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情報通信] "地下 작은 둥지서 꿈을 키워요" 梨大 벤처 동아리|東亞日報

[情報通信] "地下 작은 둥지서 꿈을 키워요" 梨大 벤처 동아리

  • 入力 2001年 4月 8日 19時 05分


이화여대의 벤처 동아리인 ‘에이블(ABLE)’과 ‘겟(GET)’은 近似한 建物 地下房에서 한집 살림을 한다. 食口는 통털어 40名쯤. 5名 들어가면 꽉 찰 房이지만 한꺼번에 북적댈 일이 없으니 問題는 없다.

‘벤처’와 ‘大學동아리’, 이 두 낱말은 ‘정신없는 곳에서 컵라면 먹으며 날밤 새우기’를 聯想시킨다. 하지만 웬걸, 室內는 意外로 깨끗하다. 에이블과 겟은 ‘平素에도 이렇다’고 主張한다. 平均 學番이 높은 겟과 사람數가 많은 에이블, 어느 쪽이 淸掃를 많이 하는지는 모를 일.

캠퍼스 後門옆 建物의 地下 대여섯坪짜리 房에 있지만 이들의 꿈은 世上밖으로 向해있다. 컴퓨터는 모두 7代. 겟이 使用하는 디지타이저와 플로터는 各各 700萬∼800萬원臺 製品. 에이블과 겟은 98年5月 梨花女大 創業동아리로 指定돼 ‘家具 딸린 房’을 無償賃貸 받았다. 에이블은 컴퓨터를 2臺만 支援받았으나 中小企業廳에서 優秀 創業동아리 支援金 500萬원을 받아 살림을 늘렸다.

한 放에 둥지를 틀었지만 에이블과 겟은 各其 바쁘다.

에이블은‘메이트오케이(www.mateok.co.kr)’ 사이트를 이달 中 열 計劃. 下宿房 事務室 作業室 舞踊演習室 等을 함께 쓸 짝꿍을 찾는 사이트다. 에이블 會長 이은경氏(經營學科 4年)는 “現在 룸메이트나 作業室메이트가 必要한 親舊들은 各自 알아서 어렵게 메이트를 求하는 狀況이라 需要는 確實히 있다”고 說明했다. 에이블은 이밖에도

△心臟內科 修鍊醫를 위한 敎育用 게임 △映像 메일 시스템 △無線인터넷 言語變換 프로그램 等을 開發中이다.

겟은 社會生活學科 지리정보시스템(GIS) 硏究室에서 出發한 벤처 동아리. 下宿情報시스템과 商家情報시스템은 지난달 업데이트를 마쳤다. 이대에서 受注를 받아 製作한 것으로 梨大 홈페이지(get.ewha.ac.kr/house)에서 利用할 수 있다.

에이블과 겟은 事業經營工夫도 톡톡히 하고 있다.

겟의 반효元氏(社會生活學科 大學院2年)는 “受注를 받은 것이니만큼 제날짜에 結果物을 내야 하는 게 負擔이다”고 말했다. ‘契約’에 따른 責任을 지키기 위해 作業進陟과 팀員들의 스케줄을 細心히 챙겨야 한다. 金氏는 “다들 지리專攻이라 工學, 經營마인드가 없는 點이 힘들다”며 “벤처企業들이 기술난 運營難으로 어려움에 逢着한다는 報道가 남의 일 같지 않다”고 덧붙였다.

에이블의 李氏는 “元來 컴퓨터學科에서 나온 동아리라 有數 大會에서 金賞을 받아놓고도 그 프로그램을 適切히 事業化시키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며 “現在는 마케팅팀 디자인팀 技術팀의 體制로 굴러간다”고 說明했다. 弘報 廣告等까지 體系的으로 準備한다.

에이블과 겟이 實際 創業으로 이어진다면 梨大 創業支援센터의 支援을 받을 수 있다. 비슷한 길을 걸은 代表的인 例가 인터카드넷의 金京鎭(24)社長. 이대의 支援을 받은 創業동아리 1戶이면서 現在 같은 建物의 梨大創業支援센터에 入住해 있다. 金社長은 後輩 育成次元에서 또다른 벤처동아리 ‘트리거’에 인터카드넷의 重要한 프로젝트들을 맡겨볼 생각이다.

꿈도 많고 하고 싶은 것도 많은 大學時節. 이렇게 바쁘게만 보내는 것이 후회스럽지는 않을까.

“元來 바쁠 때 짬내서 해야 더 잘되잖아요. 工夫도 趣味生活도 노는 것도…. 일이 안풀리면 스트레스를 받지만 그래도 멋진 大學生活을 보내고 있다고 생각해요.” 겟 멤버 김정연氏(社會生活學科 大學院2年)의 對答이다.

<김승진기자>sarafin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