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名建築] <1>태평로 2街 ‘로댕|東亞日報 </1>

[서울의 名建築] <1>태평로 2街 ‘로댕

  • 入力 2006年 3月 23日 04時 42分


코멘트
1999년 5월 14일 문을 연 로댕갤러리의 야경은 대형 랜턴이 켜진 것처럼 신비롭다. 사진 제공 로댕갤러리
1999年 5月 14日 門을 연 로댕갤러리의 夜景은 大型 랜턴이 켜진 것처럼 신비롭다. 寫眞 提供 로댕갤러리
《600年이 넘는 歷史를 간직한 서울.

하지만 各種 開發이 進行되면서 서울에는 劃一化된 直六面體 콘크리트 建物들이 들어서기 始作했다. 그러나 서울 곳곳에는 獨創的인 디자인으로 人間과 調和를 이루는 建築物들이 存在한다.

바로 灰色빛 都市에 生氣를 불어넣는 現代 建築物이다.

文化空間이자 住居施設로 살아 숨쉬는 서울 속의 現代 建築物들을 每週 1回씩 紹介한다.》

22日 서울 中區 태평로2街. 빌딩 숲으로 가득한 이곳은 수많은 人波와 車輛으로 索莫하다.

하지만 이 서울 都心에 ‘유리로 반짝이는 性’李 있다. ‘로댕갤러리’다.

로댕갤러리에는 世界的인 美術家 로댕(1840∼1917)李 살아 숨쉰다. 1999年 5月 14日 世界에서 여덟 番째 로댕 專門 美術館으로 門을 열었다.

이곳에는 로댕이 靑銅으로 만든 作品을 原形대로 複製한 ‘地獄의 門’(1880∼1917年·680×400×85cm)과 ‘칼레의 市民’(1886∼1888年·210×240×190cm)이 자리 잡고 있다.

▽서울에서 로댕을 만나다=갤러리 안으로 들어서자 內部 全體가 모난 곳 없이 둥그스름한 模樣이다. 이 構造物을 디자인 한 美國 뉴욕 KPF 建築設計事務所에 따르면 발레의 ‘파드되(男女 2人舞)’를 形象化한 것이라고 한다.

갤러리 左側에 칼레의 市民이, 右側에는 地獄의 門이 各各 놓여 있다. 칼레의 市民이 왼쪽을 向해 苦惱 어린 몸짓을 보여 준다면 地獄의 門은 內部 全體를 壓倒하는 形象이다.

‘地獄의 門’은 로댕의 作品世界의 完結篇이라 할 수 있다. 그의 代表作인 ‘생각하는 사람’ ‘입맞춤’ ‘세 그림자’ 等 200餘 名의 群像이 뒤엉켜 人間의 貪慾과 絶望, 기쁨과 슬픔을 表現한다. 이 建物 外壁은 鐵製를 거의 쓰지 않고 大部分 젖빛(半透明) 琉璃로 處理했다. 一部 유리는 透明琉璃로 處理해 行人들이 美術館 內部를 살짝 鑑賞할 수도 있다.

▽로댕을 빛내 주는 建築物=로댕갤러리는 로댕 조각물을 뒷받침해 주는 背景인 同時에 그 自體로서도 藝術作品이라는 評價를 받고 있다.

이 갤러리의 韓國 側 코디네이터인 나우천 ㈜RAC 建築士事務所 代表는 “美國 獨逸 프랑스가 參與한 이 갤러리는 1995年 設計 當時 鐵筋 없이 琉璃로만 構成됐다”며 “낮에는 隱隱하고 밤에는 大型 랜턴이 켜진 것처럼 獨特한 느낌의 建築物”이라고 말했다. 로댕갤러리는 태평로 周邊 三星 系列社 建物 周邊에 對한 리노베이션 過程의 하나로 만들어졌다.

三星 本館의 콘크리트 構造物을 걷어 낸 뒤 三星生命 앞 駐車場을 分數가 있는 廣場으로 造成해 複合 文化空間으로 탈바꿈시켰다. 三星生命 建物과 連結돼 地下 쇼핑몰과 飮食店을 둘러볼 수도 있다. 올해 5月 14日까지 現代美術家 박이소의 遺作展이 열린다. 觀覽時間은 午前 10時∼午後 6時(月曜日 休館). 成人 3000원, 靑少年 2000원. 02-2259-7781∼2, www.rodingallery.org

황태훈 記者 beetlez@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