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光化門에서/최영묵]구겨진 色동저고리|東亞日報

[光化門에서/최영묵]구겨진 色동저고리

  • 入力 2005年 8月 13日 03時 00分


코멘트
“離陸과 同時에 自動運航裝置로 變更하고 着陸조차 오토로 하는 일이 힘들다면서 外國에 나갔다 하면 골프場으로 直行하느냐.”

緊急調停權 發動이라는 恥辱的인 ‘第3字’의 힘에 依해 終了된 아시아나항공 操縱士勞組 罷業 過程에서 話題가 됐던 ‘10年次 乘務員’의 인터넷 글 要旨다.

알려지진 않았지만 이를 反駁하는 한 操縱士의 글 또한 만만치 않다.

“國家資格證을 5個씩 가진 操縱士들과 3個月 敎育받은 乘務員들이 같은가. 乘客 400餘 名의 목숨을 책임져야 하는 操縱士들의 땀과, 손님 옷에 커피를 쏟았을 때 흐르는 식은땀이 같은가. 괜히 몇百 달러씩 쓰면서 名品 산다고 온終日 쇼핑海 外貨를 浪費하는 乘務員들이 그동안 實力 없는 操縱士 飛行機를 무슨 배짱으로 타고 다녔나.”

아시아나항공 乘務員 間에 벌어지는 攻駁도 深刻하다.

“같은 乘務員으로서 個人的 惡感情을 表出한 것은 會社 亡身이라는 생각이다. 操縱士들의 英語 實力 때문에 着陸 時 어려움을 겪는다는 根據 없는 主張으로 社員 全體의 士氣를 꺾지 말라.”

勞組의 主軸인 飛行學校 出身 操縱士들과 非勞組員이 大部分인 軍 出身 操縱士들 間의 反目도 더욱 깊어졌다고 傳해진다.

協商의 두 當事者인 勞使는 協商 막판에 “對話를 하느니 차라리 緊急調停을 受容하겠다”며 自律協商을 아예 抛棄했다. 如前히 勞使 모두 ‘安全運航’을 名分으로 내세우고 있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憾情싸움이 더욱 깊어지는 狀況이다.

罷業은 終了됐지만 勞使 間은 勿論 盧-勞, 操縱士-乘務員, 乘務員-乘務員의 葛藤이 總體的으로 結合돼 深刻한 내상을 앓고 있는 것이다. 더욱 深刻한 것은 罷業의 後遺症이 내상에 그치지 않는다는 點이다.

“아시아나航空이 그동안 쌓아 온 安全性과 親近感에 對한 信賴를 자꾸 잃어 가는 것 같다. 休暇철 盛需期에 乘客들에게 그런 不便을 줄 수가 있느냐. 대한항공이 相對的으로 이미지가 좋아지지 않겠느냐.”

周邊에서 심심치 않게 들리는 말이다.

여기에 勞組가 競爭社 勞組의 ‘代理戰’을 치렀다느니, 競爭社 社側이 會社 經營陣에 잘못된 助言을 해 事態를 악화시켰다는 말까지 나오면서 더욱 꼬인 競爭社와의 關係도 풀어야 할 課題다.

아시아나항공을 둘러싼 안팎의 事情이 이렇다 보니, 緊急調停權 發動으로 30日間의 協商時間을 벌었지만 史上 初有의 强制 仲裁가 내려질 可能性도 占쳐지고 있다. 그럴 境遇 會社로서는 致命傷을 입는 셈이다.

그러나 罷業이 끝난 後에도 會社 側은 4800億 원을 損害 봤다는 ‘損益計算書’를 내놓기에 바쁘고, 勞組 側은 兩大 勞總까지 나서 ‘延長戰’을 豫告하고 있다.

이番 罷業은 關聯 當事者 모두가 敗한 게임이다. 結局 아시아나의 象徵인 色동저고리는 구겨졌다. 休暇철에 乘客들의 발목을 잡고 會社와 國家 이미지에 莫大한 損失을 끼친 ‘貴族勞組’가 더 큰 非難을 받고 있지만 强勁策으로 一貫한 社側은 勿論 뒤늦게 부랴부랴 仲裁에 나선 政府도 責任을 면할 수 없다.

只今부터라도 當事者 모두 마음을 비워야 한다. 12日 始作된 操縱士 業務 復歸를 起點으로 早速히 事態를 收拾하는 것만이 後遺症을 最少化하는 길이다.

최영묵 社會部長 ymoo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