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冊]`메밀꽃…`作家 李孝石 未公開 隨筆 3篇 發掘|東亞日報

[冊]'메밀꽃…'作家 李孝石 未公開 隨筆 3篇 發掘

  • 入力 2002年 7月 8日 18時 30分


36歲로 夭折한 ‘메밀꽃 필 무렵’의 作家 李孝石(1907∼1942·寫眞)이 中國 하얼빈(哈爾濱)을 旅行한 뒤 日本語로 쓴 未公開 隨筆 세 篇이 發見됐다.

文學評論家 金允植(명지대 碩座敎授)은 李孝石이 1939年과 1940年 두 次例에 걸쳐 하얼빈을 旅行한 뒤 新聞 等에 寄稿한 隨筆 ‘大陸의 껍질’ ‘北滿洲 消息’ ‘새로운 것과 낡은 것-滿洲旅行斷想’ 等을 最近 發掘해 月刊 ‘현대문학’ 7月號에 公開했다.

‘大陸의 껍질(大陸の皮)’은 ‘京城日報(京城日報)’에 1939年 9月 15日부터 19日까지 나눠 실은 글. 하얼빈의 古色 蒼然한 距離 等을 審美主義的으로 그리고 있다.

하얼빈에서 案內를 맡았던 숭실전문학교 弟子 K軍의 이야기를 쓴 ‘北滿洲 消息(北滿だょり)’은 作家가 하얼빈에서 돌아온 뒤 1939年 11月 ‘朝鮮級滿洲(朝鮮及滿洲)’에 揭載했던 글이며, ‘새로운 것과 낡은 것(新しさと古さ)’은 두 番째로 滿洲를 旅行한 作家가 1940年 11月 26, 27日에 ‘萬駐日일新聞(滿洲日日新聞)’에 쓴 隨筆이다.

隨筆을 發掘 및 飜譯한 金允植氏는 解說文 ‘李孝石 文學과 하얼빈’에서 “하얼빈은 李孝石의 審美主義를 잘 보여주는 指標의 하나이며, 初期 短篇 ‘노령근해’(1930)와 ‘北極使臣’(1930), 後記 長篇 ‘벽공무한’(1940) 및 短篇 하얼빈(1940)은 그가 하얼빈을 體驗한 뒤 그곳에서 느낀 슬라브語의 形言할 수 없는 울림을 빛깔로 나타낸 것”이라고 分析했다.

조이영記者 ly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