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런던올림픽2012] 金 金 金 金 金…런던도 接受하라|東亞日報

[런던올림픽2012] 金 金 金 金 金…런던도 接受하라

  • Array
  • 入力 2011年 10月 25日 07時 00分


1999년 창단한 삼성 에스원 태권도단은 올림픽에서만 총 5개의 금메달을 거머쥐며 한국 태권도의 중추적 역할을 해 왔다. 2000시드니, 2004아테네, 2008베이징 대회 등 올림픽 3개 대회에서 연속 금메달을 따내기도 했다. 삼성 에스원 소속으로 가장 최근에 올림픽 금메달을 목에 건 선수는 2008베이징 대회 때의 손태진(오른쪽)이다. 스포츠동아DB
1999年 創團한 三星 에스원 跆拳道段은 올림픽에서만 總 5個의 金메달을 거머쥐며 韓國 跆拳道의 中樞的 役割을 해 왔다. 2000시드니, 2004아테네, 2008베이징 大會 等 올림픽 3個 大會에서 連續 金메달을 따내기도 했다. 三星 에스원 所屬으로 가장 最近에 올림픽 金메달을 목에 건 選手는 2008베이징 大會 때의 손태진(오른쪽)이다. 스포츠동아DB
■ 跆拳코리아 産室에 가다|<하> 三星 에스원 跆拳道段

新銳 손태진 等 올림픽 金 5名 排出…最高 實業팀
“4回 連續 올림픽 金메달 目標” 金빛 발차기 硏磨


大韓民國 跆拳道는 2000年 시드니올림픽에서 처음 正式種目으로 採擇된 以後 9個의 金메달을 따냈다. 特히 2008年 베이징올림픽에서는 男女 出戰 4體級에서 모조리 金메달을 따내는 奇跡을 이뤘다.

이 가운데 男子 68kg級의 金메달은 事實 우리 跆拳道界에서도 半信半疑했던 體級이었다. 스무 살의 나이에 國際 經驗도 많지 않은 新銳였던 손태진이 國家代表로 나섰기 때문이다. 그러나 손태진은 豫想을 깨고 世界의 强豪들을 잇따라 擊破하더니 決勝戰에서도 美國의 마크 로페즈와 2-2 接戰을 펼치다가 終了 直前 電光石火와 같은 오른발 앞차기를 성공시켜 우리나라에 베이징올림픽 通算 10番째 金메달을 膳賜했다.

바깥에서는 異變의 金메달로 여겼지만 跆拳道界에서는 손태진의 金메달 프로젝트를 構想하고 初志一貫 支援한 所屬팀 三星 에스원의 勝利라고 ‘베이징의 奇跡’ 原動力을 解釋하고 있다.

● 韓國 跆拳道와 三星 에스원

只今으로부터 12年 前인 1999年 3名의 코칭스태프와 14名의 選手로 出帆한 에스원 跆拳道段은 2011年 現在 全國 27個 跆拳道 實業팀 中 名實相符한 最高의 팀이라고 할 수 있다. 에스원 跆拳道段은 創團 첫 해부터 國內 主要大會에서 優勝을 차지하더니 아시아 選手權大會 및 世界 選手權大會까지 躍進했다.


가장 큰 大會인 올림픽만 살펴봐도 2000年 시드니올림픽에서 에스원 所屬의 김경훈과 李善熙가 나란히 金메달을 獲得했다. 이어 2004年 아테네올림픽에서 문대성과 장지원이, 그리고 2008年 베이징올림픽에서는 손태진이 金메달을 목에 걸었다. 올림픽 3個大會에서 連續 金메달을 따내며 金메달만 5個에 達한다.

跆拳道 宗主國의 自尊心을 지키는 기둥이라 할 만하다. 올림픽 外에도 에스원 跆拳道段은 2年에 한 番씩 開催되는 世界選手權大會를 包含해 大統領機, 協會長旗 等 國內 大會에서도 돋보이는 躍進을 거듭하고 있다. 이런 餘勢를 몰아 에스원 跆拳道段은 2012年 런던올림픽에서 4回 連續 올림픽 金메달 獲得을 目標로 金빛 발차기를 硏磨하고 있다.

김영준 記者 gatzby@donga.com 트위터@matsri2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