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아홉살의 必讀書 50卷] <12>漢詩이야기|東亞日報 </12>

[열아홉살의 必讀書 50卷] <12>漢詩이야기

  • 入力 2005年 11月 1日 03時 00分


코멘트
이 冊은 著者가 自身의 아들인 ‘벼리’에게 한時를 說明해 주는 形式으로 되어 있지요.

벼리, ‘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라고 하는데 뜻과는 멀지만 金빛 벼 이삭이 생각나는 참 어여쁜 이름이지요. 아버지의 冊과 함께 벼리의 이름도 널리 알려졌는데 벼리 君은 氣分이 어떨까요?

무엇보다도 아들에게 數學이나 英語, 컴퓨터가 아닌 詩의 힘에 對해, 우리 마음속에 있는 무늬와 사람 사이의 따뜻한 情에 對해 알려주기 위해 冊을 펴낸 아버지의 마음이 먼저 와 닿았답니다. 漢詩를 專攻하는 아버지께서 이렇게 意味 있는 한글 이름을 지어 주신 뜻을 斟酌해 볼 수도 있었지요. 이미 이름을 얻을 대로 얻은 冊이지만 너무 빛나는 이름에 或是 그냥 스쳐 지나간 ‘읽새님’들이 있을까 하여 이 冊의 香氣를 함께 나누고자 합니다.

‘漢詩를 통해 배울 수 있는 것은 내가 나 自身의 主人이 되게 만드는 힘’이라는 맺음말처럼, 이 冊에서 나누고 싶은 것은 華麗한 겉멋보다는 素朴하며 眞實한 內面의 힘입니다. 그것이 詩가 지닌 異常한 힘이기도 하고요. 漢詩를 利用해 뭔가 아는 체하기 爲한 것이 아니고 ‘옛날 이 땅에 살았던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며 살았는지, 그리고 그 생각이 오늘날까지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重要하다’고 하셨지요. 언젠가 듣고 좋아서 마음속에 새겨 놓은 末 ‘只今 사람 가벼이 보지 않고 옛 사람도 사랑하네’(‘학산당인보·學山堂印譜’에서)도 이와 통하는 말이 아닐까 해요.

秋史 金正喜 先生님의 글 ‘작은 窓에 햇볕이 가득하여, 나로 하여금 오래 앉아 있게 한다’에 담겨 있는 옛 사람들의 넉넉한 精神과 풍요로움은 오늘날의 그 어떤 物質的 豐饒와도 바꿀 수 없는 貴한 것이지요.

學校에서 벼리 또래의 學生들을 가르치면서 어려움에 부닥치는 것 中 하나는 詩 工夫랍니다. 여러 가지 方法과 쉬운 말로 가르쳐 보지만 詩를 어려워하는 親舊들이 如前히 많아요. “느껴 보라”는 말을 第一 어렵게 생각하지요. 거기에 대고 한時를 내어 놓으면 아마 고개부터 돌리고 말 걸요. 컴퓨터 게임은 몇 秒 만에 畵面이 바뀌지만, 詩는 오래 바라봐야 하고 오래 생각해야 하는 約된醬 같은 것인데, 빨리 正確한 答을 얻으려 하기 때문에 그런 것 같아요. 雄辯보다 더 힘이 센 沈默, 열 마디보다 더 큰 울림이 있는 한 마디. 그런 힘이 詩 속에 있지요.

本文에 있는 漢詩는 우리말로 풀어 놓았고 原文은 뒤에 실었기 때문에 負擔 없이 읽을 수 있어 좋습니다. 徐徐히 다가오는 듯하다가 어느 날 와락 안겨 드는 가을 丹楓처럼 漢詩의 큰 힘에 빠져들 수 있지요. 무엇보다도 詩는 읽는 맛인데 나직이 읊조려 읽어 본다면 市의 깊은 맛을 더할 수 있을 겁니다. 時에는 異常한 힘이 있다고 했는데 冊 속에 있는 이 文章 ‘꽃을 밟고 돌아가니 말발굽에서 香氣가 난다’처럼 꽃에서 묻어나는 香氣와 같이, 이 冊을 만나고 느끼고 깨달아, 事物을 바라보는 方法과 自己의 생각을 表現하는 方法을 조금씩 배워 나갈 수 있다면 온 삶에 香氣가 채워지지 않을까요.

벼리 軍도 아버지의 바람처럼 마음과 마음이 오가는 關係의 힘을 所重히 여기는 지혜로운 사람으로 커 나가면 좋겠습니다.

金泰希 高陽 백마중 國語敎師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