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靑春포털’ 열리니 地域 靑年 모여드네|동아일보

‘靑春포털’ 열리니 地域 靑年 모여드네

  • 東亞日報
  • 入力 2024年 2月 15日 03時 00分


코멘트

大田 西區의 靑年 專用空間… 敎育-講演-體驗行事 等 無料 進行
스튜디오부터 放送 裝備까지 갖춰
靑年네트워크 만들어 政策 提案도
多樣한 分野의 創業포럼 열고, 원데이 클래스 等 體驗도 運營

대전 서구 청년 공간 청춘포털은 지역 청년을 대상으로 창업, 문화예술, 강사 양성, 취미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1월 열린 제1회 청년창업포럼 참가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청춘포털 제공
大田 西區 靑年 空間 靑春포털은 地域 靑年을 對象으로 創業, 文化藝術, 講師 養成, 趣味 等 다양한 活動을 支援하고 있다. 寫眞은 지난해 1月 열린 第1回 靑年創業포럼 參加者들이 記念 撮影을 하고 있는 모습. 靑春포털 提供
“靑年 創業者들끼리 마주해서 얘기하니까 時間 가는 줄 몰랐습니다. 同僚가 있다는 생각에 든든합니다.”

2018年 3月에 天然 비누·化粧品 分野 創業을 한 노시연 氏(36)는 14日 이렇게 말했다. 盧 氏는 大田 西區 靑年 空間인 ‘靑春포털’에서 企劃하고 進行한 ‘大戰靑年創業포럼’에 모두 參加했다. 포럼은 지난해 8月 마케팅 分野를 始作으로, 11月 헬스 케어 分野 靑年 創業者가 講演에 나섰다. 24日 열릴 第3回 포럼에는 敎育事業을 하는 靑年 創業者가 豫備 靑年 創業者들을 만날 豫定이다.

地域 靑年(만 19∼39歲)들의 꿈 놀이터인 西區 도마동 ‘靑春포털’은 지난해 3月에 門을 열었다. 254㎡(藥 77坪) 規模에 自由롭게 쓸 수 있는 冊床이 있는 열린 空間, 舞臺, 放送 裝備가 갖춰진 防音 스튜디오, 按舞 演習室, 會議 學習 空間 等으로 構成돼 있다. 大田 地域 靑年을 對象으로 各種 敎育, 講演, 體驗行事를 無料로 進行한다. 創業과 面接, 傳統文化, 웹小說 作家入門半 等 正規 敎育課程과 함께 그림 그리기 같은 單發性으로 進行되는 ‘원데이 클래스’도 運營 中이다.

지난해 11月에는 地域 靑春 男女들의 만남을 周旋하기도 했다. 地域 靑年 男女 各 6名, 總 12名이 參與한 이 行事는 料理 만들기처럼 함께할 수 있는 時間을 마련해 큰 呼應을 얻었다. 이를 바탕으로 17日에는 離婚한 靑春 男女의 새로운 出發을 위한 만남까지 企劃하고 있다.

이 밖에 地域 靑年들의 다양한 活動도 돕고 있다. 靑春포털에 있는 모든 什器類는 無料로 쓸 수 있다. 輻射나 스캔度 可能하고 다양한 分野의 雜誌, 新聞, 英文 書籍도 準備돼 있다. 카메라, 마이크, 노트북 等 放送 裝備를 빌리는 데도 費用이 들지 않는다. 靑年이면 누릴 수 있는 것이 많다 보니 입所聞을 타 開館 以後 11個月 동안 累積 訪問客 數는 4689名을 記錄했다.

靑年 活動 底邊을 넓히기 위한 對外 活動도 活潑하다. 大戰科學技術大, 西區필라테스協會, 참스포츠나눔協同組合, 보컬스쿼드, ㈜제일에듀스, 極端 味覺 等 6個 團體와 業務 協約을 했다. 올해부터는 西歐靑年네트워크도 運營한다. 西歐靑年네트워크는 靑年政策을 提案하는 政策 參與機構로 2017年 5月에 始作돼 現在까지 地域 靑年 200餘 名이 參與했다.

市에서 運營하는 靑年 空間은 3곳(靑年나들목, 靑年두頭두, 靑年너나들이)이다. 自治區가 運營하는 靑年 空間은 西區 3곳(靑春포털, 靑春스럽, 靑春停車場), 大德區(靑年벙커), 東區(東區同樂), 中區(靑年모아)는 各各 1곳이며 유성구는 없다.

최정현 靑春포털 센터長은 “差別化되고 健全한 敎育과 즐길거리를 끊임없이 發掘해 靑年들이 살고 싶은 對戰을 만드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靑春포털은 平日(月∼金曜日)에는 午前 11時부터 午後 9時까지, 土曜日은 午前 11時부터 午後 7時까지 運營한다. 日曜日과 公休日은 쉰다.


김태영 記者 live@donga.com


#靑春포털 #靑年 專用空間 #創業포럼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