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 總選-大選은 ‘빅 데이터’ 選擧]‘빅 데이터’ 選擧 時代|東亞日報

[2012 總選-大選은 ‘빅 데이터’ 選擧]‘빅 데이터’ 選擧 時代

  • 東亞日報
  • 入力 2012年 2月 2日 03時 00分


코멘트

TV에 기대던 ‘이미지 選擧’는 끝났다… SNS에 흘러넘치는 民心을 터치하라
올해 總選 - 大選 IT革命

[채널A 映像] “鄭鳳柱에 기대고 安哲秀에 얹혀가고…”


‘이미지 選擧’의 時代가 가고 ‘빅 데이터 選擧’의 時代가 오고 있다.

버락 오바마 美國 大統領은 最初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大統領이다. 그는 TV 畵面에 비친 政治人의 모습이 選擧 結果에 重要한 役割을 하는 이미지 選擧의 終末을 豫測했다. 그 代身 스마트폰과 태블릿__3 들고 SNS와 인터넷 커뮤니티, 손수製作物(UCC), e메일 等을 통해 候補와 疏通하고 公約을 檢證하는 스마트한 有權者의 意見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確信했다.

오바마 大統領은 올해 45代 選擧를 앞두고 SNS 大統領에서 ‘빅 데이터’ 大統領으로 거듭날 채비를 마쳤다. 有權者가 SNS를 비롯한 뉴미디어를 통해 드러내는 ‘살아 있는 民心’을 보다 精巧하고 立體的으로 分析하겠다는 것이다. 오바마 캠프는 지난해 7月부터 통계학자, 豫測 모델學者, 데이터 發掘 專門家, 數學者, 소프트웨어 開發者 等으로 ‘빅 데이터 팀’을 꾸려 運營하고 있다. 最新 테크놀로지와 科學 技法을 動員해 인터넷 空間에서 쏟아지는 ‘빅 데이터’를 徹底히 分析해 2008年의 奇跡을 再現하겠다는 意圖다.

빅 데이터 專門會社인 美國 EMC의 金京鎭 韓國 支社長은 “빅 데이터 選擧 時代는 市民들의 集團知性이 公約으로 反映되는 時代”라며 “美國에선 올해 大統領이 數十萬 個의 앱(응용프로그램) 가운데 有用性을 檢證받아 最終 選擇되는 ‘킬러 앱’ 같은 面貌를 갖춰야 한다는 認識이 擴散되고 있다”고 紹介했다.

韓國에서도 온라인 民心을 反映하려는 움직임이 本格化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트위터 力量 지수를 公薦 審査에 反映하는 方案을 推進 中이다. 野圈에선 지난달 29日 全國 4個 試圖의 首長들이 트위터 討論을 펼치기도 했다.

빅 데이터 選擧 時代를 맞아 동아일보는 SNS 世上의 民心을 생생히 傳達할 豫定이다. 于先 트위터에 나타난 政治人들의 影響力 順位와 1月 한 달間 가장 많이 이름이 言及된 國會議員 順位를 公開한다.

지난달 31日 現在 트위터에서 政治人의 影響力을 評價한 結果 統合進步黨 李正姬 共同代表가 1位로 나타났다. 朴元淳 서울市長, 文在寅 盧武鉉財團 理事長, 문성근 民主統合黨 最高委員, 韓明淑 民主統合黨 代表가 뒤를 이었다. 與圈 人士 가운데는 김문수 京畿道知事(8位)와 朴槿惠 한나라黨 非常對策委員長(10位)李 10位 안에 들었다.

정진욱 記者 coolj@donga.com  
이서현 記者 baltika7@donga.com  
:: 빅 데이터 選擧 ::


選擧 勝利를 위해 데이터의 蒐集과 分析이 그 어느 때보다 重要해진 올해 選擧를 象徵하는 用語. ‘빅 데이터’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等 새로운 情報技術(IT)의 發展에 따라 생겨나는 厖大한 데이터를 뜻한다. 버락 오바마 美國 大統領이 이番 大選을 對備해 살아있는 民心을 精巧하게 分析하기 위한 ‘빅 데이터 팀’을 꾸리면서 政治 現場의 話頭로 注目받고 있다.  
#選擧 #SNS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