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스크 展望臺]디도스 攻擊 ‘칭기즈칸 戰術’과 닮은꼴|東亞日報

[데스크 展望臺]디도스 攻擊 ‘칭기즈칸 戰術’과 닮은꼴

  • 入力 2009年 7月 20日 02時 55分


아프리카大陸 全體를 合한 規模의 大帝國을 建設한 칭기즈칸의 軍隊는 10萬 名에 不過했다고 합니다. 10萬 名이라고 해봐야 서울월드컵競技場 하나를 겨우 채울 만한 人員입니다. 칭기즈칸은 어떻게 그렇게 적은 軍隊로 그토록 넓은 땅을 삼킬 수 있었을까요. 美國 매컬리스터臺 잭 워더퍼드 敎授의 冊에 보면 이런 句節이 나옵니다.

‘몽골軍은 마을을 攻擊하여 불을 지르고 居住者들을 내쫓았다. 怯에 질린 農民들은 四方으로 흩어졌다. 逃亡치는 農民 때문에 幹線道路가 막혀 주르첸(여진)은 補給物資 運搬에 어려움을 겪었다. 100萬 名이 넘는 避亂民은 都市로 쏟아져 들어가 備蓄돼 있던 食糧을 바닥내고 가는 곳마다 混亂을 일으켰다.’

甚至於 몽골軍은 城을 攻擊할 때 敵國의 避亂民을 화살막이로 利用하기도 했습니다. 이런 戰術 앞에서 防禦者들은 束手無策이었습니다. 軍事作戰에 妨害가 된다고 해서 自己 百姓을 向해 화살을 날릴 수는 없는 일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때 아닌 칭기즈칸의 攻城戰술 이야기를 꺼내본 理由는 7日부터 3, 4日間 우리를 패닉으로 몰아넣은 디도스(DDoS·分散서비스拒否) 攻擊과 너무나도 닮았기 때문입니다. 디도스 攻擊이란 해커가 수많은 좀비PC를 利用해 特定 웹사이트에 過度한 트래픽(接續量)을 보냄으로써 그 웹사이트를 作動不能 狀態에 빠뜨리는 것을 말합니다. ‘해커=몽골軍’, ‘攻擊對象 웹사이트=防禦軍’, ‘좀비PC=避亂民’이라고 생각하면 디도스 攻擊의 構造와 무서움을 쉽게 理解할 수 있습니다.

디도스 攻擊을 防禦하는 가장 確實한 方法은 좀비PC의 인터넷 接續을 아예 끊어버리는 것입니다. 이番 디도스 攻擊에서도 한때 이런 對策이 論議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實行에 옮기지는 못했습니다. ‘無辜한’ 좀비PC 主人들의 人權을 侵害할 素地가 있다는 理由에서였습니다. 防禦者들이 몽골軍의 虐殺을 避해 逃亡해오는 自己 百姓들을 外面하고 城門을 닫아버릴 수 없었던 것과 똑같은 理由이지요.

或者는 ‘칭기즈칸’ 하면 草原의 浪漫을 떠올릴지 모르지만 被征服者들에게는 使臣(死神)보다도 끔찍한 存在였을 것입니다. 디도스 攻擊을 恣行한 해커集團의 停滯도, 攻擊 意圖도 모른 채 一方的으로 當했던 우리의 處地도 칭기즈칸의 칼날 앞에 선 그들보다 나을 게 없었습니다.

지나간 일은 지나간 일이라 치고 問題는 앞으로입니다. 해커集團이 다시 攻擊해왔을 때, 한番 겪어본 일이니 만치, 우리는 右往左往하지 않고 對處할 수 있을까요? 사이버保安 關聯 政府豫算을 몇 倍로 늘리고 10萬 화이트 해커(사이버 시스템의 虛點을 찾아내 補完하도록 해주는 善意의 해커)를 育成하면 우리는 安全할까요?

‘保安은 사슬과 같아서 가장 弱한 고리만큼 安全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99個의 鋼鐵 고리로 만들어진 사슬도 고무 고리가 1個만 섞여 있으면 쉽게 끊어집니다. 화이트 해커 100萬 名을 키워낸들 ‘좀비 豫備軍’이 사라지지 않으면 安全하지 않다는 뜻입니다.

좀비 豫備軍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萬一 無料백신 내려받기조차 귀찮아한다면 當身이 바로 좀비 豫備軍입니다.

천광암 産業部 次長 ia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