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演 리뷰]小說처럼 들려주는 한 天才의 孤獨 `검은 搜査`|東亞日報

[公演 리뷰]小說처럼 들려주는 한 天才의 孤獨 '검은 搜査'

  • 入力 2002年 9月 9日 17時 54分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극 전개와 공중에 매달린듯한 무대가 실험적인 러시아 연극 [검은수사].사진제공 LG 아트센터
過去와 現在를 넘나드는 劇 展開와 空中에 매달린듯한 舞臺가 實驗的인 러시아 演劇 [檢隱修士].寫眞提供 LG 아트센터
演劇의 時祭는 永遠한 現在다. 過去의 歷史를 다룰 때조차 그것이 ‘只今, 여기서, 처음’일어나는 것처럼 꾸민다. 觀客들도 기꺼이 속아준다. 그러나 小說의 時祭는 過去다. 새로운 實驗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小說은 根本的으로 이미 지나간 이야기를 들려주는 形式을 取한다. 그런데 最近 서울 LG아트센터에서 幕을 내린 모스크바 ‘젊은 觀客을 위한 極端’의 ‘검은 搜査’는 이 槪念을 破壞했다.

안톤 체홉의 短篇小說을 카마 긴카스가 脚色하고 演出한 이 公演은 華麗한 볼거리는 없지만, 小說텍스트를 演劇텍스트로 만든 方法이 매우 獨創的이었다. 劇은 天才學者 코브린이 平凡한 農場의 딸 타냐와 結婚하여 不幸해지는 이야기다. 哲學的 思惟의 幻覺에서 검은 搜査를 만나는 男便을 아내는 미쳤다고 斷定하고 牛乳를 엄청나게 먹이며 그를 正常人의 世界로 끌어내리려 하는데 이 夫婦關係가 順坦할 理 없다. 精神世界와 物質世界, 靈的 世界와 六賊 世界의 結合이 破局에 이른다. 學者는 혼자된 뒤 비로소 검은 搜査를 다시 만나 孤獨하지만 幸福한 모습으로 죽음을 맞는다.

演出者 긴카스의 偉大한 選擇은 小說의 時祭를 그대로 維持한 것이었다. 登場人物들은 各自의 心理的이며 肉體的인 行動들을 過去時制로 描寫하고 解說했으며 對話의 場面에선 演劇처럼 現在時制를 使用했다. 俳優들은 對話할 때나 自身에 對해 解說할 때 똑같이 感情을 充滿하게 投入했다. 그리고 相對의 解說에 對해서도 對話할 때와 똑같이 情緖的으로 反應했다. 이런 考案을 통해서 긴카스는 舞臺 위의 疏通을 過去와 過去, 過去와 現在, 現在와 現在 等 다양한 層位로 擴大하여 우리의 삶에서 過去와 現在, 意識과 直觀, 現實과 幻想 사이의 壁을 허물면서 人間存在에 對한 우리의 읽기에 한 次元을 더 보탰다. 過去的 小說과 顯在的 드라마의 幸福한 結婚으로 새로운 種의 藝術이 誕生한 것이다.

긴카스의 空間디자인 또한 印象的이었다. LG 아트센터의 2層 客席에 舞臺와 客席을 따로 마련하고 나머지 劇場 全體를 背景化한 것인데, 空中에 매달린 듯한 客席과 舞臺는 마치 漆黑 같은 어둠에 쌓인 높은 山의 中턱쯤으로 느껴졌다. 不確實性, 神祕함, 두려움, 疏外, 孤獨, 危險 等 우리가 살면서 겪어야 하는 모든 것들이 廣闊한 背景을 이루며 矮小한 舞臺와 客席을 威脅하고 에워쌌다. 이 藝術至上主義의 舞臺 위에서 세르게이 마코베츠키(코브린), 이고르 冶술로비値(검은 搜査), 율리아 스베자코바(타냐), 블라디미르 카시퍼(타냐의 아버지 驛) 等 네 名의 훌륭한 俳優들은 러시아의 偉大한 延期傳統에 따라 登場人物의 性格을 事實的으로 再現하거나 이미지로 表現하면서 체홉의 神祕하고 抒情的인 作品을 잘 섬겨줬다.

‘검은 搜査’는 小說과 演劇의 障壁을 허물어 哲學보다 깊고 來日보다 더 現代的인 演劇을 이룩했다.

김윤철 (演劇評論家·韓國藝術綜合學校 敎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