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放送]놀라워라! 統一新羅의 하이패션|東亞日報

[放送]놀라워라! 統一新羅의 하이패션

  • 入力 2005年 1月 5日 17時 45分


코멘트
장보고(최수종)노예 검투사, 상단(商團) 호위 무사, 청해진 대사로 변신을 거듭함에 따라 의상 변화도 가장 많은 인물. 검투사 시절의 복장은 사료 부족으로 서양의 갑옷에 동양적 문양을 넣어 사용했다. 러셀 크로가 검투사로 나오는 영화 ‘글래디에이터’와 비슷하다고 해 ‘글래디 최’라는 별명도 얻었다.
場보고(최수종)
奴隸 劍鬪士, 上段(商團) 護衛 無事, 淸海鎭 大使로 變身을 거듭함에 따라 衣裳 變化도 가장 많은 人物. 劍鬪士 時節의 服裝은 飼料 不足으로 西洋의 甲옷에 東洋的 文樣을 넣어 使用했다. 러셀 크로가 劍鬪士로 나오는 映畫 ‘글래디에이터’와 비슷하다고 해 ‘글래디 崔’라는 別名도 얻었다.
긴 곱슬머리에 로마時代 劍鬪士 같은 甲옷을 입은 場보고, 가슴腺이 보일 듯 말 듯 아슬아슬한 露出을 試圖한 新羅의 眞骨 貴族 夫人.

統一新羅時代 張保皐의 一代記를 그린 KBS2 TV 퓨전 史劇 ‘해신’(水 木 밤 9:55)에 나오는 登場人物들의 破格的인 衣裳과 머리 模樣이 話題가 되고 있다. 場보고, 염장, 자미否認, 淨化 等 主人公들은 衣裳과 머리 模樣의 컨셉트가 뚜렷해 온라인 게임의 캐릭터를 보는 듯하다. 이처럼 華麗하고 自由奔放한 衣裳들은 黨(唐)과 日本, 아라비아 地域과 活潑한 交易이 이뤄졌던 當時의 力動的 時代相을 보여준다.

KBS 아트비전 美術製作部 유수정 氏는 “正統劇이 아닌 퓨전 史劇인데다 高解像度(HD)로 製作되는 點을 勘案해 考證과 크게 어긋나지 않는 範圍 안에서 視覺的 效果를 極大化할 수 있도록 衣裳을 디자인했다”고 說明했다.

KBS 考證委員인 김미자 서울여대 衣類學科 敎授는 統一新羅時代가 韓國 服飾史上 가장 華麗했던 時期라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三國時代에는 세 나라 모두 高句麗 古墳 壁畫에서 보듯 치마나 바지 위에 엉덩이까지 내려오는 저고리를 입고 허리에 띠를 두르는 옷을 입었어요. 統一新羅時代로 넘어오면서 上流層은 華麗한 唐나라의 衣裳을 입기 始作했죠. 上流層과 庶民들의 衣服이 달라지기 始作한 것입니다.”

唐나라 女子 衣裳의 特徵은 저고리 위에 치마를 입는 것. 그 위에 華麗한 숄을 걸치거나 두루마기 같은 褙子를 걸쳐 입었다. 드라마에서처럼 가슴 露出이 甚한 옷들도 많았다.

複式 專門家들은 ‘해신’에서 考證과 가장 距離가 먼 部分이 男子 出演者들의 머리 模樣이라고 指摘한다. 上流層 女性들의 境遇 머리 模樣이 가지各色이었지만 男性의 境遇 드라마에서처럼 풀어헤쳐진 머리는 없고 한 갈래로 땋거나 상투를 틀어 斷定했다는 것이다.

視聽者들은 “史劇에서는 볼 수 없던 아름다운 衣裳이다” “考證을 거치지 않은 싸구려 舞臺 衣裳 같다” 等 엇갈린 反應을 보이고 있다.

누리꾼(네티즌) ‘홍정아’는 드라마 인터넷 揭示板에 올린 글에서 “只今까지 봤던 史劇 中에 衣裳이 가장 멋지다. 韓服으로도 西洋 드레스와 같은 옷을 만들 수 있다니, 옷을 보려고 이 드라마를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類造成’은 “衣裳들이 너무 黨風(唐風)을 따랐다. 中國人들이 이 드라마를 본다면 韓國의 모든 文化가 中國의 亞流라고 認識하지 않을까 憂慮된다”고 指摘했다.

이진영 記者 ecol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