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늙은이들의 386愛唱曲 메들리|東亞日報

애늙은이들의 386愛唱曲 메들리

  • 入力 2005年 9月 7日 03時 04分


코멘트
“우린 사진 찍을 때 항상 어색해요.” 9일 리메이크 음반 ‘클래식 오디세이’를 발표하는 3인조 그룹 ‘SG워너비’. 왼쪽부터 채동하, 김진호, 김용준. 김미옥 기자
“우린 寫眞 찍을 때 恒常 語塞해요.” 9日 리메이크 音盤 ‘클래식 오디세이’를 發表하는 3人組 그룹 ‘SG워너비’. 왼쪽부터 채동하, 김진호, 金容俊. 김미옥 記者
5日 午後 4時 3人組 그룹 ‘SG워너비’ 인터뷰 1時間 前. 電話벨이 울렸다.

“安寧하세요. 罪悚합니다만 30分 程度 늦을 것 같아요. 點心을 아직 못 먹었어요…”

5時 半. 서울 세종로 동아미디어센터 나타난 이들. 멤버 채동하(24)의 얼굴이 하얗다.

“몸살이 겹쳤어요. 푹 쉬어야 되는데 하루를 못 쉬고 있네요.”

‘人氣 歌手’가 되면 나타나는 症狀들이다. 말은 않지만 몸으로 ‘人氣’를 아우성치는 이들. 올해 3月 2輯 ‘살다가’로 40萬張을 넘긴 이들이 9日 發賣 豫定인 리메이크 音盤 ‘클래식 오디세이’로 2005年 ‘人氣’ 굳히기 한 판을 計劃 中이다.

“只今도 ‘우리가 眞짜 人氣 그룹 맞아?’라고 어리둥절해요. 人氣에 對한 負擔도 크죠. 하지만 繼續 挑戰하는 것이 좋더라고요. 7, 80年代 히트曲들을 리메이크하는 것도 많은 분들이 ‘얘네 이런 노래도 부를 줄 아는구나’ 라고 봐주셨으면 해요.”(김용준)

타이틀曲인 ‘해바라기’의 ‘내 마음의 寶石箱子’는 클래식한 발라드 버전으로 再誕生됐다. 2輯 타이틀曲 ‘살다가’의 延長線에 있는 느낌으로 가을을 겨냥한 催淚性 발라드 曲. 또 1980年 MBC 大學歌謠祭 對象穀人 이범용, 한명훈의 ‘꿈의 對話’는 原曲의 맛을 살린 포크 버전과 ‘SG워너비’式으로 解釋한 리듬앤드블루스 버전으로 各各 다르게 불렀다. 이 밖에 ‘動物園’의 ‘혜화동’. 임지훈의 ‘사랑의 썰물’ 等 收錄된 14曲 모두가 386世代의 愛唱曲들. 맏兄인 채동하는 勿論 김진호(20), 金容俊(21) 모두 댄스와 힙합을 좋아할 20代 初盤의 靑年들이다. 이런 세 사람이 ‘애늙은이’ 같은 選曲을 한 것을 보면 ‘挑戰’이 맞긴 맞는 듯하다.

“周圍 분들이 걱정을 많이 하세요. 하지만 그게 努力이죠. 現在 有名한 曲을 리메이크하는 것은 쉽지만 새로운 것을 배우지 못하잖아요. 예전 先輩님들은 感情處理를 어떻게 했는지 알 수도 있고…. ‘애늙은이’라는 表現은 音樂的으로 그만큼 여러 世代를 휘어잡고 있다는 뜻이 아닐까요?”(채동하)

그러나 그들이 말하는 眞正한 ‘挑戰’은 바로 自身들과의 싸움이란다. 올해만 벌써 10名 以上의 歌手들이 리메이크 音盤을 發賣했지만 히트作은 손에 꼽을 程度로 없다. 리메이크 音盤 洑물 속에서 자칫 2輯 ‘살다가’로 얻은 人氣와 名聲에 금이 갈 수 있는 狀況. 그들은 只今 審判臺 위에 올라와 있다.

“우리 目標는 歌謠 順位 1位, ‘밀리언셀러’ 보다 그저 꾸준히 노래를 하는 것입니다. 가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音盤 몇 張 팔렸는지 인터넷으로 檢索하는 제 自身을 批判할 때도 있어요. 하지만 重要한 것은 熱心히 노래하는 사람에게는 어느 누구도 못 當한다는 事實. 아시죠?”(김진호)

김범석 記者 bsis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