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종묵의 ‘漢詩 마중’] <29>不眠의 밤|東亞日報 </29>

[이종묵의 ‘漢詩 마중’] <29>不眠의 밤

  • Array
  • 入力 2012年 12月 11日 03時 00分


코멘트
肅宗 年間의 文人 조태채(趙泰采)는 ‘老衰함을 歎息하며(歎衰)’라는 詩에서 ‘병든 齒牙 있은들 몇 個나 되겠는가? 시든 白髮 나날이 빠지니 몇 가닥 남았나? 앉으면 늘 졸음이 쏟아져 잠 생각만 懇切하고, 일어날 때 허리 짚고 아이쿠 소리를 지른다(病齒時存凡幾箇 衰毛日落許多莖 坐常垂首惟眠意 起輒扶腰自痛聲)’라고 하였습니다. 나이가 든 분이라면 이 句節에 절로 共感이 갈 겁니다. 또 19世紀 전후한 時期의 文人 이복기(李福基)는 ‘老年이라 잠자는 일이 잘 되지 않아, 初저녁엔 꾸벅꾸벅 깊은 밤엔 말똥말똥(老年寢事未全成 初夜昏昏後夜淸)’이라 하였는데, 낮에는 늘 꾸벅꾸벅 졸다가 정작 남들이 다 자는 밤에는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 亦是 避해갈 수 없는 老化 現象입니다.

正則(鄭칙·1601∼1663)이라는 文人은 老年에 不眠의 밤을 자주 보냈습니다. 잠을 이룰 수 없어 燈盞불을 껐다 켜기를 몇 番이나 反復합니다. 옆房에서 便히 코를 골고 자는 下人이 얄미워서 시킬 일도 없으면서 괜스레 불러 깨워봅니다. 그렇게 뒤척이다 어느새 새벽 닭 울음소리가 들리고 창이 훤해집니다. 이보다 더 반가운 일이 없습니다. 이 분은 生의 마지막 作品으로 비슷한 題目의 詩를 지었는데 ‘늘그막에 閑暇하여 일이 없기에, 歲月이 오고 가는 것 살펴보노라. 窓門 하나 밝았다 어두워지는 사이에, 그저 百年 人生 바삐 감을 알겠네(老去閒無事 光陰閱往來 一窓明暗裏 惟覺百年催)’라 하였습니다. 누워서 멍하게 窓밖을 내다보는 그의 쓸쓸한 눈길이 느껴져 서글퍼집니다.

이종묵 서울대 國語國文學科 敎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