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國通 키신저가 본 ‘韓國戰爭’의 原因은[김상운의 빽투더퓨처]|東亞日報

中國通 키신저가 본 ‘韓國戰爭’의 原因은[김상운의 빽투더퓨처]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12月 25日 11時 00分


코멘트

[13] 키신저와 國際政治 中

美國 現實注意 外交의 巨頭로 美中 데탕트 主役인 헨리 키신저(1923~2023)는 韓國戰爭을 어떻게 봤을까요. 美國과 中國이 韓國戰爭의 主要 交戰國이었다는 事實을 勘案하면 美國은 勿論 中國 外交에도 造詣가 깊었던 그의 視角이 더 궁금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最近 키신저 別世를 契機로 그의 現實注意 外交街 學問的으로 어떻게 形成되었고, 그것이 現實政治에 끼친 影響을 分析한 12回 (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31210/122564144/1 )에 이어 이番에는 그 延長線上에서 韓國戰爭의 原因과 背景을 具體的으로 살펴보겠습니다.

美國 外交 特有의 道德主義的 原則主義에 注目하고, 그에 對한 代案을 提示한 키신저의 視角에서 韓國戰爭을 보면 戰爭 當事者였던 美國의 움직임이 쉽게 理解될 수 있습니다. 韓國戰爭에서 美國의 行態는 우크라이나-러시아 戰爭이나 이스라엘-하마스 戰爭에서도 反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죠. 그럼, 韓國戰爭을 理解하기 위해 반드시 짚어야 하는 第2次 世界大戰 直後로 時計를 돌려보겠습니다(키신저의 代表作 ‘Diplomacy(1994)’를 비롯한 國內外 文獻들을 參考했습니다.)

同志에서 敵으로…. 美國의 蘇聯官(觀) 變化
1988年 訪韓한 헨리 키신저를 노태우 當時 大統領이 接見하고 있다. 두 사람은 韓國戰爭 當時 敵國이던 中國과 修交를 推進한 共通點을 가졌다. 유튜브 畵面 캡처
2次 大戰 終戰 直後인 1945年 美國에서는 나치에 맞서 함께 등을 맞대고 싸운 展示 同盟 蘇聯의 實體를 놓고 論難이 벌어집니다. 戰後 問題를 處理하기 위한 1945年 2月 얄타會談 以前까지만 해도 美國은 나치 敗亡 後에도 유럽에서 蘇聯과 共存할 수 있다는 希望을 품고 있었죠. 아직 日本이 무너지기 前이었기에 極東地域에서 蘇聯의 軍事的 도움이 必要한 現實的인 理由도 影響을 미쳤습니다.

美國式 理想主義와 道德 原則에 따라 戰後 問題를 處理하고자 한 루스벨트 大統領은 傳統的인 勢力均衡 外交를 拒否하고, 集團安保로 平和를 保障하려는 생각이 剛했습니다. 反面 여우처럼 눈치가 빨랐던 처칠 首相은 膨脹主義 欲求로 들끓던 스탈린의 속내를 正確히 꿰뚫어 보고 있었죠.

처칠은 蘇聯이 나치의 軍事的 壓迫에서 完全히 解放되기 前에 中部 및 東部유럽에서 自由陣營의 勢力圈을 鞏固히 함으로써 스탈린의 野慾을 꺾어야 한다고 봤습니다. 하지만 루스벨트는 처칠의 主張이 蘇聯과의 不必要한 葛藤을 惹起할 수 있다면서 이를 拒否합니다.

하지만 처칠의 憂慮는 곧 現實化하죠. 스탈린이 東유럽 赤化(赤化)를 目標로 헝가리, 불가리아, 폴란드 等에서 잇따라 共産主義 獨裁政權 樹立에 나선 겁니다. 蘇聯은 人民들의 支持를 얻기 위해 民族主義者 等 左右를 網羅한 聯立政權을 세운 뒤 테러 等을 통해 反共 勢力을 除去 或은 吸收하는 過程을 거칩니다. 共産黨 特有의 欺瞞戰術로 이른바 ‘似而非 聯立段階’를 거쳐 共産主義 獨裁政權을 세운 겁니다( 시리즈 4回 參考: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30813/120687443/1)

여기에 스탈린이 독소戰爭과 非效率的인 社會主義 體制로 脆弱해진 國力을 가리기 위해 蘇聯의 軍事力을 過大 包裝하며 攻勢的인 姿勢를 取한 것도 美國의 威脅認識에 큰 影響을 미칩니다. 스탈린의 虛張聲勢는 美國이 核武器를 獨占的으로 保有한 狀況에서도 繼續되죠. 1945年 6月 포츠담會談에서 트루먼이 核武器 開發 事實을 넌지시 알리자, 스탈린은 “開發 消息을 기쁘게 생각하며 核武器가 日本에 쓰이기를 바란다”며 別것 아닌 것처럼 應手합니다.

하지만 事實 蘇聯은 美國, 英國 內 스파이들을 통해 美國의 核武器 開發 狀況을 몰래 偵探하며 自體 核開發에 全力投球하는 等 바싹 緊張한 狀態였죠. 美國에 꿀리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中部 및 東部유럽에서 勢力圈을 讓步하지 않기 爲해 일부러 ‘센 척’을 한 겁니다.

西歐 獨占 資本主義 國家들이 利權을 둘러싸고 서로 戰爭(3次 世界大戰)을 벌일 거라고 본 스탈린의 마르크스주의 革命觀이 西歐와 對決 構圖를 形成한 背景이라는 視角도 있습니다. 問題는 美國이 스탈린의 ‘센 척’을 곧이곧대로 믿었다는 겁니다(미국은 戰略爆擊을 빼면 유럽大陸에서 蘇聯의 陸軍力이 西方보다 優勢하다는 視角을 갖고 있었죠)

冷戰時代 연 ‘封鎖政策’의 起源
冷戰時代 美國 封鎖政策을 立案한 조지 케넌(오른쪽 寫眞)李 1946年 2月 美 國務部에 보낸 報告書 ‘The long telegram’의 첫 페이지(왼쪽). 위키피디아
스탈린의 攻勢的인 態度에 唐慌한 美國에서는 蘇聯이 親舊가 될 수 있는지 아니면 나치처럼 또 하나의 敵인지를 놓고 論難이 벌어집니다. 이때 蘇聯 大使館에서 勤務하던 주니어 外交官의 報告書 한 通이 워싱턴에 엄청난 波長을 일으키죠. 美國 對蘇聯 封鎖政策의 始發彈이 된 조지 케넌(George Kennan)의 1946年 2月 報告書 ‘the long telegram(긴 轉補)’입니다.

케넌은 帝政時代까지 溯及해 러시아의 歷史 傳統에 對한 깊이 있는 分析으로 報告書를 始作합니다. 그는 러시아가 유럽부터 中央, 極東아시아에 이르는 巨大한 領土를 끊임없이 追求한 理由를 몽골族 等 아시아 遊牧民의 侵略에 시달린 農耕民 特有의 不安에서 찾았습니다. 帝政 러시아에서 貴族 等 엘리트 集團이 프랑스語를 公用語처럼 使用한 데에서 알 수 있듯 西유럽보다 近代化에 뒤처진 劣等感도 러시아의 不安을 더한 要素였죠.

또 巨大 人口를 統制하며 專制 군주정을 維持하기 위한 手段으로 外的 威脅을 끊임없이 조장한 行態가 蘇聯의 社會主義 獨裁體制에도 고스란히 適用된다고 봤습니다. 이에 따라 蘇聯의 膨脹主義는 內部 體制에서 起因한 것이기에 美國의 懷柔가 먹힐 수 없다는 게 케넌이 내린 結論이었습니다. 自由 民主主義 秩序에 뿌리를 박고 있는 美國은 哲學이나 目的에서 蘇聯과 兩立할 수 없다고 본 거죠. 케넌은 美國이 蘇聯과의 긴 鬪爭에 나설 채비를 갖춰야한다며 封鎖政策의 必要性을 主張합니다.

이에 對해 키신저는 케넌의 見解가 勢力均衡을 통한 共存이 아닌, 自由를 抑壓하는 蘇聯體制 自體의 崩壞를 追求했다는 點에서 美國의 傳統的인 理想主義 外交 原則과 잘 맞는다고 評價합니다. 어찌 보면 이런 行態는 過去 美國이 核武器로 ‘벼랑 끝 外交’에 나선 北韓에 對해 政權交替(regime change)를 檢討한 것과도 一脈相通합니다. ‘妥協은 다. 全部 아니면 專務(all or nothing)’라는 式의 美國 特有의 外交原則이랄까요.

케넌의 主唱으로 트루먼 行政府가 採擇한 封鎖政策을 놓고 美國 內에서 다양한 批判이 提起됩니다. 美國 言論인 월터 리프먼(Walter Lippmann) 等 現實主義者들은 封鎖政策이 時間을 끌면서 美國의 國力을 徐徐히 消盡시킬 수 있다고 警告합니다. 特히 蘇聯의 挑發로 美國이 멀리 떨어진 周邊部에 連累돼 國力을 浪費할 수 있다고 憂慮했죠. 事實 이런 그의 主張은 韓國戰爭이나 베트남戰爭으로 어느 程度 現實化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리프먼은 美國이 周邊部에서 힘을 빼지 말고, 美國의 核心 利益이 걸린 유럽에 集中해야 한다고 主張했습니다. 키신저는 이런 視角이 美國의 道德主義 外交原則과 符合하지 않는다고 評價합니다. 리프먼의 主張에 따르면 美國 觀點에서 地政學的 利益이 相對的으로 낮은 韓半島에 介入한 것은 國力 浪費에 不過합니다. 現在의 우크라이나 戰爭에 美國이 介入하는 것도 리프먼의 觀點에선 높은 點數를 받지 못하겠죠.

처칠은 封鎖政策의 全般的인 趣旨는 理解했지만 그 方法에 異議를 提起합니다. 蘇聯이 무너질 때까지 無限定 時間을 보낼 게 아니라, 微笑 間 軍事力 隔差가 극대화된 時點(2次大戰 終戰 直後)에 美國이 對蘇 牽制에 積極的으로 나서야 한다는 거였습니다. 그는 蘇聯이 經濟的으로 安定化되고 核武器 開發에 成功하면 微笑 間 隔差가 좁혀져 갈수록 西方의 協商力이 낮아질 거라고 봤습니다.

키신저는 케넌의 蘇聯 認識이 正確했다고 봤지만, 方法論에 있어서는 처칠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리프먼의 豫見대로 封鎖政策이 美國의 國力을 消盡시킨 側面이 있고, 特히 베트남戰爭에 와서는 國內 輿論 分裂과 美國의 安保 保障에 對한 信賴性을 失墜시켰다는 겁니다.

키신저가 본 韓國戰爭의 原因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 당시 사다리를 타고 해안에 발을 내딛는 미 해병대원들. 가장 선두에 선 이는 로페즈 중위로 이날 부하들을 구하기 위해 수류탄을 끌어안고 전사했다.  동아일보DB
1950年 9月 15日 仁川上陸作戰 當時 사다리를 타고 海岸에 발을 내딛는 美 海兵隊員들. 가장 先頭에 선 이는 로페즈 中尉로 이날 部下들을 救하기 위해 手榴彈을 끌어안고 戰死했다. 東亞日報DB
키신저는 美國과 共産圈의 相互 誤認(misperception)李 서로 얽히면서 冷戰時代 첫 列傳人 韓國戰爭이 勃發했다고 보았습니다. 于先 蘇聯은 國共 內戰에서 中國 共産黨의 勝利를 事實上 默認한 美國이 相對的으로 戰略的 價値가 떨어지는 韓半島 紛爭에 介入하지 않을 거라고 봤습니다. 키신저는 “美國에게는 侵略에 對한 抵抗이라는 道德的 義務가 戰略的 利益보다 더 큰 比重을 차지한다는 事實을 蘇聯이 제대로 理解하지 못했다”고 指摘했습니다.

當時 스탈린의 맞相對였던 트루먼은 徹底한 反共主義와 美國 例外主義의 道德 原則으로 武裝한 人物이었습니다. 그는 上院議員 時節 독소戰爭이 일어나자 “萬若 獨逸이 이기고 있는 것처럼 보이면 우리가 蘇聯을 도와줘야 하고, 蘇聯이 이기고 있다면 우리가 獨逸을 도와줘야 한다. 그런 式으로 둘이 서로 最大限 많이 죽이게 해야 한다”고 말할 程度로 蘇聯 社會主義 獨裁體制가 나치 못지않게 道德的으로 墮落했다고 봤죠.

韓國戰爭 勃發 이틀 만에 2次大戰 終戰으로 兵力이 大幅 減縮된 데다 訓鍊도 不足했던 駐日美軍을 韓半島로 急派하는, 莫重한 決定을 트루먼이 내린 背景입니다. 蘇聯이 제대로 임자를 만난 셈이죠(남한으로선 하늘이 도운 시나리오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트루먼 以上으로 美國의 韓國戰爭 介入을 추동한 건 事實 美國 外交政策의 道德主義 原則이었습니다. 戰爭 勃發 2個月 前 作成된 美國 國家安全保障會議 報告書(NSC-68)에서 이를 具體的으로 確認할 수 있죠.

當時 美國의 冷戰 戰略을 規定한 이 報告書는 체코슬로바키아 共産化를 言及하면서 “자유로운 政治制度가 敗北한다면 모든 곳에서 敗北하는 것이다. 체코슬로바키아 崩壞에서 우리가 받은 衝擊은 이 나라가 지닌 物質的 重要性의 잣대로 잴 수 있는 게 아니었다’고 評價했습니다. 이런 道德主義 外交原則을 가진 美國이 韓半島에서 共産圈의 一方的인 武力 侵略을 傍觀하는 건 總體的 外交 失敗를 의미하는 것이었습니다 .

共産圈뿐 아니라 美國도 誤判을 犯합니다. 유럽 中心의 封鎖政策에 陷沒돼 아시아 等 周邊部에서 共産圈의 挑發을 豫想치 못한 겁니다. 앞서 리프먼이 豫見한 憂慮가 現實化돼 美國으로선 不意의 一擊을 當한 거죠.

韓國戰爭 5個月 前 애치슨 國務長官이 太平洋 防衛線에 日本, 필리핀을 包含하면서 韓國과 臺灣을 除外한 것도 유럽 以外 地域의 安保에 對한 美國의 安逸한 認識을 보여주는 事例입니다. 이는 스탈린과 김일성이 南侵 時 美國의 武力 介入이 이뤄지지 않을 거라고 誤判한 根據가 되죠( 시리즈 5回 參考: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30903/120996577/1)

1945년 포츠담회담에 참석한 처칠, 트루먼, 스탈린(왼쪽부터). 이 회담에서 트루먼은 핵무기 개발 사실을 스탈린에게 넌지시 알리지만 스탈린은 대수롭지 않다는 듯 반응하며 허세를 부렸다.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1945年 포츠담會談에 參席한 처칠, 트루먼, 스탈린(왼쪽부터). 이 會談에서 트루먼은 核武器 開發 事實을 스탈린에게 넌지시 알리지만 스탈린은 대수롭지 않다는 듯 反應하며 虛勢를 부렸다. 美國 國立文書記錄管理廳(NARA)
이와 함께 蘇聯, 中國 等 共産圈이 自由主義 陣營에 對한 總攻擊의 序幕으로서 韓國을 侵略했다는 트루먼 行政府의 誤認이 過剩 對應으로 이어져 中國의 介入을 招來했다는 게 키신저의 視角입니다. 美 7艦隊를 臺灣 海域으로 急派하고, 베트남 獨立戰爭을 武力으로 對應한 프랑스에 軍事援助를 해준 게 代表的입니다.

第2次 國共內戰에서 막 勝利한 直後였던 마오쩌둥에게 美國의 이 같은 措置는 아시아에서 中國을 包圍해 장제스의 本土 復歸를 도우려는 意圖로 비쳤다는 겁니다. 키신저는 “마오쩌둥으로서는 萬若 韓國에서 美國을 막지 못하면 中國에서 美國과 싸워야 할지도 모른다고 結論을 내릴 만한 充分한 理由가 있었다”고 말합니다.

事實 中國의 韓國戰爭 參戰 決定 時點과 動機에 對해서는 如前히 學界에서 意見이 紛紛합니다. 初期 北韓軍 主導의 戰況이 一時에 뒤집힌 仁川上陸作戰을 參戰의 契機로 보는 視角이 있고, 이미 그 前에 決定했다는 主張도 있죠.

그런데 앞서 키신저의 指摘대로 當時 中國이 國共內戰 直後여서 政權 安保가 아직 不安定한 時期였다는 데 對해선 異見이 없습니다. 예컨대 김동길 베이징大 敎授는 韓國戰爭 當時 中共 政權이 무너지고 장제스가 再執權할 거라는 ‘變遷史上’이 氣勝을 부리자, 美軍이 38線을 넘기도 前에 마오쩌둥이 早期 派兵 醫師를 김일성과 스탈린에게 傳達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東유럽 勢力 擴張에 優先順位를 둔 스탈린이 美國의 손발을 東아시아에 묶어놓기 위해 마오쩌둥의 早期 派兵에 否定的이었다는 겁니다.

只今까지 2次 世界大戰 直後 스탈린의 攻勢的 態度 等으로 인해 美國의 對蘇聯觀이 敵對的으로 바뀌면서 封鎖政策이 發生한 過程과, 이것이 韓國戰爭에 끼친 影響을 仔細히 들여다봤습니다. 美國의 封鎖政策이 想定하는 유럽 中心의 戰略的 思考로 인해 韓半島에서 共産圈으로부터 不意의 一擊을 當한 것이 韓國戰爭이라는 게 키신저의 視角입니다.

하지만 그 封鎖政策을 낳은 美國의 道德主義 外交原則으로 인해 蘇聯, 中國의 豫想과는 다르게 美國이 韓國戰爭에 介入 것은 歷史의 아이러니라고 할 만합니다. 다음 回에서는 이런 韓國戰爭이 消耗的인 際限戰(limited war)으로 흐른 背景과 더불어 이로부터 18年 뒤 美國이 敵國이던 中國과 電擊的으로 손을 맞잡은 ‘美中 데탕트’로 나아간 過程을 살펴보겠습니다.

[參考 文獻]
-Henry Kissinger 〈Diplomacy〉 (1994, Simon & Schuster)
-Henry Kissinger, 김성훈 驛 <헨리 키신저의 外交> (2023, 金앤金북스)
-Henry Kissinger, 이현주 驛 <헨리 키신저의 世界 秩序> (2016, 민음사)
-김동길, 박다정 <中華人民共和國 建國 前後 및 韓國戰爭 初期, 中國의 韓國戰爭과 參戰에 對한 態度 變化와 背景> (2015, 歷史學報)

“모든 解答은 歷史 속에 있다.” 秒 單位로 넘치는 온라인 뉴스 속에서 하나의 흐름을 잡기가 갈수록 어려워집니다. 歷史를 깊이 들여다보면 連이은 뉴스들 사이에서 하나의 脈絡이 보일 수 있습니다. 文化財, 學術 擔當으로 歷史 分野를 여러 해 取材한 記者가 歷史的 事實들을 통해 뉴스를 分析하고, 未來에 對한 인사이트를 찾아보고자 합니다.

김상운 記者 sukim@donga.com
#韓國戰爭 #6.25戰爭 #키신저 #美國 #中國 #冷戰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