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현경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배현경
裵玄慶
高麗의 무신
在位 901~918
在位 918~936
이름
배현경(裵玄慶)
異稱 白玉(白玉) 백옥삼(白玉三 白玉衫)
別號 未詳
시호 무熱工(武烈公)
廟號 惠宗
身上情報
出生日 生年 未詳 (生年 未詳)
出生地 未詳
死亡日 936年
死亡地 未詳
官職 무신 (武臣)
家門 城山 (星山) 慶州 (慶州)
父親 城山 裵氏 (星山 裵氏) 慶州 裵氏 (慶州 裵氏)
母親 未詳
配偶者 未詳
子女 배은우 (裵殷祐)
宗敎 佛敎 (佛敎)
墓所 未詳
軍事 經歷
主君 太祖 (太祖)

배현경 (裵玄慶, ? ~ 936)은 高麗 開國功臣 中 한 名이다. 諡號는 武列 (武烈)이다. 本來 弓裔 의 部下로서 病死로 始作하여 馬軍將軍(馬軍將軍)이 되었다. 弓裔 가 開國할 때에 많은 役割을 하였으나, 그의 暴政이 심해지자 신숭겸 , 복지겸 , 鴻儒 等과 함께 王建 에게 擧事를 勸하여 그를 따라 弓裔 를 逐出하고 高麗 를 建國하는 功을 세운다. 高麗史 에도 個國 4功臣의 한 名으로 記錄되어 있다. 慶州 裵氏의 始祖

生涯 [ 編輯 ]

배현경(裵玄慶)은 慶州 사람으로, 初名은 白玉(白玉) 또는 백옥삼(白玉三, 白玉衫)이다. 高麗 個國 元年에 高麗 太祖 에게 배(裵)氏 性을 四星 받았으며, 懸磬(玄慶)이라는 이름을 社名받았다.

배현경은 太祖가 四方을 征伐하는데 크게 專攻을 세웠다. 膽力이 普通 사람보다 特出하였으며 兵卒 出身으로 累次 昇進하여 벼슬이 對光(大匡)까지 이르렀다.

918年 陰曆 6月에 將軍 洪術 · 백옥삼 · 삼능山 · 複寫귀 (이는 鴻儒 · 배현경 · 신숭겸 · 복지겸 泰封 當時의 이름이다). 네 사람이 비밀히 謀議하고 밤에 太祖 의 司祭로 가서 말하기를

"只今 主上이 刑罰을 濫用하여 妻子를 죽이고 臣僚를 誅滅하니, 蒼生이 塗炭에 빠져 扶持할 수가 없습니다. 예로부터 [婚主:暗主(巖柱)]를 廢하고 明王을 세우는 것은 天下의 大義입니다. 請컨대 功은 湯(王)[탕(왕)]·武(王)[無(왕)]의 일을 行하기 바랍니다"

라고 하였다.

太祖가 顔色을 고치며 拒絶하기를,

"내가 忠誠과 殉職으로 者虛하여 왔는데, 只今 [主上(主賞)李](暴虐)하다고 하지만 敢히 두 마음을 가질 수 없다. 大抵 臣下로서 賃金을 交替하는 것을 革命이라 하는데, 내가 實際 薄德으로서 어찌 敢히 殷(은)·周(주)의 일을 본받을 수 있으랴"

하였다.

이에 여러 將帥들이 말하기를,

"때는 두 番 오지 아니하므로, 만나기는 어렵고 잃기는 쉽습니다. 하늘이 주는 것을 取하지 않으면 도리어 그 罰을 받습니다. 只今 情事는 어지럽고 나라는 위태로운데, 百姓들이 모두 웃사람 미워하기를 怨讐와 같이 합니다. 오늘날에 德性이 共의 위에 있을 사람이 없습니다. 하물며, 왕창근이 얻은 經文이 저러한데, 어찌 蟄伏해 있다가 毒婦의 손에 죽을 것입니까" 하였다. 夫人 柳氏도 여러 將帥들의 議論을 듣고 이에 太祖에게 이르기를 "仁(人)으로써 不仁(불인)을 치는 것은 예로부터 그러합니다. 只今 여러 사람의 議論을 들으니 첩으로서도 分心이 일어나는데, 더구나 大丈夫에 있어서이겠습니까? 只今 여러 사람의 마음이 갑자기 變하는 것은 天命이 돌아왔기 때문입니다"

라며 손으로 甲옷을 들어 太祖에게 올렸다. ( 高麗史 )

919年 (高麗 太祖2年)에 都邑地를 송악으로 옮길 때 開州刀擦社로서 새 都邑을 建設하였고, 弓裔 의 殘黨을 掃蕩하는 데 功을 세워 對象行이조상서 兼 巡軍府零度總 病魔大腸(大相行吏曹尙書兼徇軍部令都統兵馬大將)에 이르렀다.

太祖가 淸州 사람 縣率(玄律)을 巡軍 郎中(徇軍郞中)으로 임명하려고 하니 배현경과 신숭겸이 反對하여 말하기를

“지난날에 임춘길(林春吉)李 純軍吏(徇軍吏)로 있으면서 叛亂을 陰謀하다가 漏泄되어 死刑을 當한 일이 있었는바 이것은 兵權을 잡은 데다가 自己 故鄕인 것을 믿었기 때문입니다. 只今 또 現率을 巡軍 郎中으로 任命하시려는 데 對하여 저희들은 저으기 疑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라고 하니 太祖도 이 意見을 옳게 여기고 縣率을 兵部 郎中으로 고쳐 임명하였다.

936年 (太祖 19年) 病이 危篤하니 太祖가 그의 집으로 가서 손을 잡고 “아! 千名이로구나! 그대의 子孫이 있으니 내 어찌 敢히 잊겠느냐!”라고 말한 後 太祖가 門을 나가자마자 배현경이 殞命하였다. 그래서 王은 行次를 멈추고 官婢로써 葬事를 치를 것을 命令한 後에 還宮하였다. 諡號는 武列(武烈)이요 아들(子)은 恩佑(殷祐)이다.

994年 (成宗 13) 太史(太師)로 追贈되어 太祖 廟庭(廟庭)에 配享되었으며, 995年 ( 成宗 15年)에 평산 太白星에 태社史를 세워 每年 봄, 가을에 享祀한다.

배현경이 登場한 作品 [ 編輯 ]

TV 드라마 [ 編輯 ]

外部 링크 [ 編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