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성하 旅行 專門記者의 ‘아름다운 同行’]아프리카가 말을 걸어온다|동아일보

[조성하 旅行 專門記者의 ‘아름다운 同行’]아프리카가 말을 걸어온다

  • 東亞日報
  • 入力 2016年 9月 3日 03時 00分


코멘트

버스로 改造한 트럭 타고 ‘奧地속으로’
나미브 神祕의 沙丘 ‘太初의 祕境’
선셋 사파리…모코로 투어…
하늘과 땅으로 두個의 江이 흐르면
날것 그대로의 검은 大陸에 感動

아프리카 오버랜드 트러킹 중에 찾은 초베 강. 여기선 이렇듯 크고 작은 보트를 타고 강상에서 물을 마시러 오는 야생동물을 관찰하는 보트사파리를 즐기는데 운좋게도 이날은 사자 무리(오른쪽)를 만났다.
아프리카 오버랜드 트러킹 中에 찾은 初베 江. 여기선 이렇듯 크고 작은 보트를 타고 江商에서 물을 마시러 오는 野生動物을 觀察하는 보트사파리를 즐기는데 運좋게도 이날은 獅子 무리(오른쪽)를 만났다.
‘빨리 가고 싶다면 혼자서 가라. 그러나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同行(同行)의 意味를 强調한 이 말, 人生이란 긴 旅行길에도 잘 들어맞는다. 同行이란 하나의 目的地로, 나란히 나아가는 行爲다. 프랑스 作家 생텍쥐페리에겐 사랑도 그렇게 비쳤나 보다. 그는 ‘사랑이란 마주 보는 것이 아니라 함께 같은 方向을 보는 것’이라고 했다. 그 말은 이렇게 解釋할 수 있지 않을까. 사랑이란 마주 보며 確認하는 것이 아니라 같은 것을 바라보며 共有하고, 그 過程을 통해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는 마음의 行爲라고.

따라서 사랑하는 사람과 떠난 旅行은 目的地가 어디든, 어떤 스타일이든 아름답다.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같은 걸 바라보며 마음을 나누는 것만으로도 幸福해지니까. 旅行 中에 보고 듣고 느끼고 얻는 것은 덤이다.

夫婦와 親舊, 同僚에겐 旅行의 機會가 많다. 하지만 母女와 富者(或은 帽子와 父女)의 旅行은 相對的으로 적은 便이다. 그런데 이런 ‘世代間(世代間) 旅行’李 요즘 같은 核家族時代엔 더더욱 切實하다. 對話와 疏通의 좋은 通路가 되어서다. 漸漸 對話가 줄어가는 요즘에 子女와 父母의 同行은 그것만으로도 멋진 選擇이다. 靑少年期의 子女와 同行하는 것도 좋지만 結婚 就業 等으로 自立과 獨立을 앞둔 子女와 함께하는 것도 亦是 보기 좋다.

그런 世代間 旅行地로 굳이 이 아프리카 오버랜드 트러킹(Africa Overland Trucking)을 推薦하는 理由. 트럭改造車輛으로 長距離를 移動하며 草原과 沙漠에서 每日 캠핑(或은 로지 宿泊)을 하다보면 아프리카의 純粹한 大自然에 同化돼 닫힌 마음은 열리고 感情에 率直해져 對話가 술술 풀리기 때문이다. 나는 그런 모습을 두 次例 取材를 통해 確認했다. 서로에게 具體的인 사랑의 表現을 하지 않더라도 以心傳心으로 사랑은 分明히 傳해진다.

이선원 氏(60)는 傳統 韓紙를 오브제로 畵面을 構成하는 專業 作家다. 그女가 큰딸(김문영·29·國際辯護士)과 아프리카 旅行을 오버랜드 트러킹으로 떠나겠다고 생각한 건 1年 前 男便과 같은 旅行을 하던 中이었다. 그곳은 나미브 沙漠 한가운데의 沙丘地帶 小수스플라이. 太初의 世上 모습이 이렇지 않았을까 推測하게 만드는 祕境 앞에서 그女는 홀로 美國에서 職場生活을 하고 있는 딸을 떠올렸다. 올 5月 딸과의 旅行은 實現됐다. 當初에는 男便도 함께 갈 計劃이었으나 媤어머니의 病구완 때문에 母女만의 旅行이 됐다.

캠프사이트에서의 휴식. 오버랜드 트럭 앞에 야외 주방이 차려져 있다.
캠프사이트에서의 休息. 오버랜드 트럭 앞에 野外 廚房이 차려져 있다.
오버랜드 트러킹은 24人乘 버스로 改造한 5t 트럭에 텐트와 椅子는 勿論 프로판가스桶과 食水, 調理器具 等 캠핑 裝備를 싣고 南아프리카 奧地의 祕境과 名所를 注油하는 캠핑 背囊旅行. 오버랜드 트럭은 定해진 日程과 路線을 따르는데 參加者는 每日 캠프사이트에서 野營을 하거나 로지에서 잠을 잔다. 스태프는 가이드 兼 運轉技士와 調理士 等 두세 名. 食事는 세 끼 모두 調理士가 만들어 提供한다.

오버랜드 트러킹은 지난 世紀 初 유럽 列强이 아프리카大陸을 侵奪할 目的으로 했던 長期 探險의 遺産이다. 늪과 江, 沙漠과 山岳의 險路를 克服하고 野生動物의 威脅을 막기에 트럭만큼 좋은 移動手段이 없었다. ‘오버랜드(Overland)’는 ‘陸上(陸上)’, ‘트러킹(Trucking)’은 ‘트럭을 利用한 移動’이라는 뜻이다. 그게 1960年代 들어서며 南아메리카의 새로운 旅行스타일로 登場했고 시들지 않는 人氣에 힘입어 이젠 아프리카 奧地旅行의 象徵이 됐다. 旅行코스 中 最長距離는 中間의 빅토리아폭포(짐바브웨 잠비아 國境)를 거쳐 大陸南端(케이프타운·남아공)과 케냐(나이로비)를 잇는 南아메리카 橫·宗團 1萬 km(41∼43日 所要). 參加者는 途中 願하는 곳에서 合流하거나 그만둘 수 있다. 最高의 人氣 코스는 케이프타운∼나미브 沙漠∼에토샤 國立公園∼빅토리아폭포를 잇는 20日짜리(5000km).

母女가 選擇한 코스: 나미비아 首都 빈트후크를 出發해 西北部 쪽으로 750km 떨어진 에토샤 國立公園(나미비아)에서 사흘을 보낸 뒤 오카倣古 江을 따라 東쪽 보츠와나로 移動해 超베 國立公園을 지나 짐바브웨의 빅토리아폭포를 보고 歸國하는 11日 日程이었다. 移動距離는 3000km. 에토샤 國立公園은 2億 年 前 地球 最初의 生命體가 誕生한 곳. 現在의 廣闊한 사바나 草原은 當時 海底가 隆起해 한동안 湖水가 있던 자리다. 물이 사라진 只今 이곳은 四方八方 360道路 地平線을 眺望할 수 있는 廣大한 平原으로 바뀌었다. 年間 416mm의 强手로 一帶는 草原(사바나)을 이루고 地表에는 蓄積된 鹽分까지 있어 動物의 樂園이 됐다. 여기선 國立公園 內 캠프사이트에 머물며 사흘間 오버랜드 트럭으로 每日 사파리투어를 하는 等 野生動物과 함께 지냈다.

그런 뒤엔 오카倣古 江을 찾아 東쪽으로 移動해 이틀間 江邊에 머물며 사흘 동안 原住民이 젓는 모코로(전통 통나무카누)를 타고 江商에서 물을 마시러 江邊을 찾는 獅子 家族이나 코끼리 떼 等을 觀察했다. 이어 찾은 곳은 超베 國立公園. 超베 江은 빅토리아폭포의 水原인 잠베지 江 源流로 나미비아와 보츠와나의 國境에 걸쳐 있다. 이番엔 大型 보트에 올라 해질 녘 江邊을 찾은 獅子와 코끼리, 手中의 하마 家族을 살피는 선셋 보트사파리를 즐겼다. 마지막 日程은 地球上 가장 아름다운 瀑布 中 하나인 빅토리아폭포 찾기. 잠자리는 選擇 事項. 母女는 旅行 내내 캠핑 代身 캠프사이트 附近의 高級 로지에서 便安하게 잠을 잤다.

航空路線은 仁川∼홍콩∼요하네스버그∼빈트후크. 홍콩∼요하네스버그 11時間 半, 요하네스버그∼빈트후크 2時間 所要.
● 旅行情報

오버랜드 트러킹:
◇出發地: 北行 코스는 케이프타운(南아共), 南行 코스는 나이로비(케냐). 젊은 世代는 캠핑 旅行을, 中壯年層은 로지 宿泊을 選好한다. 宿泊 스타일에 따라 트러킹을 따로 運營하지만 境遇에 따라서는 섞어서 運營하는 境遇도 있다.
◇트러킹 日程: 2∼43日로 다양하며 團體의 希望과 日程에 맞추는 傳貰투어도 提供.
◇商品 및 販賣處: 現地 트러킹 專門 旅行社 ‘아카시아아프리카(www.acacia-africa.com)’가 開發한 商品을 베스트래블(www.bestravel.co.kr)에 問議하면 살 수 있다.
▽韓國旅行者 傳貰투어: 往復航空便 搭乘까지 包含한 11日짜리 商品으로 9月과 11月 日程은 이미 賣盡. 價格은 9月 360萬 원(以下 팁 除外 航空券 包含 一切費用), 11月 370萬 원. 02-397-6100
▽多國籍 트러킹: 日數는 트러킹 日程만을 表示한다(왕복항공편 搭乘期間은 除外).
△11日: 케이프타운∼나미브 沙漠∼빈트후크∼에토샤 國立公園을 잇는 北行 코스(3180km)
△43日: 나이로비(케냐)를 떠나 탄자니아 말라위 잠비아 보츠와나 나미비아를 經由해 케이프타운(南아共)까지 가는 7個國 코스(9500km).
◇트러킹 現地 情報: 아카시아아프리카가 運營하는 페이스북(www.facebook.com/AcaciaAfrica)과 인스타그램(Instagram#acacia-africa), 블로그(http://acacia-africa.com/blog)에 參加者가 올린 생생한 寫眞과 感動의 글이 있다.
▼ 딸과 함께 오버랜드 트러킹 다녀온 이선원 氏 寄稿 ▼

“특별했던 로지의 밤깵 殘香, 사라지질 않네”


오버랜드 트러킹으로 찾은 빅토리아폭포에서 딸(김문영)과 함께 쌍무지개를 배경으로 남긴 이선원 씨의 기념사진.
오버랜드 트러킹으로 찾은 빅토리아폭포에서 딸(김문영)과 함께 雙무지개를 背景으로 남긴 이선원 氏의 記念寫眞.
문영이(딸·29·國際辯護士)와 南아메리카로 오버랜드 트러킹을 다녀온 지도 벌써 석 달. 이 炎天의 8月 伏中 무더위 속에서 作業하는 동안에도 그 旅行의 殘香은 사라지질 않는다. 德分에 짬짬이 幸福을 느끼고 微笑 지을 餘裕도 갖게 되었고.

에토샤 國立公園의 워터 홀(Water Hall·물구덩이)에서 全 世界의 旅行客들과 평화롭게 코뿔소와 코끼리 무리를 기다리던 夕陽의 時間, 빅토리아폭포에서 피어오른 물안개가 만들어낸 玲瓏한 雙무지개를 보았을 때 느꼈던 환희, 보츠와나 國境의 巨大한 바오바브나무를 보았을 때 머릿속에 떠오른 어린王子…. 只今 當場이라도 다시 달려가 만나고 싶은 아프리카의 自然들이다.

그러나 그보다도 내 마음에 깊이 남아있는 것은 母女가 함께 體驗한 보츠와나 오카倣古 江가의 응게피 로지에서의 追憶이다. 첫날 로지에 到着한 時刻은 이미 짙은 어둠이 내려앉아 눈앞조차 分別하기 어려웠던 한밤. 宿所는 案內人의 손電燈을 따라 숲 속의 오솔길을 한참이나 걷고 난 뒤에 건넌 10餘 m의 좁은 나무板子다리 끝에 있었다.

그런데 그 宿所엔 열쇠가 없었다. 아니 化粧室과 칸막이 外엔 세 方向으로 트여 壁 自體가 없었으니 열쇠란 게 애初부터 있을 理 없었다. 이윽고 沈沈한 電燈 아래 어둠에 익숙해진 눈을 통해 宿所와 周邊의 狀況이 눈에 들어오기 始作했다. 宿所는 江바닥에 박은 말뚝 위에 세운 園頭幕 形態였고 寢臺는 그 아래 세 方向으로 트여 있는 空間에 놓여 있었다. 그걸 본 우린 까르륵 웃어댔다. 이런 덴 줄 모르고 房 열쇠를 달라고 했으니….

受賞 園頭幕 로지의 寢臺 앞은 널찍한 테라스 空間이었다. 그리고 椅子 두 個가 놓여 있었다. 그 椅子에 앉자 正面의 밤하늘을 가득 뒤덮은 銀河水가 또렷하게 보였다. 발아래에선 검은 江물이 빠르게 흐르고 있었고. 그 江에서는 끊임없이 무슨 소리가 들려 왔다. 귀를 기울여보니 江 건너 숲에서 물을 마시러 나온 코끼리 떼의 울음소리였다. 나와 딸은 두 눈에 다 담아낼 수조차 없을 程度로 넓고 길게 흐르는 밤하늘의 銀河水 아래 나란히 앉아 自然이 주는 이 至極한 平和를 오래도록 나눴다. 우린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하지만 마음속으로는 이런 對話가 오갔다. ‘함께 있어 주어 正말 고마워∼.’

모기帳으로 에둘린 寢臺에 딸과 나란히 누워 잠을 請할 즈음. 아주 가까운 距離에서 난生처음 들어보는 怪音이 들려왔다. 엄마를 保護해주겠다고 旅行을 따라나선 딸이, 그 소리가 무섭다며 내 품속으로 달려든다. 그때 든 생각. 엄마는 언제나 엄마라는…. 새들이 지저귀는 노랫소리에 깨어난 다음 날 아침. 따뜻하고 부드러운 아프리카의 햇살 아래 오카倣古 江은 아름답게 반짝이고 있었다. 그리고 그 怪音의 正體도 알게 됐다. 附近에 사는 하마의 울음소리였단다.

하늘에는 銀河水, 발아래로는 오카倣古. 하늘과 땅으로 두 個의 江이 흐르는 아프리카에서, 壁도 없는 園頭幕의 한 寢臺에서, 스물아홉 살 딸과 함께 코끼리와 하마의 울음소리를 자장歌 삼아 보낸 응게피 로지에서의 이틀 밤. 永遠히 잊지 못할 아름다운 追憶으로 남을 것 같다. 내 딸에게도 亦是. 아무리 생각해도 딸과의 이番 아프리카 오버랜드 트러킹 旅行은 正말로 잘한 일이었다.

조성하 專門記者 summer@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