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理知論述/古典旅行]문장강화|東亞日報

[理知論述/古典旅行]문장강화

  • 入力 2009年 1月 12日 02時 59分


“나로서 말하고 싶은 것을 맛깔나게 表現하라”

尙虛 李泰俊의 ‘문장강화’는 그가 連載하던 글을 모아 1940年에 出刊한 冊이다. 著者는 한글 文章의 쓰임을 細密하게 보듬고, 한글의 아름다운 맛을 느낄 수 있는 事例들을 보여준다.

作家는 始終一貫 ‘精神이 들지 않는 글, 主觀이 들지 않은 글, 글쓴이의 感情과 交涉 없이 나온 글’을 警戒한다. 또한 傳統과 權威에 對해서도 緊張의 끈을 놓지 않는다. ‘산 사람은 生活 그 自體가 언제든지 새로운 것이다.’ 그래서 그의 精神은 이 하나로 통한다. 나로서 말하고 싶은 것을 表現하라!

當代에 ‘詩에는 지용, 文章에는 태준’이라 불릴 程度로 그는 散文의 達人이었다. 이 水準의 匠人에게는 表現의 微妙한 差異가 어떠한 根本과 통하는 것인지를 꿰뚫고 있을 터. 그가 보여주는 表現法 講座는 無條件 어떤 表現은 좋지 않다는 式의 訓戒가 아니다. 우리글의 맛이 살아 있는 實際 事例들을 보여주면서 親切하게 토닥이는 式이다.

書簡文 便에서, 壬辰倭亂 때 避亂 간 宣祖代王이 멀리 있던 셋째 딸에게 보낸 便紙글을 살펴보자.

‘그리 간 後의 眼部 몰라 하노라 어찌들 있는다 서울 各別한 奇別 없고 盜賊은 물러가니 기꺼하노라 나도 無事히 있노라 다시곰 좋이 있거라.’

마주 보고 말하는 듯 쉬우면서도 品位 있게 쓰라는 것. 書簡文 쓰기에서 긴 說明 없이도 짧은 事例에 要點을 담는 才致가 뛰어나다. 俳優는 우리도 勇氣가 난다.

그는 가르치는 사람으로서 왜 그래야 하는지를 論理的으로, 매끄럽게 보여준다. 描寫 便에서 그는 于先 아름다운 風景을 보고 ‘아름답구나!’ 하는 것은 自己의 心理일 뿐, 讀者는 共感하기 어렵다는 點을 指摘한다.

讀者에게도 그런 心理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하늘, 구름, 山, 내, 나무, 돌 等 風景의 材料를 組合해서 表現해야 共感을 일으킬 수 있음을 일러준다. 描寫 안에도 根據를 담는 論理性을 强調하고 있다. 아름다움을 經驗하는 心理的 共有가 目的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著者는 ‘맛이 없는 글’을 警戒한다. 冬服 입은 親舊를 그리는 授業에서 “同腹 빛이 까마니 온통 까맣게 漆할 수밖에 없었다”고 答한 親舊에게 “눈 온 벌판을 그려라 하면 白紙를 그대로 내놓겠구나?” 하고 反應했던 美術 先生님의 才致를 보여준다.

어렵고 抽象的인 知識이나 槪念은 生動感을 죽인다. 眞正한 맛은 ‘검은 옷은 검다’와 같은 딱딱한 觀念이 아니라 눈 덮인 벌판에 對한 느낌에서 出發한다. 내 日常을 觀察하는 나의 눈이 곧 나의 글이다.

世上事에서 아는 것과 잘하는 것이 꼭 一致하지는 않는 法. 音樂 理論에 博識하다고 노래도 꼭 잘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冊은 文章作法에 關한 卓越한 理論書이자 同時에 그 自身이 좋은 文章의 模範事例이다. 이 冊을 다 읽고 나면 나도 그만큼 잘 쓰게 될까. 여기에 尙虛 先生이 準備해 둔 答辯이 있다. ‘글은 배워야 알고, 練習해야 잘 쓸 수 있다.’

권희정 상명대附屬女高 哲學·論述 敎師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