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轉役 (1941年~1942年)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필리핀 轉役
太平洋 戰爭 의 一部

죽음의 바탄 行進 (1942年)
날짜 1941年 12月 8日 ~ 1943年
場所
結果 日本 의 決定的 勝利
日本의 필리핀 陷落
交戰國
일본 제국 日本 帝國
指揮官
일본 제국 魂馬 마사하루
兵力
約 151,000 [1] 129,435 [2]
被害 規模
146,000
戰死 25,000名
史上 21,000名, 10萬名 砲로 [3]
22,500
戰死 7,000名
史上 13,200名, 500名 失踪

1941年~1942年 필리핀 轉役 에 對해 說明한다.

필리핀 全域의 狀態 [ 編輯 ]

필리핀은 對蘇 7,100個의 섬이 南北으로 1,100마일, 東西로 700마일 넓이에 廣範圍하게 分散되어 있는 島嶼國(島嶼國)이며, 1898年 美國-스페인 戰爭 結果 美國 植民地 가 된 後 美國의 極東根據地가 되어왔다. 그러나 美國은 필리핀을 統治함에 있어 可能한 限 많은 自治를 許容하였고, 追後 독립시키기로 決定한 바가 있다. 그래서 新生 필리핀의 軍事力 建設을 위해, 더글러스 맥아더 將軍이 1935年부터 軍事顧問으로 勤務하고 있었다. 맥아더 將軍은 1937年 美 陸軍에서 退役하였으나, 日本과 美國間의 關係가 漸次 惡化되어가고, 將次 日本軍의 侵攻이 美軍 首腦部에서 豫想되자, 1941年 秒에 現役으로 再召集되었다. 그리고 美國은 필리핀 防衛軍을 美軍으로 편입시켜, 그 해 6月 26日에는 맥아더 麾下에 美國 極東 陸軍 (USAFFE; United States Army Forces in the Far Easts)을 創設하였다.

當時 필리핀의 總兵力은 約 13萬이었으며, 그 中 美軍은 13,500名이었다. 航空機는 277臺가 있었으나 戰鬪 可能한 것은 142代에 不過했고, 海軍 亦是 보잘 것 없었다. 美國 本土로부터는 새로 2萬餘名의 兵力과 50萬 톤의 補給品이 到着할 豫定이었지만, 日本軍의 侵攻이 먼저 開始되었다.

무지개 計劃 (Plan Rainbow) [ 編輯 ]

더글러스 맥아더 將軍은 日本軍의 侵攻이 開始된 直後 迅速히 무지개 計劃이라는 이름의 防禦 計劃을 樹立하였는데, 그 防禦 計劃은 아래와 같다.

무지개 計劃의 中心 內容 [ 編輯 ]

  1. 增援軍이 到着할 때까지 可能한 限 長期間 루손섬 을 防禦한다.
  2. 루손섬의 防禦線이 突破當할 境遇, 바탄半島 로 撤收하여 마닐라灣 을 結社 確保함으로써 增援軍 上陸의 발板을 마련한다.
  3. 4~6個月 間 遲延戰으로 樣相을 이끌어내고, 增援軍이 上陸하면 反擊을 取한다.

맥아더는 位 防禦計劃대로 1941年 1月부터 마닐라灣 入口에 4個 圖書를 要塞化 시켰으나, 이 作戰 槪念은 海軍에 依하여 普及이 繼續 維持된다는 前提 下에 樹立된 것이었다. 필리핀은 地下資源이 豐富하긴 하나 國內에 重工業이나 軍需工業이 全無할 뿐만 아니라, 油類度 全的으로 美國 本土로부터의 普及에 依存해야 했기 때문이다. 맥아더는 麾下兵力을 北部 루손部隊(웨인라이트)와 南部 루손部隊(파커), 그리고 맥아더 自身이 直接 掌握하는 美極東軍 豫備隊로 編成하여 防禦에 臨하였다.

한便 필리핀에 侵攻한 日本軍은 魂馬 마사하루 中將이 指揮하는 第14軍 隸下 2個 師團과 1個 旅團이었으며, 第3艦隊 및 第2艦隊의 一部, 그리고 臺灣에 基地를 둔 第5航空集團(航空機 500餘臺)李 支援하였다. 日本軍의 攻擊 計劃은 다음과 같이 4個 段階로 되어 있었다.

日本軍의 필리핀 占領 計劃 [ 編輯 ]

  1. 美 極東空軍을 擊破하고 制空權을 掌握한다.
  2. 필리핀을 孤立化시키기 위하여 웨이크 및 괌섬 占領으로 하와이 와의 連結을 끊고, 민다나오섬 다바오 를 占領하여 南部兵站線도 遮斷한다.
  3. 루손섬 의 南北團에 朝貢部隊를 上陸시켜 美軍 主力을 誘引하고, 住公은 東西 海岸에 上陸하여 마닐라 를 挾攻 占領한다.
  4. 殘餘 地域을 占領하고 地上軍을 掃蕩한다.

日本軍의 侵攻 開始 [ 編輯 ]

日本軍은 12月 8日 , 眞珠灣 과 말라야 攻擊과 同一한 날에 侵攻을 開始하였다. 日本軍 航空機들은 루손섬 의 飛行場과 重要基地에 組織的인 爆擊을 加하여, 航空機를 分散시킬 飛行場과 早期警報網 및 對空砲 가 不足한 美 航空力에 大損失을 입혔다.

12月 10日 에는 北部 루손의 아파리(Apari)와 비간(Vigan)에 兆工夫代價 上陸하여 飛行場 建設에 着手하였으며, 12日에는 南部 루손의 레가스피(Legaspi)에 亦是 組工夫代價 上陸하였다. 그러나 맥아더는 朝貢에 기만당하지 않고, 將次 豫想되는 住公에 對備하였다.

12月 18日 부터 日本軍은 當初 計劃대로 空軍을 利用하여 루손 基地에서 作戰을 開始하였다. 이에 따라 制空權을 確固히 하게 되었고, 12月 23日 새벽 西海岸의 링가옌(Lingayen)만에, 24日에는 東海岸의 라몬(Lamon)만에 各各 主攻部隊가 上陸하였다. 이 두 主攻部隊는 上陸하자마자 猛烈히 마닐라 를 向한 進擊에 들어갔다.

맥아더는 1番째 計劃이 失敗했음을 깨닫고, 迅速히 2番째 計劃인 바탄으로의 撤收를 始作했다. 空軍力과 機動力이 不足한 現 狀況에서 日本軍과의 正面 對決은 無謀한 짓이었기에, 맥아더는 山岳과 密林으로 뒤덮인 바탄의 天然 地形을 利用하여 遲延戰을 展開함으로써 마닐라灣을 結社 確保하여 增援軍을 上陸시킬 수 있도록 하기로 決心하였다.

그런데 南部 루손部隊의 바탄 撤收를 위해서는, 北部 루손部隊의 成功的인 遲延作戰이 있어야 했고, 北部 루손部隊에 依한 팜팡가 江 의 橋梁 確保 與否가 곧 成功의 열쇠였다. 이리하여 北部 루손部隊는 D-1線으로부터 D-5線에 이르는 5個의 沮止線에서 段階的으로 遲延戰을 펴기 始作했고, 그 동안에 南部 루손部隊는 決死的인 强行軍을 實施하여, 마침내 1942年 1月 2日 無事히 江을 건너 바탄으로 撤收했다. 日本軍은 같은 날 마닐라 에 無血 入城하였다.

美軍은 바탄 半島 內에 週 陣地를 나티브 산 一帶에, 豫備陣地를 사마트 산 一帶에 構築하였고, 日本軍의 後方 浸透에 對備하여 海岸防禦 진지도 準備하였다.

日本軍은 美軍의 바탄 撤收를 全혀 豫測하지 못하였고, 마닐라를 占領함으로써 필리핀 全域이 終了되리라 豫測하고 있었기 때문에, 홈마 軍의 主力인 第4師團을 마닐라 占領 直後 자바 方面으로 이동시켰다. 따라서, 日本軍은 第16師團 一部와 第65獨立混成旅團만으로 바탄의 美軍을 擊破하여야 했다.

한便 바탄 半도 內의 美-필리핀軍은 15,000名의 美軍을 包含하여 約 80,000名 程度가 있었으나, 食糧과 醫藥品이 매우 不足하였고, 詐欺 亦是 크게 低下되어 있었다. 數的으로 劣勢였지만 完全히 主導權을 掌握한 日本軍은 1月 9日부터 週 陣地에 對하여 攻勢를 始作하였다, 그러나, 美軍의 抵抗은 日本軍의 豫想 外로 頑强하여, 日本軍은 1月 21日에야 겨우 西部 海岸 쪽으로 突破할 수 있었다. 그러나 美軍은 秩序整然하게 後退하여, 26日까지 豫備陣地로 安全하게 撤收하였다.

千辛萬苦 끝에 主陣地는 突破하였으나, 現存 病歷만으로 바탄의 美軍을 殲滅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느낀 魂馬 將軍 은 長期間의 包圍로써 美軍을 굴복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大本營에서는 國內 輿論과 戰爭 全般에 걸친 計劃上의 蹉跌을 念慮하여, 홈마 將軍에게 早期 占領을 繼續해서 要求하였다. 그리하여 정글을 通한 浸透와 海岸을 통한 迂廻를 數次例 試圖하였으나, 日本軍은 번번히 退敗하고 말았다.

바탄 防禦線의 崩壞 [ 編輯 ]

그러나 美國-필리핀 聯合軍의 事情은 繼續해서 惡化되어, 定量의 1/2였던 配食은 1/3으로 줄었고, 나중엔 말과 나귀까지 잡아먹을 程度가 되었다. 大部分의 將兵들은 營養失調 神經衰弱 에 허덕였고, 精神錯亂 症勢를 보이며 戰友를 죽이거나 自殺을 하는 境遇도 있었다. 그러는 동안 더글라스 맥아더 將軍은 南西太平洋 地域 司令官으로 任命되어, 3月 11日 오스트레일리아 로 脫出하였으며, 北部 루손群 의 指揮官 웨인라이트 中將 이 그 뒤를 이었다.

日本軍의 兵力은 갈수록 增强되었고, 步兵 3萬 名, 抛 200餘 文, 戰車 50餘 臺, 航空機 100臺를 바탄 섬 에 집중시켰다. 그리고 3月 31日 , 日本軍의 總攻勢가 始作되었다.

4月 3日 , 組織的인 砲擊과 突破에 依해 美軍陣地의 禹(右)中央部가 崩壞되기 始作했고, 4月 9日 에는 마침내 半도 內의 美-필리핀軍 約 54,000名이 投降하였다. 그러나 北部 루손 部隊의 指揮官이었던 웨인라이트 中將 코레히도르섬 으로 撤收하여 한 달을 더 버틴 끝에, 5月 6日 日本軍의 코레히도르 上陸으로 日本軍의 捕虜가 되었다.

이로써 日本軍은 필리핀을 手中에 넣게 되었고, 次期 作戰을 위한 前進 基地를 獲得하였으나, 필리핀 全域에서 입은 人的 및 物的, 時間的 損失은 뉴기니 와 솔로몬 方面에 對한 日本의 侵攻 計劃에 致命的인 打擊을 입혔다. 結果的으로, 美軍은 필리핀을 喪失한 代價로 5個月이라는 時間을 얻었으며, 이 時間的 餘裕는 反擊 準備에 必要한 키포인트였다는 것이, 前後에 밝혀지게 되었다.

時間順序別 要約 [ 編輯 ]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認容 [ 編輯 ]

  1. The Fall of the Philippines Archived 2012年 2月 17日 - 웨이백 머신 p. 18. The Philippine Army totalled 120,000 and the Army of the United States 31,000.
  2. Reports of General MacArthur Archived 2012年 9月 30日 - 웨이백 머신 Order of Battle plate. The total includes all elements of divisions assigned to the 14th Army at some point in the campaign, and replacements. The maximum strength of Japanese ground forces was approx. 100,000. The total does not include 12000+ Army air force personnel, whose totals were drastically reduced after 1 January 1942.
  3. Life Magazine gives a total of 36,583 US/Filipino troops captured 9 April 1942

參考 資料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