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小說]큰바람 불고 구름 일더니 <714>卷七.烏江의 슬픈 노래|東亞日報 </714>

[小說]큰바람 불고 구름 일더니 <714>卷七.烏江의 슬픈 노래

  • 入力 2006年 3月 14日 03時 04分


코멘트
그림 박순철
그림 박순철
싸움의 樣相이 그렇게 바뀌면서 垓下(垓下)에서도 眞性(陳城) 아래서와 같은 일이 되풀이 벌어졌다. 霸王의 軍士들이 敵에게 回復할 수 없는 衝擊을 주지 못하고 集中과 速度부터 잃어버리자 漢軍의 머릿數가 威力을 되찾기 始作했다.

먼저 敗退하여 스러진 것은 綜理매가 이끌던 2萬5千의 樵軍이었다. 霸王의 本陣에서 떨어져 나와 供犧(孔熙)의 3萬 軍士에게 발목이 잡힐 때부터 그들은 不吉한 豫感으로 허둥대기 始作했다. 그러다가 自身들보다 몇 倍가 넘는 한軍에 에워싸이게 되자 이제는 이기기 위해서가 아니라 살아남기 위해서 싸워야 했다. 그들은 갈수록 늘어나는 韓君 속에서 半나절이나 奮戰했으나 끝내 살아서 빠져 나간 것은 겨우 3千 남짓이었다.

繫匏가 이끈 超君의 처지는 種魑魅 쪽보다 훨씬 더 險했다. 鎭下(陳賀)에게 길이 막힐 때부터 繫匏는 길을 앗아 달아날 窮理만 했으나, 해질 무렵 겨우 에움을 벗어나 헤아려 보니 따르는 軍士는 보기(步騎)를 合쳐 2千을 채우지 못했다. 열에 하나도 제대로 살아나오지 못한 셈이었다.

綜理매와 繫匏는 그래도 에움을 벗어나는 대로 霸王을 찾아가려 했다. 超軍이 고쳐 쌓은 城郭이나 防壁과 堡壘로 두른 眞彩를 찾아가면 다시 霸王과 勢力을 합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그러나 어떻게 알았는지 彭越이 軍士를 풀어 길을 막는 바람에 둘 모두 그리로 돌아갈 수가 없었다. 뒷날 霸王을 찾아가기로 하고 于先은 漢軍의 追擊을 避해 北쪽으로 멀찌감치 달아났다.

한便 霸王 項羽는 綜理매와 繫匏가 남은 軍士를 모두 이끌고 合勢해 왔을 때 그날의 勝利를 自身하였다. 左右로 나뉘어 韓君을 쪼개고 나간 둘이 漢軍의 旗幟에 가려 보이지 않을 때도 그들이 그렇게 速度를 잃고 에움에 빠졌을 줄은 想像도 못했다. 그래서 수레바퀴 돌 듯 번갈아 덤비는 漢나라 將帥들을 相對로 불꽃 튀기는 싸움을 벌이면서도 걱정하거나 두려워할 줄 몰랐다. 綜理매와 繫匏가 토막 난 韓君을 짓밟으며 되돌아와 다시 自身의 뒤를 받쳐주기만을 기다렸다.

하지만 한 食頃(食頃)李 지나도 綜理매와 繫匏가 돌아오지 않고, 그들이 간 쪽에서 몰이꾼의 그것과 같은 不吉한 함성만 連方 들려오자 牌王都 퍼뜩 精神이 들었다. 갑자기 眞性 아래서의 惡夢이 떠오르고, 眞如(陳餘) 같은 現事와 龍邸(龍且) 같은 盲腸을 한 싸움으로 잡아 죽인 韓信의 兵略度 뜬所聞이 아니라 무슨 섬뜩한 威脅처럼 다가왔다.

“綜理매와 繫匏가 어찌 되었는지 알아보아라.”

한바탕 威猛한 攻擊으로 몰려든 漢나라 將帥들을 물리친 牌왕이 곁에 있는 젊은 部長에게 물었다. 한참 만에 피투성이로 되돌아온 그 部長이 다시 漢나라 將帥들과의 車輪戰(車輪戰)에 빠져 있는 霸王의 등 뒤에 대고 소리쳤다.

“두 분 將軍 모두 한나라의 大軍에 에워싸여 있습니다. 에움이 워낙 두꺼워 뚫고 들어가 볼 수는 없었습니다.”

그 말을 듣자 霸王은 갑자기 온몸에서 힘이 쭉 빠지는 듯했다. 그때껏 휘두르던 무거운 鐵劇을 내던지고 허리에서 寶劍을 뽑으며 나지막하게 소리쳤다.

“只今부터 길을 앗아 陣채로 돌아간다. 모두 두려워하지 말고 過人을 따르라!”

글 李文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