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特派員 칼럼/윤종구]變했지만 變치않은 日本|東亞日報

[特派員 칼럼/윤종구]變했지만 變치않은 日本

  • 入力 2009年 1月 12日 02時 58分


도쿄 電鐵을 탔다. 게이오(慶應)大 1年 硏修를 끝낸 2004年 3月 以後 거의 5年 만이다.

그런데, 前轍 안이 시끄럽다. 왁자지껄한 程度는 아니지만 제법 큰 소리로 떠드는 中年 夫婦도 심심찮게 볼 수 있고 길거리에서처럼 對話하는 젊은이도 적지 않다. 끊임없이 携帶電話 文字메시지를 날리는 사람이 눈에 띄게 많아진 反面 冊 읽는 사람은 別로 없다. 다리를 꼬고 앉은 사람이 더러 있는 것도 달라진 風景이다.

5年 前의 도쿄 電鐵은 너무 조용해 서 있기가 語塞할 程度였다. 一行과 함께 탔을 때는 줄곧 입을 다물고 있어야 해 不便하기도 했다. 그때 도쿄에서 自動車 警笛을 들은 게 1年 동안 딱 한 番이었다면 믿을 사람이 몇이나 될까. 그런 조용한 도쿄가 마음에 들었다.

그때에도 電鐵 안에서 冊 읽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옴 진리교 事件이 터진 以後로 電鐵의 讀書 風景이 사라지고 있다는 얘기를 日本의 知人에게서 들은 적이 있다. 5年 後인 只今은 그때보다 冊 읽는 사람이 훨씬 적은 것 같다.

日本 하면 먼저 떠오르는 單語가 ‘配慮’다. 相對方에게 弊 끼치는 것을 무엇보다 警戒한다. 어릴 때부터 徹底하게 敎育받는다. 그러나 日本 社會에서도 ‘配慮’보다는 ‘個人’의 領域이 漸漸 넓어지고 있는 것 같다.

어딜 가나 마스크를 한 사람이 유난히 많은 것을 보고 놀랐다. 처음엔 ‘다른 사람에게 感氣 옮길까 操心하는구나’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사히신문의 한 記者는 “大部分의 마스크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感氣 바이러스를 遮斷하기 爲한 것”이라고 說明했다. 좀 誇張하자면, 마스크가 配慮에서 個人으로 移動하는 象徵처럼 느껴졌다.

가까운 親舊에게 電話할 때에도 미리 文字메시지로 “只今 電話해도 돼”라고 물어 承諾을 얻은 後에야 비로소 番號를 누르는 風景도 흔해졌다. 一般人들의 名銜에 大部分 携帶電話 番號가 없는 것도 같은 脈絡이다. 私生活의 尊重이라기보다는 個人主義의 壁이 높아지고 있다는 느낌이다.

그러나 5年間, 달라지지 않은 것도 있었다.

日本에 온 지 거의 한 달 만에 집에 인터넷과 有線電話가 設置됐다. 韓國으로 돌아간 特派員 前任者는 하루 만에 인터넷이 設置됐다는데….

집을 얻을 때의 不合理와 不便도 그대로였다. 집主人은 壁에 못을 박거나 壁紙와 마룻바닥에 傷處를 내면 돈으로 물어내야 한다고 했다. 愛玩動物 飼育과 吸煙, 저녁 9時 以後 피아노 演奏 等이 摘發되면 退去 措置될 수 있다고도 했다. 아무리 집을 깨끗하게 쓰더라도 移徙 나갈 때 專門 淸掃業者를 부르는 費用은 貰入者 負擔이라는 條項도 있었다.

賃借料 外에 月貰 한두 달 치의 謝禮金을 追加로 주어야 하는 것은 相對的으로 弱者인 貰入者에겐 屈辱的이라고 할 만한 慣行이다. 第2次 世界大戰 때 도쿄가 美軍의 攻襲으로 잿더미가 되면서 집을 求하기가 어려웠을 當時 ‘집을 빌려줘서 고맙습니다’란 뜻으로 謝禮金을 줬던 慣行이 60年 넘게 維持되고 있다. 韓國式으로 말하자면 ‘飯(反)庶民’ 慣行이다.

地下鐵을 타거나 地下 1層 飮食店에만 가도 携帶電話가 터지지 않는 것은 예나 只今이나 똑같다.

그러나 時間이 걸리더라도 뒤頉 없이 確實하게 하고, 언제 어디서나 安全하고, 속고 속이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다는 點 또한 5年 前과 매한가지다. 가까우면서도 먼 日本, 같아 보이지만 全혀 다른 日本人이다.

또 하나 달라지지 않은 게 있다면, 如前히 우리보다 더 잘산다는 點이다.

무엇이 오늘의 日本을 있게 했는지, 日本의 힘이 어디서 비롯되는지를 그들의 日常 속에서 찾아보고 싶다.

윤종구 도쿄 特派員 jkma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