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國際심포지엄 參席 하월리 敎授 “企業支配構造 虛弱, 유럽 財政危機의 한 原因”|東亞日報

國際심포지엄 參席 하월리 敎授 “企業支配構造 虛弱, 유럽 財政危機의 한 原因”

  • Array
  • 入力 2011年 12月 2日 03時 00分


코멘트

“機關들 投資 키워드 삼아야”

기업지배구조 전문가인 제임스 하월리 세인트메리대 교수는 “장기적 관점에서 투자를 해야 하는 기관투자가들은 ‘기업지배구조’를 투자의 기준으로 삼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
企業支配構造 專門家인 제임스 하월리 세인트메리臺 敎授는 “長期的 觀點에서 投資를 해야 하는 機關投資家들은 ‘企業支配構造’를 投資의 基準으로 삼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張允瀞 記者 yunjung@donga.com
“유럽의 金融機關들이 제대로 된 危機管理 시스템이나 支配構造를 갖추지 못한 點도 이番 유럽 財政危機의 한 原因입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 主催 國際 심포지엄에 參席하기 위해 訪韓한 제임스 하월리 세인트메리臺 敎授는 1日 서울 中區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記者와 만나 “이番 유럽발 金融危機는 金融機關들의 支配構造(거버넌스)와 無關하지 않다”고 꼬집었다. 하월리 敎授는 “2008年 글로벌 金融危機라는 危機 狀況이 닥치자 무엇이 問題인지를 把握하고 對案을 마련할 수 있는 支配構造를 갖춘 글로벌 金融機關들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며 “그 後 美國 金融機關들은 支配構造의 重要性을 認識하는 듯 보였지만, 유럽의 金融機關들은 敎訓을 얻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럼 어떻게 하면 企業들의 支配構造를 强化할 수 있을까. 그는 長期的으로 다양한 資産에 投資하며 리스크를 分散해야 하는 機關投資家들이야말로 ‘企業 支配構造’를 投資 키워드로 삼을 수 있다고 봤다. “危機 狀況에서 企業이 어떻게 對應하며, 어떤 理事會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지 等 企業 支配構造를 보고 投資하는 헤지 펀드가 늘고 있습니다. 機關投資家들도 企業 支配構造에 根據한 投資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그렇게 된다면 企業들도 支配構造에 더욱 神經을 쓰게 될 것입니다.”

하월리 敎授는 多數 企業에 두루 投資하면서 글로벌 經濟에까지 影響을 미치는 機關投資家를 ‘유니버설 오너’라는 槪念으로 說明하며 그 重要性을 거듭 强調했다. 그는 “이番 訪問에서 國民年金을 둘러봤는데 무엇보다 그 投資 規模에 놀랐다”며 “國民年金과 같이 世界 經濟에 影響을 미칠 만한 規模의 機關投資家가 增加하고 있으며, 이들이 個人의 老後資金으로 쓰이는 財源을 책임진다는 面에서 位相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國民年金이 株式 投資 比重을 늘려 韓國 株式市場의 높은 變動性을 줄이고 市場을 保護해야 한다는 一角의 主張에 對해서는 “危險할 수 있다”고 警告했다. 그는 “韓國 市場을 잘 알지 못해 조심스럽다”면서도 “한 投資 主體가 市場을 흔들고 支配할 수 있는 만큼의 힘을 가지는 것은 危險할 수 있을뿐더러 國民年金 스스로도 리스크 管理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밝혔다. 國民年金의 運用 實績과 關聯해서는 “只今과 같은 글로벌 沈滯期에 아무리 機關投資家라고 해도 좋은 成跡을 거두기란 쉽지가 않다”며 “投資 成跡에 對한 監督과 評價가 必要하겠지만 1, 2年의 不振 때문에 投資方向을 바꾼다면 오히려 나쁜 結果를 가져올 것”이라고 强調했다.

張允瀞 記者 yunj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