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正月 大보름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正月 大보름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正月 大보름
正月 大보름에 달집태우기 를 準備中인 風物놀이 - 南山 國立劇場
公式이름 正月 大보름 (Jeong-Wol Dae-Bo-Reum)
다른이름 大보름
場所 韓國
形態 傳統 文化 行事
重要度 農事 始作일
날짜 陰曆 1月 15日
2023年 2月 5日 (일)
2024年 2月 24日 (土)
2025年 2月 12日 (水)
2026年 3月 3日 (火)
祝祭 달맞이 , 달집태우기 , 더위팔기
行事 부럼깨기 , 五穀밥 , 귀밝이술
關聯 元宵節

正月 大보름 (正月 大보름) 또는 大보름 陰曆 1月 15日 로, 오기일 (烏忌日)이라고도 하며, 漢字語로는 ' 上院 (上元)'이라고 한다. '上院'은 道敎 敵人 名稱으로, 三元 ( 上院 , 中院 , 下院 ) 中 첫 番째이다. 陰曆으로 설날이 지나고, 한해 첫 보름달 이 뜨는 날이다. [1] [2] 大보름 前날인 陰曆 14日과 當日에는 여러 곳에서 새해의 運數에 關한 여러 風習들을 行한다.

정월은 한해를 처음 始作하는 달로서 그 해를 設計하는 달이다. 1月 15日 人 大보름날에는 點을 친다. 또 律曆서 에 "정월은 天地인 三者가 合一하고 사람을 받들어 일을 이루며, 모든 部族이 하늘 의 뜻에 따라 和合하는 달"이라고 說明된다.

韓國의 風習 [ 編輯 ]

韓國에서는 달은 陰에 該當하여 女性으로 본다. 달은 女神, 땅으로 表象되며 女神은 萬物을 낳는 지모신으로 出産하는 힘을 가졌다고 여겼다. 달은 풍요로움의 象徵이었다. 韓國에서는 大보름을 설과 같은 重要한 名節로 여겼다. 地方마다 差異가 있지만 大槪 大보름날 子正을 前後로 마을의 平安을 비는 마을 祭祀를 지냈다. 全南 海南의 도둑잡이굿, 全南 莞島 場보고堂祭, 全南 寶城 筏橋갯制, 世宗特別自治市 全義장승祭, 全北 高敞 五거리堂山第, 慶北 安東 倒産否認堂祭, 慶北 安東 馬鈴洞別神祭, 江原道 三千 억던 男根祭, 全北 金堤 馬蚿堂祭가 있다.

大보름에는 五穀밥을 지어 먹으며, 아침 일찍 부럼이라고 하는 껍질이 단단한 과일을 깨물어서 마당에 버리는데, 이렇게 하면 1年 내내 부스럼이 생기지 않는다고 한다( 부럼깨기 ). 또 귀밝이술 을 마시고, 밤에는 뒷동산에 올라가 달맞이 를 하며 所願 成就를 빌고 1年 農事를 점치기도 하였다. 卽 달빛이 희면 많은 비가 내리고 붉으면 가뭄이 들며, 달빛이 津하면 豐年이 오고 흐리면 凶年이 든다고 하였다. 大보름의 豐年과 福을 비는 行事로는 볏가릿대세우기 · 龍알뜨기 · 놋다리밟기 等이 있고, 놀이로는 地神밟기 · 龍宮맞이 · 河回別神굿 · 쥐불놀이 · 獅子놀이 · 줄다리기 · 車戰놀이 等이 있으며, 그 밖에 더위팔기 도 있다. [3]

各 地方마다 差異가 있으나, 大體로 다음과 같다.

行事 [ 編輯 ]

2007年 龜尾 달집태우기
全北 南原市 산내면에 세워진 달집 模樣
  • 보름새기 - 설날과 같이 水洗하는 風習이 있어 온 집안의 燈불을 켜놓고 지새웠다. 主로 섣달그믐날의 風習으로 알려져있지만 地方에 따라 보름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희어진다고 하여 家族 中에 누군가 잠이 들면 장난삼아 밀가루 等으로 눈썹을 하얗게 漆해놓기도 한다.
  • 더위팔기 - 누군가 아침에 사람을 만나면 서둘러 그 사람의 이름을 불러 "내 熱을 사세요"라고 말한다. 그해 여름에 무더위를 避할 수 있을 것으로 믿어진다.
  • 달맞이 - 初저녁에 횃불을 들고 높은 곳에 올라 을 맞으면서 새해의 豐年을 점치고 幸運을 빈다.
  • 달집태우기 - 달집을 만들어 달이 떠오를 때에 태우면서 豐年을 빈다.
  • 다리밟기 - 사람들은 다리를 밟으면 다리가 튼튼해질 것이라고 믿고 밤새도록 다리를 걸었다 告한다. 12 個의 다리를 밟으면 12 個月 내내 健康 할 것으로 믿어진다.
  • 地神밟기 - 嶺南 地方의 大보름 文化로, 農民들이 行列을 이루어 집을 次例로 찾아가는 風習이다.
  • 厄막이 - 그해의 厄運 을 멀리 날려 보낸다는 뜻으로 陰曆 正月 열나흗 날에 띄워 보내는 鳶. 鳶에는 이름, 生年月日 따위와 송액영복(送厄迎福)과 같은 글句를 쓴다.

飮食 [ 編輯 ]

부럼과 五穀밥, 陳菜食

大보름에 차려 먹는 絶食으로는 부럼·귀밝이술 外에도 藥밥·五穀밥·묵은 나물과 福쌈 等이 있다. 또 고사리·버섯·오이고지·호박고지·가지껍질·무시래기 等 햇볕에 말린 묵은 나물을 물에 잘 씻어서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고 健康하게 지낸다고 한다.

  • 부럼 - 正月 보름날 새벽에는 부스럼이 생기지 말라는 意味에서 밤·잣·호두 等 단단한 堅果類의 부럼을 먹는다. 이때 부럼(主로 밤의 껍질을 直接 깨물어 먹음.)
  • 五穀밥 - 쌀, 보리, 兆, 수수, 팥 等의 다섯 가지 以上의 穀物을 섞어 지은 五穀밥을 먹음.
  • 陳菜食 - 무, 오이, 호박, 박, 가지, 버섯, 고사리 等을 말려둔 것을 먹는다. 여러 집에서 아홉 가지 나물을 아홉 番, 또는 열 가지 나물을 먹기도 함.
  • 藥밥 - 물에 불린 찹쌀을 시루에 찐 뒤 꿀이나 雪糖·참기름·대추 等을 쪄서 거른 것을 섞고, 다시 진간醬·밤·대추·桂皮·곶감·잣 等을 넣어 시루에 찐 밥을 말함.
  • 福쌈 - 밥을 김이나 취나물, 배춧잎에 싸서 먹는다. 여러個를 만들어 그릇에 높이 쌓아서 성주님께 올린 다음 먹으면 福이 있다고 函.
  • 귀밝이술 - 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찬술을 男女區別 없이 조금씩 마심. 이날 아침에 찬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한 해 동안 좋은 消息을 듣게 된다고 함.
  • 솔떡 - 솔을 깔고 떡을 쪄서 나누어 먹음.

大보름날에는 세 집 以上 性이 다른 집 밥을 먹어야 그 해의 運이 좋다고 하였다. 그래서 하루 세番 먹는 밥을 이 날은 아홉 番 먹어야 좋다고 믿음.

놀이 [ 編輯 ]

  • 鳶날리기 - 大보름 날에는 겨울 내내 띄우던 을 날려보낸다. 大보름 以後로는 鳶날리기를 하지 않고, 大보름 以後에 鳶을 날리면 ‘ 고리白丁 (또는 白丁 )’이라 불렀다.
  • 쥐불놀이 - 大보름 前날 밤에 펼쳐지는 傳統 놀이. 그들은 논 사이의 稜線에서 마른 풀을 태우고 아이들은 숯불이 타오르는 구멍이 가득 찬 캔 周圍를 돌고 있다. 이 캔은 들판을 肥沃하게하고 새로운 作物을 破壞하는 해로운 벌레를 除去한다.
  • 횃불싸움 - 두 마을이 다리를 사이에 두고 서로 횃불을 들고 싸운다.
  • 널뛰기 - 正月大보름 밤에 널뛰기 를 하며, 以後로는 하지 않는다.
  • 獅子희 - 머리에 獅子 假面을 쓰고 農樂 을 울리고 집집마다 다니면서 춤추며 논다.
  • 기타 줄다리기 , 석전 , 고싸움 等의 놀이를 벌이기도 한다.
  • 고싸움·나무쇠싸움 等의 各種 便싸움이 行하여지고, 제웅치기·나무嘲弄달기·더위팔기·개보름쇠기·모기불놓기·방실놀이·뱀치기 等의 厄막이와 驅蟲行事(驅蟲行事)도 行하여진다.

기타 [ 編輯 ]

天文學 敵으로는, 正月 大보름은 "大보름"李 아닐 수도 있다. 보름달 은 한 달에 한 番 뜨게 되는데, 正月 大보름에 뜨는 보름달이 가장 크려면, 그 때, 보름달이 地球에서 가장 가까워야 하는데 正月 大보름에 뜨는 보름달이 地球에서 가장 가까울 때도 있지만, 가장 멀 때도 있다. 그래서 正月 大보름은 "大보름"李 아닐 수도 있다. 陰曆 새해를 始作하고 맞이하는 첫 番째 보름달이기에 "大보름"이라고 부르는 것일 뿐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秋夕 에 가장 큰 보름달이 아닐 수도 있다. 參考로, 보름달이 가장 클 때를 슈퍼문 이라고 한다. [4] /설날(새날)을 맞이하고 첫 番째 보름달이기에 大보름 卽, 큰 보름이라는 意味가 있다고 본다. 큰 兄(맏兄,大兄,中國式 表記), 큰 아버지, 큰 할아버지처럼 이 對(大)를 큰,맏이의 意味로 새해 첫 보름달로써 農事의 始作일을 意味하는 날로 볼 수 있겠다.

2014年 밸런타인 데이 는 이 날과 겹쳐서 '보름他人데이', '부럼他人데이'라는 別名을 받았다.

《三國遺事》에 소지 麻立干 이 登場하는 病身갑 傳說에 對한 正月 大보름 說話가 收錄되어 있다.

같이 보기 [ 編輯 ]

各州 [ 編輯 ]

  1. 聯合뉴스TV (2017年 2月 11日). “‘휘영청’ 正月大보름달…健康과 豐饒 祈願” . 《聯合뉴스 TV》. 2017年 10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10月 29日에 確認함 .  
  2. 백진엽 (2017年 2月 14日). “正月大보름, 부럼깨는 理由는?” . 《뉴스1》 (서울). 2017年 10月 28日에 原本 文書 에서 保存된 文書 . 2017年 10月 29日에 確認함 .  
  3.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4. 韓國天文硏究院 天文宇宙知識情報사이트 - 曆書 Archived 2015年 2月 6日 - 웨이백 머신 "달" 部分을 보기 바란다. (原文 이미지를 클릭해서 보기 바란다.)

參考 文獻 [ 編輯 ]

  • 《韓國歲時風俗事前(봄便)》, 國立民俗博物館, 2005
  • 임동권, 《韓國歲時風俗硏究》, 집문당, 1993
  • 《中國大勢時期 I, II》, 國立民俗博物館, 2006
    • 종름, 《荊楚歲時記》, 中國 凉나라
    • 전여성, 《희조樂事》, 中國 明나라
    • 反映肺, 《大同稅視氣勝》, 中國 淸나라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