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대만   중국   일본 
得音 -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本文으로 移動

得音

위키百科, 우리 모두의 百科事典.

得音 (得音)은 판소리 唱者(唱者)의 音樂的 力量이 完成된 狀態로 聲音을 얻었다는 뜻이다.

판소리의 音樂的 3要素인 聲音·길· 長湍 中에서 特히 第一 重要하고 마지막 修鍊過程人 發聲法에 關聯된 것으로 聲音을 自由自在로 驅使해서 事實의 裏面을 그릴 수 있는 境地를 가리킨다. 名唱들이 得音을 위해 山속에서 修鍊하는 過程을 ‘得功’이라 하고 得音의 境地에 이르면 모든 소리를 自然에 가깝게 描寫할 수 있다고 한다. 신재효 는 그의 創作 團歌인 〈광대가〉에서 광대의 具備條件으로 첫째 人物치레, 둘째 辭說치레, 셋째 得音, 넷째 너름새를 提示한 바 있다. 그 中 得音은 “五音을 分別하고 陸率을 變化하여 五臟에서 나는 소리 農樂하여 자아낼 제”라고 說明했다.

이 文書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 (現 카카오 )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配布한 글로벌 世界대백과사전 의 內容을 基礎로 作成된 글이 包含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