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2/커버스토리]韓國 親舊들, 蔡萬植에 對해 왜 나보다 모르나요|동아일보

[O2/커버스토리]韓國 親舊들, 蔡萬植에 對해 왜 나보다 모르나요

  • 東亞日報
  • 入力 2012年 4月 14日 03時 00分


코멘트

韓國 文學에 푹 빠진 세 外國人들

요한나 쿤오시우스 씨의 책 읽기는 비단 소설에만 머물지 않는다. “한비야 씨의 ‘바람의 딸, 우리 땅에 서다’도 읽었어요. 저도 여행하는 거 좋아하거든요.” 그녀는 꼭 한번 읽어보고 싶은 책으로 조정래 작가의 ‘태백산맥’ 을 꼽았다. 양희성 기자 yohan@donga.com
요한나 쿤午時우스 氏의 冊 읽기는 非但 小說에만 머물지 않는다. “한비야 氏의 ‘바람의 딸, 우리 땅에 서다’도 읽었어요. 저도 旅行하는 거 좋아하거든요.” 그女는 꼭 한番 읽어보고 싶은 冊으로 趙廷來 作家의 ‘太白山脈’ 을 꼽았다. 양희성 記者 yohan@donga.com
《 “韓國 親舊들한테 채만식 좋아한다고 하면 ‘너 미쳤어?’란 反應이 돌아와요.” 요한나 쿤午時우스 氏(35·女)가 웃으며 말했다. 패트릭 버고 氏(35), 앤드루 크렙스바크 氏(27)도 비슷한 말들을 쏟아냈다. 이 3名은 모두 美國人. 쿤午時우스 氏는 韓國 大企業에 다닌다. 韓國 女性과 家庭을 꾸린 버고 氏도 韓國能率協會에서 일하고 있고, 크렙스바크 氏는 서강대 大學院에서 國語國文學을 專攻 中이다. “韓國人 親舊들 中에서 冊을 읽는 사람이 거의 없어요!”(버고 氏) “韓國 小說에 對해 물어보면 다들 ‘高等學校 때 읽었는데 잘 記憶이 안 나’라고 對答하죠.”(크렙스바크 氏) 남 이야기 같지 않아 괜스레 가슴이 뜨끔해졌다. 自身이 읽은 韓國 文學에 對해 이야기를 나눌 사람들이 必要했다. 그렇게 세 사람은 王立아시아學會 韓國支部(Royal Asiatic Society-Korea Branch)’에서 運營하는 讀書클럽에 모여 들었다. ‘O₂’가 韓國 小說 읽기에 빠진 세 사람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
○ 飮食으로도 表現되는 時間들

“황순원의 ‘소나기’는 別로 안 좋아해요. 너무 뻔하고, 幼稚한 것 같아요.”

쿤午時우스 氏가 웃으며 말했다. 그女가 韓國 小說을 읽는 理由는 簡單하다. 文學을 통해 韓國人들의 思考方式과 몸에 새겨진 經驗들을 더 많이 理解할 수 있기 때문이다. 韓國人들이 ‘常識’이라고 여기는 것들도 그에겐 生疏한 境遇가 많다. “1960年代에서 1970年代에 쓰인 冊들을 보면 가끔 사이렌 소리가 나와요. 그 소리가 울리면 사람들이 다 집으로 들어가죠. 제겐 그런 經驗이 全혀 없어요. 冊을 통해 그 當時의 韓國 生活을 間接的으로나마 느낄 수 있는 거죠.”

얼마 前에는 김승옥의 ‘서울 1964年 겨울’을 읽었다.

“主人公의 아내가 죽어서 葬禮를 치러야 하는데 돈이 없어요. 그래서 屍身을 팔고 4000원을 받았다는 內容이 나오잖아요. 只今 4000원은 커피 값 程度인데…. 그리고 참새꼬치를 먹는 모습도 나오고요. 그런 部分들을 알아가는 게 재미있어요.”

只今도 참새꼬치를 파는 데가 있다고 말하자, 그女가 고개를 가로젓는다. “별로 먹어 보고 싶지는 않아요.”

세 사람이 감명깊게 읽었다는 한국 소설들과 실제로 그들이 독서클럽에서 사용하는 있는 영문 번역본.
세 사람이 感銘깊게 읽었다는 韓國 小說들과 實際로 그들이 讀書클럽에서 使用하는 있는 英文 飜譯本.
버고 氏도 그女의 말에 同意했다. 그가 느끼기에 韓國 社會는 外國人이 그 一員이 되는 게 가장 힘든 나라들 中 하나다. 왜냐면 韓國에는 韓國人들만 알거나 經驗할 수 있는 것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軍隊, 大學修學能力試驗, 설과 秋夕 等等. 韓國人들은 다들 비슷한 經驗을 하면서 자라난다. 그가 태어나고 자란 美國에선 그렇지 않았다. 땅이 넓고 社會가 多元化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世代라 하더라도 서로 다른 經驗을 하면서 자랐다. 따라서 韓國人들이 共有하는 經驗들은 種種 外國人에게 큰 壁으로 作用한다.

“韓國人들만의 그런 經驗들이 文學에 들어 있죠. 韓國 사람들이 왜 그렇게 行動하고 말하는지, 그런 態度들이 어디서부터 비롯됐는지를 文學을 통해 알 수 있어요.”

또 재미있는 것은 韓國 小說에는 유난히 時間의 흐름을 보여주는 裝置들이 많이 登場한다는 點. 假令 ‘蔘鷄湯을 먹는다’라는 句節이 나오면, 韓國 사람들은 蔘鷄湯이라는 單語 하나만으로도 그날이 伏날, 卽 여름철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蔘鷄湯을 언제 먹는지 모르는 外國人들에게는 그저 飮食에 對한 이야기로만 읽힐 뿐이다. 벚꽃도 마찬가지이다. 벚꽃이라는 單語가 登場하는 것만으로도 韓國 讀者들은 봄이라는 것을, 그리고 그 안에 담겨진 새로운 始作이란 意味까지 읽어낸다.

“只今까지 제가 冊을 읽어본 바에 따르면, 美國 作家들은 그런 裝置들을 많이 쓰지 않는 것 같아요. 美國에서는 韓國에서처럼 飮食이 그렇게 季節을 타지 않아서 그런 게 아닐까 싶어요.”

그의 說明이 이어졌다. 로스앤젤레스에서 자란 그에게 모든 飮食은 슈퍼마켓에 가면 바로 다 살 수 있는 것들이었다. 딸기가 어느 季節에 栽培되는지 알 必要가 全혀 없었다.

“그리고 植物 이름들도 宏壯히 많이 나오고 다양하죠. 제가 只今 韓國말로 알고 있는 植物 이름들 中에서도 그것이 英語로 무엇인지 모르는 것들이 宏壯히 많아요.(웃음)”

○ 그래도 보는 눈은 다 똑같다

李泰俊의 ‘까마귀’에는 作家인 ‘그’가 登場한다. 親舊의 別莊을 찾은 ‘그’는 定員을 散策하던 中, 療養을 위해 그곳을 찾은 女人을 만난다. 肺病을 앓고 있는 그女는 別莊 周圍의 나무에 날아와 둥지를 틀고 있는 까마귀 소리를 病的으로 싫어한다. 까마귀가 마치 그女의 죽음을 재촉하는 것 같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는 까마귀에 對한 그女의 恐怖를 덜어주기 위해 까마귀를 잡아 매달아 놓지만, 며칠이 지나도록 그女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얼마 後, 그女의 喪輿가 나간다.
▼ 飮食·꽃·사투리 表現 감칠맛… 性的 所在 敎科書 실려 놀라워 ▼

8일 오후 서울 중구 예장동에 있는 ‘문학의 집, 서울’에서 앤드루 크렙스바크 씨(왼쪽)와 패트릭 버고 씨가 책을 들고 포즈를 취했다. 크렙스바크 씨가 들고 있는 책은 채만식의 ‘태평천하’ 영문 번역본. 두 사람은 한국 문학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한국어 공부에 매진하고 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8日 午後 서울 中區 예장동에 있는 ‘문학의 집, 서울’에서 앤드루 크렙스바크 氏(왼쪽)와 패트릭 버고 氏가 冊을 들고 포즈를 取했다. 크렙스바크 氏가 들고 있는 冊은 蔡萬植의 ‘태평천하’ 英文 飜譯本. 두 사람은 韓國 文學을 더 잘 理解하기 위해 韓國語 工夫에 邁進하고 있다. 홍진환 記者 jean@donga.com
肺病 患者인 女人의 죽음을 통해 人間의 根源的인 孤獨과 죽음의 問題를 그린 作品. 버고 氏는 이 作品이 좋다고 했다. “죽음은 人間이라면 누구나 다 생각하는 거잖아요. 普通 나이 든 사람들이 더 많이 생각하기는 하지만(웃음). 어떻게 살 것인가, 왜 살아야 되는 것인가에 對해 생각하게 만들었어요. 韓國 小說에 登場하는 豐富한 主題들을 理解하기 위해서 반드시 韓國人이 될 必要는 없는 듯해요.”

大學에서 哲學을 專攻한 哲學徒다웠다. 以上의 ‘날개’도 좋단다. ‘날개’는 어떤 時代나 場所가 背景이 될지라도, 이야기가 全혀 語塞하지 않다는 것. 勿論 1936年에 發表된 만큼 日帝强占期의 現實을 담아냈겠지만, 現在를 살아가고 있는 그의 가슴을 如前히 强烈하게 두드린다고 한다.

“가끔 오래前에 쓰인 冊들을 읽다 보면 ‘귀엽네’란 생각이 들 程度로 內容이 誘致할 때가 있거든요. 當時에는 좋다고 했는지 모르겠지만 그 이야기가 지닌 힘이 時間과 함께 사라져 버린 거죠. 가장 좋은 文學은 時間이나 場所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나 强力한 힘을 지니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크렙스바크 氏가 “나도 ‘날개’를 좋아한다”고 덧붙였다. 매우 複雜하고 어렵지만, 그만큼 ‘解析’의 餘地가 많다는 것.

아이러니였다. 實際로 以上은 그 時代로부터 理解받지 못한 悲運의 作家였다. 그가 注目을 받기 始作한 것은 1970年代 들어서다. 그제야 ‘날개’를 비롯한 그의 作品들이 敎科書에 실리기 始作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要素를 孕胎한 모더니즘의 先驅者’라는 學者들의 評價가 머릿속을 스쳐 지나갔다.

크렙스바크 氏는 가장 좋아하는 小說 中 하나로 최인훈의 ‘廣場’을 꼽았다. 主人公 이명준의 삶을 읽는 中에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지,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 等에 對한 存在論的인 苦悶들이 이어졌다. 한창 大學에서 進路와 未來에 對해 걱정하던 때였다. 그런 그에게 ‘廣場’과 ‘密室’ 사이에서 彷徨하는 이명준은 그리 낯설지 않았다. ‘廣場’에서 이명준은 南韓 社會에서도, 北韓 社會에서도 希望을 찾지 못하고 結局 第3國으로 가는 배 위에서 바다로 몸을 던진다. 이 小說에서 ‘廣場’은 集團的이고 社會的인 삶을 象徵하고, ‘密室’은 그 對蹠點에 있는 個人的이고 실존적인 삶을 뜻한다.

○ 이디엇 엉클 vs 이노센트 엉클

지난달 26日 열렸던 讀書클럽에서는 蔡萬植의 ‘癡叔(痴叔)’에 對한 討論이 이어졌다. 여기선 미리 定해놓은 小說 하나를 읽어와 韓國人들과 外國人들이 함께 모여 이야기를 나눈다. 그 자리에서 興味를 끌었던 것은 ‘癡叔’이란 冊 이름의 飜譯 問題. 漢字로 ‘어리석을 치(痴)’字를 썼는데, 英語로는 ‘이노센트 엉클(innocent uncle)’이라고 表現한 것에 對한 論議들이 이어졌다. 다른 飜譯本에서는 ‘이디엇 엉클(idiot uncle)’이라고 表現되어 있기도 하다.

그 자리가 끝난 後 授業에서 크렙스바크 氏에게 ‘癡叔’ 全體를 飜譯하는 課題가 주어졌다. “아직 題目을 어떻게 飜譯할지 定하지는 못했어요. 그런데 ‘이노센트’가 더 좋지 않을까 싶네요. 왜냐면 ‘이노센트’ 안에 純眞하다는 뜻과 바보 같다는 뜻이 함께 들어가 있거든요. 作家가 그 三寸을 非難할 수도 있고, 그러지 못할 수도 있다는 두 가지 意味를 다 傳達하고 싶어 했던 거 아닐까요?”

그러나 쿤午時우스 氏는 조금 생각이 달랐다. 漢字의 本뜻을 살려 ‘이디엇 엉클’이 되어야 한다는 것.

“飜譯은 正말 어려운 것 같아요. 두 言語에 對해 깊이 알지 않고서는 作家가 意圖한 바를 그대로 傳達할 수 없는 것 같아요.”

버고 氏가 말했다. 그에겐 特히 사투리가 苦悶거리다. 小說 속에서 登場人物이 使用하는 사투리는 그의 性格과 成長 背景 等 많은 것들을 含蓄하고 있다. 따라서 그런 것들을 살려 飜譯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英語로 읽을 때는 그런 部分들은 거의 잡아내지 못하고 넘어가야 한다는 게 안타깝죠.”

문득 버고 氏가 眞摯한 主題를 들고 나왔다. 韓國 書店에 갔을 때 가장 놀랐던 것이 체 게바라 評傳이 베스트셀러에 올라 있던 것이라고 했다. 共産主義 思想家들의 冊들도 人氣가 많다는 것에 또 놀랐다. 버고 氏는 韓國人들을 만나기 前까지만 해도 共産主義에 對해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그 또래의 美國人 中 누구도 共産主義에 對해 이야기하지 않는다. 하지만 韓國에서는 如前히 共産主義가 肯定的이든, 否定的이든 存在感을 지니고 있다.

“韓國 小說을 읽으면 韓國 社會에서 共産主義가 가지고 있는 意味들도 보이죠. 知識人들이 왜 共産主義에 빠져들었는지 等을 中心으로 읽으면 재미있어요.”

그러고 그가 한마디 덧붙였다.

“性的인 要素들이 많이 담긴 小說들이 敎科書에 실리는 것도 놀라워요. 美國에서 高等學校 다닐 때는 그런 小說들은 읽어본 적이 없거든요. ‘保守的’이라고 말하는 韓國 社會에서….”
☞ 王立아시아學會 韓國支部

1900年代 設立된 韓國에서 가장 오래된 國際交流 모임이다. 敎育分野 總責任이자 外交諮問官으로 高宗皇帝를 補佐했던 호머 헐버트 博士를 비롯한 17名의 宣敎師와 外交官이 만들었다. 現在 活動하는 會員은 約 1000名으로, 韓國과 關聯된 硏究 活動과 함께‘講義’‘文化踏査 프로그램’等을 통해 外國人들에게 韓國을 알리는 役割을 하고 있다. 創立 當時 英國의 王立아시아學會로부터 ‘韓國支部’로 認定을 받았다.

박희창 記者 ramblas@donga.com
#韓國文學 #外國人 #王立아시아學會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