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시 共存을 向해]유산기부 運動 펼치는 五經 스님|東亞日報

[다시 共存을 向해]유산기부 運動 펼치는 五經 스님

  • Array
  • 入力 2011年 4月 29日 03時 00分


코멘트

‘아름다운 財團’과 함께하는 레인메이커를 찾아서
“巨額 遺産, 때론 家族葛藤의 씨앗…10分의 1이라도 社會에 남기세요”


서울 九老區 觀音布敎院에서 만난 五經 스님(51)은 1999年부터 4年間 서울 종로구 법련사에서 葬禮를 主管하며 한 가지 느낀 點이 있다고 했다. 富者집 葬禮일수록 哭소리가 안 난다는 것이다.

“넉넉지 못한 집안은 子息들이 울기도 하며 葬禮를 치르는 것 같아요. 하지만 ‘좀 산다’는 집안의 葬禮式은 소리 없는 戰爭터로 變합디다. 父母가 遺産 整理를 안 하고 떠나는 境遇라면 特히 그래요.”

건전한 상속문화 연구 사업을 펼치고 있는 오경 스님은 “사회지도층은 가진 재산의 10분의 1만이라도 나누겠다는 결단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진환 기자 jean@donga.com
健全한 相續文化 硏究 事業을 펼치고 있는 五經 스님은 “社會指導層은 가진 財産의 10分의 1萬이라도 나누겠다는 決斷이 어느 때보다 必要하다”고 말했다. 홍진환 記者 jean@donga.com
그는 人間의 欲望이 가장 克明하게 드러나는 곳이 韓國의 葬禮式이라고 말했다. 信徒들의 遺産 相談을 하면서 하루 만에 家族들이 怨讐로 變하는 것도 여러 次例 지켜봤다. 한 菩薩이 男便이 남긴 遺産 一部를 節에 寄附하려 하자 子息들이 스님을 찾아와 “母親을 어떻게 꼬드긴 거냐”며 도둑놈 取扱한 적도 있다. 그는 100億 원臺 넘는 資産家들을 만날 때마다 ‘믿을 게 없어서 子息을 믿느냐’ ‘돈 앞에선 兄弟도 父母도 없다’라는 말을 가장 많이 들었다고 했다.

五更 스님은 이때 얻은 깨달음으로 2003年 아름다운재단에 ‘離別學校’를 차렸다. 절間살림을 아껴 모은 種子돈 8000萬 원은 現在 健全한 相續文化를 위한 硏究 出版 事業費로 쓰이고 있다.

그는 遺産 싸움이 끊이지 않는 理由로 傳統的인 相續制度의 本領이 사라지고 껍데기만 남은 點을 꼽았다. 옛날에는 長子에게 相續하면 遺産뿐 아니라 一家親戚을 거둬야 하는 責任도 물려줬다. 하지만 요즘은 혼자만 누리려고 父母 돈을 탐낸다는 것이다.

“내가 했던 苦生을 子息에게 물려줘서는 안 된다는 생각도 되돌아봐야 합니다. 江南에 사는 한 父母는 子息이 結婚할 때 20億 원짜리 165m²(50坪) 아파트를 사줬더니 264m²(80坪)가 아니라며 子息이 투덜댔대요. 眞짜로 子息을 위하는 게 뭔지 모르는 겁니다.”

인터뷰 途中 그는 대뜸 記者의 年俸을 물었다. 얼마가 조금 넘는다고 말했더니 다시 물었다. “只今 當場 年俸의 몇 倍가 훌쩍 넘는 돈이 遺産으로 떨어진다면 어떻겠습니까?” 職場인 月給으로 1億 원을 만들기 힘든 現實에서 單番에 목돈을 손에 쥘 수 있는 遺産은 누구도 拒絶하기 힘들다. 스님은 經濟的으로 어려워질수록 이런 機會 앞에 理性을 잃는 世態를 씁쓸해했다.

五更 스님은 遺産은 不勞所得이라는 社會 病弊와 마찬가지라고 主張했다. 巨額의 遺産을 물려받는다는 것은 階級이 相續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相續 받은 사람과 한 푼도 못 받은 사람의 出發線을 다르게 만들기 때문이다. 이런 理由로 그는 “社會指導層에 巨創한 社會貢獻 事業을 외치지 말고 財産의 10分의 1만이라도 寄附하는 決斷이 必要하다”고 했다.

佛敎의 最大 德目은 布施(布施)라고 믿는 五經 스님은 自身의 法文을 듣던 한 敎師의 이야기를 들려줬다. “停年退任을 앞두고 계셨는데 退職金 3億 원 全額을 慈善團體에 寄附하셨대요. 마음은 있었는데 마땅한 機會와 具體的인 方法을 몰라 躊躇했는데 내 法文이 契機가 됐나 봐요.” 누군가 機會를 마련해주고 方法을 알려주면 遺産 나눔은 그리 어려운 壁이 아니라는 것. 그리고 이런 사람이 每年 1%씩만 늘어나도 社會는 좀 더 柔軟해진다는 게 그의 생각이었다. 그가 法傳 硏究만큼 遺産 相續 運動에 힘쓰는 理由이기도 하다.

염희진 記者 salthj@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