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橫說竪說/홍찬식]韓國에 온 클림트|東亞日報

[橫說竪說/홍찬식]韓國에 온 클림트

  • 入力 2009年 1月 31日 03時 00分


오랫동안 帝國의 映畫를 누렸던 오스트리아 사람들은 世界 文化의 中心地에 살고 있다는 自負心이 대단하다. 오스트리아 音樂을 代表하는 人物이 볼프강 모차르트(1756∼1791)라면 美術 쪽에는 구스타프 클림트(1862∼1918)가 있다. 首都 빈의 벨베데레 국립미술관에 걸려 있는 그의 傑作 ‘키스’는 오스트리아의 國寶(國寶)로 推仰받는다. 文藝思潮에서 클림트는 象徵主義 畫家에 屬한다. 現實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는 寫實主義에 反對해 나타난 象徵主義는 夢幻的(夢幻的) 이미지가 特徵이다.

▷클림트의 人氣는 世界的으로 높다. 그의 ‘아델레 블로흐 바워의 肖像 I’은 2006年 當時 世界 最高價인 1億3500萬 달러에 去來돼 話題를 모았다. 韓國에선 1990年代 以後 ‘클림트 붐’이 일기 始作해 이제는 두꺼운 마니아層을 形成했다. 그의 作品을 담은 캘린더가 나오고 商品 廣告에도 그림이 借用되고 있다. 키스 같은 作品은 10代들의 러브레터에도 登場할 程度다. 그동안 그는 學校의 美術 授業에서는 자주 다뤄지지 않았다. 그림 속의 에로틱한 雰圍氣 때문에 學生들에게 선뜻 紹介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았던 畫家가 烈風을 일으키는 건 異例的 일이다.

▷클림트에겐 觀客을 吸引하는 힘이 있다. 隱隱한 黃金빛 톤에 담겨 있는 登場人物의 神祕로운 表情을 지켜보고 있노라면 觀客은 沒入의 境地에 빠져든다. 클림트는 19世紀 末과 20世紀 初에 活躍했던 畫家다. 不安과 憂鬱, 官能은 當時의 文化的 코드였다. 클림트가 지닌 뛰어난 感性 面에선 韓國人도 不足할 게 없다. 그런 共通點이 우리에게 클림트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는 게 아닐까.

▷油畫 30餘 點을 包含한 200餘 點의 클림트 作品이 서울 藝術의 殿堂에서 2月 2日부터 國內 첫 展示를 갖는다. ‘유디트 I’ ‘아담과 이브’ 等 낯익은 作品이 많이 들어 있다. 오스트리아 以外의 地域에서 이番처럼 클림트 作品이 많이 展示되는 적은 없었다고 한다. 日本에선 過去에 몇 點 程度를 展示하는 데 그쳤다. 名聲에 걸맞게 서울에 온 作品 全體의 保險價額이 10億 유로, 우리 돈으로 1兆8000億 원이다. 美術 愛好家라면 이番 展示會는 놓쳐서는 안 될 機會다.

홍찬식 論說委員 chansi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