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본형의 自我經營]妊婦가 生命을 품듯 竝生의 眞理 配偶者|東亞日報

[구본형의 自我經營]妊婦가 生命을 품듯 竝生의 眞理 配偶者

  • 入力 2002年 5月 31日 17時 59分


生命에 關한 아홉 가지 에세이/ 박재현/이도흠 外 /교수신문 엮음, 민음사, 2002

나는 論文을 싫어한다. 論文처럼 멋없는 傳達形態는 없다. ‘남의 言語를 빌어 쓴 無數한 脚註 뒤에 몸을 順긴’ 知識人들의 排他的 自己 表現法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이 冊은 學界에서 試圖된, 論文 形態의 글쓰기와는 다른 表現 方法의 摸索이며, 旣存의 形態에 갇히지 않는 ‘霸氣있고 新鮮하고 자유로운’ 思惟에 對한 實驗이다. 우리는 ‘神的 秩序에 對한 人間의 挑戰’에 두려움이 增加되는 이때, 이 冊에서 人類 共通의 核心 話頭 中의 하나인 生命에 對한 學術 에세이 當選 作品 아홉 個를 만나 볼 수 있다.

다 紹介 할 수 없으니, 最優秀作 2個를 中心으로 나대로 섞어서 紹介해 보자.

나의 存在만큼 사무치는 것은 없다. 남의 아픔에 共感한다한들 내 아픔에 比較할 수 없다. 나의 삶은 다른 사람들의 삶보다 더 切實하다. 그런데 妊産婦는 自己 속에 남을 품는다. 他人을 품고도 不便과 苦痛을 堪耐하고 오히려 感謝하는 理由는 무엇일까? 本能일까? 아니면 아이를 他人으로 認識하지 않기 때문일까? 萬一 이 認識의 地平을 조금만 넓혀보면 莊子의 말을 쉽게 理解할 수 있다. ‘天地는 나와 더불어 함께 생겨나니 萬物이 나와 함께 하나가 된다.’

竝生(竝生), 卽 함께 산다는 것은 우리의 存在가 홀로 살 수 없는 것임을 의미한다. 他者와 合해져 더 큰 내가 된다. 妊産婦의 배처럼. 他者와의 關係 속에서 비로소 나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생겨난다. 아이가 있어야 어머니가 있게 되는 것과 같은 理致다. 竝生은 共存이다. 나와 他人의 共存이고, 人間과 自然의 共存이다. 내가 아닌 다른 것 속에서 나를 發見하고, 내 속에서 他者와의 連結을 찾아 내지 못하면 共存은 不可能하다.

元曉의 ‘金剛三昧經論’에 열매와 씨에 對한 比喩가 있다. “열매와 씨는 하나가 아니다. 그 模樣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것도 아니다. 氏를 떠나서는 열매도 없기 때문이며…열매가 이어져서 씨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것이 화쟁의 ‘불일불이’(不一不二) 原理다. 優劣이 아니라 差異를 통해 自身을 드러내고, 鬪爭이 아니라 自身을 소멸시켜 他者를 이루게 하는 것이 화쟁이다.

달리 表現해 보자. 佛家에서 말하는 깨달음은 寂滅(寂滅)이다. 卽 나라는 意識의 寂滅을 통해 내 속에 남을 품을 空(空), 卽 ‘餘白’을 가지게 된다. 儒家에서는 이것을 中庸이라고 부른다. 極端的인 爲我主義와 極端的인 博愛主義 사이에서, 저울처럼 微細한 떨림을 통해 均衡이 이루어진다. 中(中)은 固定된 것이 아니다. 달려지는 物件, 저울대와 이것을 들고 있는 사람이 均衡을 이룰 때까지 저울錘는 中(中)을 찾아 이리저리 옮겨다닌다. 이 때 찾아진 均衡이 바로 兩極端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자연지중(自然之中)이다. 나와 너 사이에서 찾아진 곳, 나도 아니고 너도 아닌, 그러나 또한 나이기도 하고 너이기도 한 자리, 이것이 바로 中(中)이다. 이 자리에서 바로 나와 너가 疏通하고 어울릴 수 있다. 섞여 어울리지 않고 生命은 維持될 수 없다. 이것이 生命의 祕密이다.

變化經營專門家 bhgoo@bhgoo.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