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首都圈]“退勤길에 텃밭 들러서 물주는 기쁨 아시나요”|동아일보

[首都圈]“退勤길에 텃밭 들러서 물주는 기쁨 아시나요”

  • Array
  • 入力 2011年 4月 26日 03時 00分


코멘트

週末텃밭 아닌 都市텃밭 人氣

서울 강동구 둔촌동 도시텃밭을 찾은 강경훈 씨 가족이 지난달 초 분양받은 밭에서 자라
고 있는 채소를 12일 오후 살펴보고 있다. 이날 강 씨(왼쪽에서 두 번째)와 부인 원선호 씨(오른쪽)가 아이들을 품에 안은 채 상추를 만지고 있다. 강경석 기자 coolup@donga.com
서울 江東區 遁村洞 都市텃밭을 찾은 강경훈 氏 家族이 지난달 初 分讓받은 밭에서 자라 고 있는 菜蔬를 12日 午後 살펴보고 있다. 이날 姜 氏(왼쪽에서 두 番째)와 否認 원선호 氏(오른쪽)가 아이들을 품에 안은 채 상추를 만지고 있다. 강경석 記者 coolup@donga.com
“不過 30分 만에 分讓하려고 내놓은 875個 區域이 다 나갈 程度였죠.”

따뜻한 봄기운을 받으며 자라는 菜蔬가 텃밭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22日 午後 서울 江東區 遁村洞에 만들어진 ‘親環境 都市텃밭’을 찾았다. 지난달 初 텃밭을 分讓할 當時 5000餘 名이 同時에 接續해 瞬息間에 分讓이 끝날 程度로 人氣가 높았다는 關係者의 說明이 印象的이었다.

○ ‘都市 農夫’ 同參 熱氣

강동구 關係者는 平日 午後에도 區民이 텃밭을 많이 찾는다고 傳했다. 實際로 平日인 12日 休暇를 내고 家族의 손을 잡고 나온 職場人부터 어머니와 함께 나온 視覺障礙人, 그리고 어린이집 아이까지 多樣한 ‘都市 農夫’가 땀을 흘리며 16.9㎡(藥 5.1坪) 크기의 텃밭에서 菜蔬를 가꿨다. 태어날 때부터 1級 視角障礙를 앓고 있는 신진희 孃(16)은 이날 어머니와 함께 自身의 이름으로 分讓받은 텃밭을 찾았다. 신 孃은 自身이 直接 기른 상추와 열무가 얼마나 자랐는지 손으로 꼼꼼히 만져봤다. 신 量은 “只今 밭을 가꾸며 흙을 만지는 느낌을 잘 記憶하고 싶다”며 “나중에 心理相談士가 돼 사람 內面의 ‘마음의 돌’을 골라내는 일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날 신 羊의 텃밭 옆에 있는 ‘은이찬이밭’에도 한家族이 모여 앉아 있었다. 강경훈 氏(33)는 두 살배기 아들 來贊이와 세 살짜리 딸 영은이와 함께 이곳을 찾았다. 姜 氏는 “平素 아파트 놀이터에서도 흙을 만져보지 않았던 아이들이 直接 상추를 심고 쑥갓과 아욱을 가꾸는 것이 가장 큰 工夫”라고 말했다.

○ 2020年까지 1家口 1텃밭 目標

江東區는 全國에서 最初로 親環境 都市農業 條例를 制定해 親環境 都市텃밭 만들기에 注力해 왔다. 지난해에는 親環境 都市텃밭을 分讓하고 落葉堆肥腸을 만들었다. 강동구 상일동에 새로 생긴 落葉堆肥腸 德分에 每年 3億6000餘萬 원에 이르는 燒却費用을 節約할 수 있었다. 江東區는 이달 遁村洞 암사동 高德洞 강일동에 1萬4787㎡(藥 4480坪) 規模의 都市텃밭을 區民에게 分讓했다. 單純히 텃밭만 分讓하는 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菜蔬 씨앗과 모種을 無料로 提供했다. 또 지렁이의 排泄物과 飮食物쓰레기를 堆肥로 活用해 텃밭을 親環境으로 만들고 있다.

費用도 크게 들지 않아 區民에게 人氣가 높다. 普通 서울 近郊의 週末農場 1計座(藥 17㎡)가 1年 期限으로 10萬 원 程度에 分讓되지만 江東區는 5萬 원이다. 農器具는 無料다. 區廳 關係者는 “週末에만 들르는 家族도 많지만 退勤길에 잠깐 들러 물을 주고 가는 職場人도 꽤 많다”고 귀띔했다.

江東區는 2020年까지 아파트 발코니에서 키울 수 있는 箱子텃밭 等을 꾸준히 普及해 집집마다 텃밭 하나씩 갖는 事業을 推進하고 있다.

서울市內 다른 自治區에서도 都市텃밭 가꾸기 烈風이 擴散되고 있다. 道峰區 鍾路區 양천구 송파구도 地域 特色에 맞는 텃밭을 開場해 市民들이 直接 菜蔬를 기를 수 있게 하고 있다. 서울市는 23日 箱子텃밭 5000個를 나눠주며 都市텃밭 烈風을 이어갔다.

강경석 記者 coolup@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