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單一化政局 與野 支持層 結集… 朴 PK서 5%P↑ 湖南서 2%P↓|東亞日報

單一化政局 與野 支持層 結集… 朴 PK서 5%P↑ 湖南서 2%P↓

  • 東亞日報
  • 入力 2012年 11月 13日 03時 00分


코멘트

■ R&R 輿論調査


單一化 論議를 進行 中인 민주통합당 문재인, 無所屬 안철수 大選候補가 輿論調査 方式의 競選으로 競爭할 境遇 結果를 豫測하기 힘든 팽팽한 勝負를 펼칠 것으로 展望된다.

리서치앤리서치(R&R)가 9∼11日 1000名을 對象으로 有線 및 携帶電話 任意番號걸기(RDD) 方式으로 實施한 輿論調査 結果 ‘野圈 候補 支持度’에서 安 候補 36.5%, 文 候補 36.3%로 隔差가 거의 없었다. 最近 上昇勢를 타고 있는 文 候補는 湖南과 京畿 仁川을 除外하고는 全國的으로 安 候補를 앞섰다. 그러나 野圈의 主要支持 基盤으로 單一化 競選의 勝負處가 될 것으로 豫想되는 湖南에서는 安 候補가 40.8%로 文 候補(33.0%)를 눌렀다.

野圈 候補 單一化 以後를 假定하고 投票 行態를 묻는 質問에서 安 候補는 文 候補에 비해 相對的으로 폭넓은 支持層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安 候補로 單一化가 이뤄졌을 境遇 安 候補에게 투표하겠다는 應答은 48.7%로 文 候補(41.2%)보다 높았다. 特히 安 候補로 單一化 됐을 때 ‘반드시 安 候補에게 투표하겠다’는 應答이 35.7%로 ‘반드시 文 候補에게 투표하겠다’는 應答(24.3%)보다 훨씬 높았다. 候補 單一化가 이뤄진 後 새누리黨 박근혜 候補와의 對決에서 文 候補의 支持率은 41.2%로 朴 候補와 똑같았다. 安 候補는 48.7% 臺 39.2%로 朴 候補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單一化와 상관없는 單純 兩者 對決에서도 安 候補는 46.1%로 朴 候補(45.2%)를 誤差範圍(95% 信賴水準에서 ±3.1%포인트) 以內에서 앞섰다. 反面 文 候補는 42.1% 臺 47.9%로 朴 候補에게 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者 對決은 朴 候補(41.9%), 安 候補(23.8%), 文 候補(21.9%) 順이었다. ‘野圈 候補 單一化가 누구에게 유리할 것이냐’는 質問에는 豫想대로 朴 候補에게 유리하다는 應答(20.6%)보다는 野圈 候補에게 유리할 것이란 展望(55.9%)이 훨씬 앞섰다.

한便 野圈 單一化 論議가 進行되고 大選이 가까워질수록 傳統的인 與野의 ‘텃밭’에서 支持 階層의 結集 現象도 보인다. 支持 階層이 뚜렷한 朴 候補를 基準으로 하면 더욱 두드러진다. 한때 朴 候補에 對한 支持勢가 흔들렸던 釜山 慶南(PK) 地域에서 朴 候補의 上昇勢가 눈에 띈다. R&R의 10月 마지막 株(29∼31日) 調査에서 釜山 蔚山 慶南에서 朴 候補의 3者 對決 支持率은 45.9%였지만 7∼9日 調査에서는 51.3%로 뛰었다. 安 候補나 文 候補와의 兩者對決에서도 51%臺였던 朴 候補의 支持率은 55∼56%臺로 뛰었다.

反面 兩者 對決에서 20%에 肉薄하고 3者 對決에서도 두 자릿數를 記錄했던 朴 候補의 湖南(光州 및 全南北) 支持率은 한 자릿數로 떨어졌다. 10月 마지막 週 輿論調査에서 12.1%였던 朴 候補의 3者 對決 時 湖南 支持率이 9∼11日 輿論調査에서는 9.7%였다.

[채널A 映像] 一日 輿論調査/多者對決 朴 如前히 1位…文 小幅 上昇

金起炫 記者 kimkihy@donga.com
#單一化 #大選輿論調査 #支持層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