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이슈]疑問詞糾明委員會 앞으로 어떻게 되나|동아일보

[오늘의 이슈]疑問詞糾明委員會 앞으로 어떻게 되나

  • 入力 2002年 9月 16日 18時 45分


疑問詞眞相糾明委員會가 16日 1年9個月에 걸친 調査活動을 마감했다. 調査 活動은 마감됐지만 眞相糾明위는 來年 3月까지 存續하게 된다. 다음 달 16日까지 그 동안의 調査 內容을 土臺로 大統領에게 報告하고, 來年 3月16日까지 報告書 出刊과 各種 勸告 措置를 하는 等 마무리 作業을 하게 된다.

委員會가 存續하는 동안 疑問詞特別法 改正案이 通過되면 眞相糾明위는 調査活動을 再開할 수 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異見으로 改正案이 國會 本會議에 上程되지 못해 調査 期限인 16日까지 法 改正은 霧散됐지만, 期間 延長에 贊成하는 國會議員이 많아 調査 活動이 再開될 可能性도 있는 것으로 展望된다.

‘民主化運動 精神繼承 國民連帶’는 16日 “國會議員 273名에게 보낸 法 改正 與否를 묻는 質疑書에서 72名이 贊成 意思를 表示했다”고 밝혔다. 이들 中에는 法 改正에 消極的이었던 한나라당 議員 29名이 包含돼 있어 法 改正 展望을 밝게 하고 있다.

市民團體가 政治權에 法 改正을 要求하며 大統領 選擧와 連繫하겠다고 밝히고 있는 點도 各 政黨이 無視할 수 없는 壓力으로 作用할 展望이다.

‘民主化運動 精神繼承 國民連帶’는 이날 記者會見을 열고 “國會는 眞相糾明위의 調査 權限을 强化하고 期間 制限 없이 調査할 수 있도록 疑問詞眞相糾明特別法을 卽刻 改正해야 한다”며 “早速한 法 改正에 協助하지 않는 政黨에 對해서는 大統領選擧에서 全面的인 反對鬪爭을 벌이는 等 强力 對應하겠다”고 밝혔다. 經實聯도 이날 聲明을 發表하고 “疑問詞가 政治權의 非協調로 다시 어두운 歷史 속에 묻히게 된 것을 개탄스럽게 생각한다”며 “時限 延長과 調査 權限 强化를 담은 特別法을 하루빨리 改正할 것을 促求한다”고 밝혔다. 國民連帶 이은경 事務處長은 “答辯書를 보내온 國會議員 外에도 法 改正에 贊成한다는 意思를 밝힌 議員이 70名 以上 더 있는 것으로 把握돼 委員會 活動 期間 延長은 時間 問題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公權力介入 18件 認定▼

疑問詞眞相糾明委員會(委員長 한상범·韓相範)는 1981年 삼청교육대 被害者 전정배氏 死亡事件 等 8件을 ‘疑問詞’로 認定하고 12件에 對해 棄却 決定을 내렸으며 12件에 對해서는 ‘眞相糾明 不能’ 決定을 내렸다고 18日 밝혔다.

이날 午後까지 民主化運動 過程에서 不法的인 公權力의 直間接的인 行事로 인해 숨진 것으로 認定된 事件은 최종길, 김준배氏 事件 等을 包含해 모두 18件으로 늘어났다. 眞相糾明위는 81年 삼청敎育 對象者로 醇化敎育을 받던 中 監護生 集團亂動 事件 過程에서 銃傷을 입고 病院으로 後送 中 숨진 前庭裵氏에 對해 當時 全氏가 國家가 違法하게 施行한 삼청計劃에 依해 삼청敎育 對象者로 끌려간 뒤 監護所에서 毆打 中斷, 歸家 措置 等 6個 項을 要求한 것은 權威主義 統治에 抗拒한 行爲로 認定된다고 밝혔다. 1988年 후지카 대원電氣 警備室 職員으로 勤務하던 當時 會社側이 組織한 求社隊의 罷業籠城 强制解散에 抗議해 會社 幹部의 房에서 飮毒 自殺한 오범근氏(當時 37歲)氏 亦是 民主化運動 過程에서 違法한 公權力의 介入으로 숨진 것으로 認定됐다.

황진영記者 budd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