이윤경 等을 함께 罪人을 斗頓했다며 攻擊하였으며 7月까지 繼續 구수담 等을 論劾하였다. 다음해 10月 28日 特旨(特旨)로 沃川郡守(沃川郡守)에 發令되었다.

以後 觀察使 이몽량(李夢亮) 等의 報告가 임금에게 傳達되어, 1553年 10月 23日 善政을 베푼 地方官을 施賞할 때 弊端을 除去하고 善政을 베풀었다 하여 王으로부터 褒賞을 받았다.

1558年 (明宗 13) 掌令이 되었다. 1558年 以後 掌令, 獻納, 집의 등 司憲府 司諫院 의 官職을 두루 歷任하였으며 司諫院사간이 되었다.

生涯 後半 [ 編輯 ]

1560年 2月 世子侍講院輔德(世子侍講院輔德)에 任命되었다. 그해 8月 世子侍講院輔德으로 있을 때 特別히 가자(加資)되고, 1561年 (明宗 16年) 2月 10日 江原道 觀察使 로 發令되었다. 그는 이량(李樑)과 政治的인 識見을 같이하며 恒常 이量의 黨與(黨與)로서 恒常 側近에 있고 싶어하였다.

그 뒤 明宗 윤원형 을 牽制할 目的으로 이량 을 拔擢, 이량 平安道 觀察使 에서 內職으로 들어오자, 그 또한 病을 핑계로 仕退하였다가 內職으로 들어왔다. 1560年 世子 侍講院 普德, 1561年 2月 10日 江原道 觀察使로 赴任했다가 이듬해 3月 8日 遞職되어 왔다. 1562年 通政大夫 中樞府 僉知 社, 同副承旨, 大司諫 等을 거쳐 그해 8月 弘文館 副提學 , 刑曹 參議 , 10月 兵曹 參議 , 11月 兵曹 참지 (參知) 等을 歷任하였다. 1563年 (明宗 18) 同副承旨 가 되었다가 折衝將軍 行 忠武衛 上護軍(折衝將軍行忠武衛上護軍)으로 前職되고, 다시 李朝 參議 , 好調 參議 等을 歷任하였다. 弘文館副提學 兼 知製敎에 이르렀다.

1563年 8月 이량 심의겸 기대항 의 彈劾을 받고 沒落하자 兩司에서 이량 의 黨與를 彈劾할 때, 고맹영度 流配시킬 것을 要請하였다. 그해 이량 , 윤백원 等이 失脚했지만 그는 어떤 理由인지 罷職되지 않았다. 그러나 以後 거듭 彈劾을 받다가 1565年 罷職당하고, 門外黜送令이 내려졌다가 다시 流配되었다. 1565年 (明宗 20) 司憲府 집의 홍인경 (洪仁慶) 等이 그에게는 큰 잘못이 없다며 極力 斗頓하여 고맹영(高孟英)과 이언충(李彦忠) 等은 가벼운 處罰을 받게 되었다. 이 일로 홍인경 等은 朝野의 原性을 받았다.

作品으로는 任實郡 孝子 박훈(朴薰) 墓碑文 等이 있다. 1565年 11月 4日 流配地(配所)에서 死亡하였으나 正確한 死亡 原因은 未詳이다.

事後 [ 編輯 ]

死後 屍身은 광주목(光州牧) 油燈曲面(柳等谷面 壓步村(鴨保村)(뒷날의 光州廣域市 南區 압촌동 )에 埋藏되고, 夫人의 墓所는 바로 뒤에 埋葬되었다. 墓所는 다시 光州廣域市 南區 대촌동 의 祠堂 追遠角 (追遠閣)과 高氏 三綱門 뒤便으로 옮겨졌다.

以後 壬辰倭亂 때 아들 고경명 , 孫子 고인후 가 戰死하고, 고종후 晉州城 에서 戰死했다. 그러나 그 뒤로도 그는 罪案에 올라 赦免復權되지 못했다. 1612年 (光海君 4) 孫子 고용후(高用厚)가 上疏를 올려 그의 아들 高敬命의 緣故로 고맹영의 官爵을 회복시켜 주기를 請하자, 吏曹와 光海君의 論議 끝에 이로 말미암아 追後에 官爵이 回復되었다. 그리고 뒤에는 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 左議政 兼 영 競演 社 世子府로 追贈되었다.

아들 高言明(高彦命)의 庶女는 水軍節度使 兵馬節度使 를 지낸 이경유 의 妾이 되었다. 이경유 효령대군 이보의 7代孫으로, 壬辰倭亂 當時 朝鮮軍 指揮官의 한사람인 이경록 의 동생이다.

家族 關係 [ 編輯 ]

  • 아버지 : 고운((高雲, 1479年 ~ 1530年)
  • 어머니 : 鑛山李氏(光山李氏), 이호선(李好善)의 딸
    • 동생 : 고중영(高仲英)
    • 동생 : 고계영(高季英)
    • 누이 : 葬擇高氏(長澤高氏)
    • 妹夫 : 박안세(朴安世)
  • 否認 : 徐氏(徐氏, ? ~ ?年 10月 14日 ), 眞사 서걸(徐傑)의 딸
    • 아들 : 고경명 (高敬命, 1533 ~ 1592)
    • 며느리 : 김백균 의 딸
    • 아들 : 고경훈(高敬訓)
    • 아들 : 高經綸(高敬倫)
    • 아들 : 고경신(高敬身)
    • 아들 : 고경형(高敬兄)
    • 아들 : 高言明(高彦命)

같이 보기 [ 編輯 ]

參考 文獻 [ 編輯 ]

  • 中宗實錄
  • 明宗實錄
  • 宣祖實錄
  • 光海君日記
  • 國朝榜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