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海洋警察 70周年을 祝賀하며[기고/이세돌]|동아일보

海洋警察 70周年을 祝賀하며[기고/이세돌]

  • 東亞日報
  • 入力 2023年 8月 13日 23時 33分


코멘트
이세돌 바둑기사
이세돌 바둑棋士
海洋警察 創設 70周年을 眞心으로 祝賀합니다. 아울러 오늘도 茫茫大海와 외진 섬마을 等에서 國民의 生命保護와 海洋安全, 그리고 海洋主權 守護를 위해 默默히 獻身하고 계시는 1萬3000餘 海洋警察 여러분에게 國民의 한 사람으로서 感謝의 人事를 드립니다. 特히 제가 나고 자란 新安 周邊의 西海 바다와 港浦口 等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계실 西海地方海洋警察廳 家族 여러분과 김인창 廳長님에게도 깊은 感謝의 人事를 傳합니다.

저의 故鄕은 飛禽島입니다. 저는 西海 바람에 흩날리는 모래가 노래하는 明沙十里와 初球地 海邊에서 뛰어놀며 幼年 時節을 보냈습니다. 故鄕은 많은 사람에게 靈感을 주는 寶物 倉庫와도 같습니다.

저는 2016年, 機械文明의 寵兒라고 할 수 있는 알파고와 大國했을 때, 어쩌면 제 靈魂의 한쪽에서는 제 故鄕 明沙十里의 無數한 모래 알갱이들이 수많은 境遇의 數가 돼 저를 應援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種種 합니다.

제가 이처럼 故鄕이 주는 應援과 함께 靈感을 받으며, 幼年의 幸福한 追憶을 간직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제 父母님을 비롯한 家族과 이웃의 德澤일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만이 다는 아닐 것입니다. 海洋汚染을 막고 犯罪를 豫防하는 海洋警察처럼, 보이지 않는 곳에서 默默히 自身의 所任을 다하는 많은 분들의 努力과 수고로움이 이룬 總合의 結果로서만이 可能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恒常 제가 바둑人으로 成長할 수 있도록 應援과 激勵를 아끼지 않으신 제 故鄕분들을 비롯한 國民 여러분께 感謝한 마음을 지니고 있고 섬 生活을 하는 제 家族, 이웃의 生命과 安全을 지켜주시는 海洋警察에게도 感謝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와 같은 섬사람들은 예전에는 甚하게 비바람이 치고 波濤가 높아지면 걱정과 두려움이 앞서곤 했습니다. 그때는 陸地와 連結되는 모든 배便이 끊겨 急하게 陸地로 나가야 할 일이 생기더라도 束手無策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런 孤立과 絶望感은 언제부터인가 사라졌다고 들었습니다. 颱風이 불고 온 世上이 漆黑 같은 어둠에 덮이더라도 제 어머니와 같은 섬사람들이 도움을 要請하면 누군가는 도움의 손길을 건네고 生命을 지켜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맞습니다. 바로 海洋警察 德澤에 제 故鄕 섬사람들은 危急 狀況에서 벗어나 安全한 海洋 生活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實際로 西海地方海洋警察은 제 이웃들이 應急 狀況에 處했을 때 警備艇을 緊急 出動시키거나 헬기를 띄워 陸地에서 診療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었고, 漁船 事故 等 各種 海洋事故를 處理하며 제 家族과 이웃들을 돕고 있습니다.

저는 우리 海洋警察이 앞으로도 變함없이 國民 곁에서 國民들이 必要로 할 때 함께하는 眞正한 國民의 親舊가 되어 주시기를 希望합니다. 또한 只今처럼 海洋資源을 保護하고 漁民의 生業을 保障해 信賴하고 依支할 수 있는 海洋警察, 國民의 든든한 海洋守護者로 남아 주실 것을 付託드립니다.

海洋警察 여러분! 70年의 聖像(星霜) 동안 正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여러분을 恒常 應援합니다. 다시 한番 여러분의 70周年을 祝賀드립니다.


이세돌 바둑棋士


#海洋警察 #70周年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