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漢字 이야기] <1206>故로 曰爾爲爾요…|동아일보 </1206>

[漢字 이야기] <1206>故로 曰爾爲爾요…

  • Array
  • 入力 2011年 7月 28日 03時 00分


코멘트
春秋時代 魯(盧)나라의 柳下惠(유하혜)는 政治 參與와 人間關係에서 不恭(佛供·恭遜치 못함)의 態度를 取한 사람이다. 孟子에 따르면 유하혜는 더러운 君主를 섬김을 부끄럽게 여기지 않고 작은 벼슬에 就職함을 卑屈하게 여기지 않았다. 이러한 態度는 伯夷(白이)가 惡人의 調整에 서는 것과 惡한 사람과 더불어 말하는 것을 마치 公服(公僕)을 입고 더러운 진흙과 숯 위에 앉아 있는 듯이 여겼던 것과는 다르다. 또한 유하혜는 어떤 사람이 곁에서 웃옷 한쪽을 벗거나 아예 몸을 다 드러내더라도 掛念(掛念)하지 않았다. 이것은 백이가 고을 사람과 함께 서 있을 때 그 고을 사람이 冠(棺)을 바르게 쓰고 있지 않으면 허둥허둥 떠나가 마치 將次 自己를 더럽히기라도 할 듯이 했던 것과는 다르다.

曰 以下는 유하혜가 했던 말이나 或은 했음 직한 말을 옮긴 것이다. 爾爲爾는 ‘너는 너다’라는 말이다. 이때의 爾는 너 汝(女)와 마찬가지로 二人稱 代名詞다. 我爲我는 ‘나는 나다’라는 말이다. 或은 ‘爾爲爾, 我爲我’를 ‘너는 네 일이나 해라, 나는 내 일을 하겠다’는 뜻으로 풀이할 수도 있다. 袒(昔,체)은 웃옷의 한쪽 어깨를 드러내는 일을 말한다. 옛날에는 自身의 本色을 드러낸다는 뜻에서 한쪽 어깨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그 痕跡이 日本의 武士 風習에 남아 있었다. 여기서는 無禮하게 구는 것을 比喩한다. 裸鄭은 옷을 벗어서 裸體(裸體)가 됨을 말한다. 더욱 無禮한 態度를 짓는 것을 比喩한다. 爾焉能매我哉는 反語法의 表現이다. 焉은 ‘어찌’라는 뜻의 疑問死다.

유하혜는 남이 아무리 無禮한 態度를 짓더라도 掛念하지 않았다. 그렇기에 孟子는 그를 聖人 가운데 和(火)를 窮極에까지 實踐한 분이라고 했을 것이다. 그러나 和는 正義의 觀念이 없이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은 鄕原(鄕園)의 일이 아니다. 金時習(金時習)李 말했듯이, 배움이 깊고 德이 充滿한 사람의 일이다.

심경호 고려대 漢文學과 敎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