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記者의 눈/길진균]庶民物價, 왜 오르면 떨어지지 않을까|동아일보

[記者의 눈/길진균]庶民物價, 왜 오르면 떨어지지 않을까

  • 入力 2009年 1月 12日 02時 58分


“先進國 物價는 떨어지고 있다는데 韓國은 왜 物價가 오르기만 하나요. 안 그래도 男便 俸給이 줄어들까 걱정인데….”

며칠 前 동아일보 經濟部로 電話를 걸어온 30代 後半의 主婦는 最近 市場에 나갔더니 物價가 더 올랐다고 하소연했다.

이 主婦의 ‘物價 體感指數’는 相當히 正確한 便이다. 經濟協力開發機構(OECD)에 따르면 지난해 11月 OECD 平均 消費者 物價上昇率은 前年 同月 對比 2.3%로 지난해 가장 높았던 7月(4.9%)보다 折半 以下로 鈍化됐다. 美國은 같은 期間 5.6%에서 1.1%로, 日本은 2.3%에서 1%로 떨어졌다. 하지만 韓國은 같은 期間 5.9%에서 4.5%로 1.4%포인트 내리는 데 그쳤다.

李明博 政府 出帆 初 “庶民生活 安定을 위해 直接 챙기겠다”고 公言한 ‘MB 生活必需品’도 年初부터 價格이 들썩이고 있다. 지난해 12月 基準으로 52個 品目 中 牛乳는 1年 前보다 36%, 밀가루는 27.8% 오르는 等 價格 上昇率이 두 자릿數대인 品目도 19個나 됐다.

이처럼 韓國의 物價가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 것은 첫째, 지난해 원貨價値가 다른 나라 貨幣보다 相對的으로 더 下落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7月 以後 國際 原資材 價格이 크게 내렸지만 원貨價値가 떨어져 輸入物價 下落 效果가 半減된 것. 둘째, 지난해 政府의 ‘團束’으로 原價가 올라도 價格을 올리지 못한 製品의 價格이 뒤늦게 오른 탓도 크다.

換率 要因에 따른 高物價는 뾰족한 解法이 없다. 企業이나 自營業者에게 損害를 繼續 甘受해 달라고 要求하기도 어렵다. 經濟 專門家들은 올바른 物價 解法은 價格團束 같은 彌縫策이 아니라 流通構造 改善 等 시스템을 바꾸는 것이 돼야 한다고 指摘한다. 지난해 3月 “庶民 物價를 챙기라”는 大統領 指示 以後 企劃財政部도 “價格安定 基盤을 마련하겠다”며 各種 시스템 改善策을 發表했다.

그러나 油價가 急落하자 當時 發表된 對策 中 相當數는 슬그머니 자취를 감췄다. 原價 節減 努力을 하는 公企業에 인센티브를 주는 制度의 導入, 石油製品 先物市場 開設 等은 ‘發表’로만 끝났다. 穀物 原資材 石油製品 等의 割當關稅를 낮추겠다고 했지만 稅金은 잠깐 引下됐다가 大部分 還元됐다.

政府가 物價安定을 위한 構造的 努力을 約束해놓고는 발등의 불이 꺼졌다고 대충 넘어가려 한다면 어떻게 國民의 信賴를 사겠는가.

길진균 經濟部 le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