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大規模 地上戰 臨迫했나…獨연방군-美지상군-英특공대 派兵臨迫|東亞日報

大規模 地上戰 臨迫했나…獨연방군-美지상군-英특공대 派兵臨迫

  • 入力 2001年 11月 7日 02時 17分


獨逸이 美國의 아프가니스탄 攻擊을 支援하기 위해 3900名 規模의 兵力을 派遣하기로 6日 決定했다. 이 같은 獨逸의 大規模 派兵 決定은 英國에 이어 두 番째다. 이에 앞서 美國은 아프간 內 地上軍 兵力을 크게 增强했으며 타지키스탄의 軍事基地들에 對한 大大的인 調査作業에 나서 大規模 地上侵攻이 臨迫한 것이 아니냐는 推測을 낳고 있다.

▼毒 "聯邦軍 3900名 아프간 派兵"

게르하르트 슈뢰더 獨逸 總理는 이날 美國이 아프가니스탄 戰爭에 獨逸이 參戰할 것을 要求해옴에 따라 곧 獨逸 聯邦軍 3900名이 아프간에 投入될 것이라고 밝혔다고 外信들이 傳했다.

슈뢰더 總理는 이날 野黨 指導者들과 아프가니스탄 派兵 問題를 論議한 後 가진 記者會見에서 美國이 獨逸軍 3900名의 參戰을 要請했다고 밝히고 이에 따라 醫療 志願兵, 生化學戰 對應 部隊, 그리고 特殊部隊 一部를 派兵할 것이라고 傳했다.

▼關聯記事▼

- 러시아에서 첫 炭疽菌 發見
- 빈 라덴 核-生化學武器 購入 試圖
- 美 아프간 攻襲 經費는

슈뢰더 總理는 “이番 軍事支援은 國際 大(對)테러 戰爭의 一部分이며 派遣 兵力은 支援役割에 限定될 것”이라고 말하고 “美國이 空軍이나 地上軍 派兵은 要請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獨逸 言論들은 獨逸이 아프간 戰爭에 特殊部隊, 生化學 武器 센서가 裝着된 裝甲車, 無人 偵察機, 醫療病 等을 派兵할 計劃이라고 報道했다.

野黨인 기민당의 프리드리히 메르츠 院內議長은 슈뢰더 總理와 만난 뒤內閣이 7日 中 美國의 軍事支援 要請에 同意할 것이라면서 議會가 다음週中 派兵을 承認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메르츠 議長은 “獨逸 地上軍이 直接 戰鬪에 參與하지는 않겠지만 아프간 內部에 配置될 수는 있다”며 “美國과의 連帶가 ‘實際 行動’에 突入했다”고 말했다.

▼美 地上軍 兵力 3~4倍까지 擴大

美軍은 아프가니스탄 內에 投入한 地上軍 兵力을 最近 2.5倍로 增强했으며 앞으로도 兵力을 追加 投入할 準備가 돼 있다고 도널드 럼즈펠드 美 國防長官이 5日 밝혔다.

印度 訪問을 마치고 歸國길에 오른 럼즈펠드 長官은 “地上軍 兵力을 2.5倍 增强했고 이들이 作戰을 펼치는 아프간 內 地域도 2個 地點에서 4個 支店으로 늘어난 狀態”라고 說明했다. 그는 特히 初期에 投入된 地上軍 兵力의 規模를 앞으로 3, 4倍까지 늘릴 準備가 돼 있다고 말했다.

▼英特攻隊 等 冬節期 浸透 準備

美軍 調査團이 타지키스탄의 基地들을 調査하고 있는 것은 아프가니스탄 內 基地 掌樂課 窮極的으로는 大規模 地上侵攻을 위한 準備作業이라고 英國 日刊 데일리 텔레그래프가 報道했다.

英國 特殊部隊 SAS要員이 包含된 調査團이 키르기스스탄과 카자흐스탄 內에 있는 基地들도 調査할 豫定이며 이는 冬節期 特殊部隊作戰을 위한 橋頭堡 確保보다는 훨씬 더 큰 作戰을 念頭에 둔 것임을 示唆하는 것이라고 新聞은 傳했다.

타지키스탄 內의 基地들은 美空軍의 F15스트라이크이글기와 F16팰컨 戰爆機들의 탈레반 戰線에 對한 攻襲에 活用될 것이라고 新聞은 덧붙였다.

<선대인기자·이슬라마바드apafp연합>eodl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