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理知論述]2009學年度 外高 口述面接 對備 豫想問題|東亞日報

[理知論述]2009學年度 外高 口述面接 對備 豫想問題

  • 入力 2008年 12月 15日 03時 00分


《理智論述에서는 새로운 外國語高 入試 類型에 맞는 口述面接 問題를 揭載합니다.

解說 講義는 서울市內 外國語高를 卒業하고 서울對 等 名門大에 進學한 大學生들이 맡습니다.

▶easynonsul.com에 動映像 講義》

▼社會▼

다음 그림은 文化 變動 過程 및 樣相을 나타낸 것입니다. (가)∼(다)와 關聯된 說明을 잘못 말한 學生을 (보기)에서 찾아 적으시오.

「〈보기〉

乾性: (가)는 東南아시아 固有의 文化와 이슬람 文化가 共存하는 境遇다.

현주: (나)는 淸나라의 滿洲族이 한족의 文化에 吸收되는 境遇다.

만경: (다)는 土俗 信仰과 外來 宗敎가 混合되어 새로운 宗敎를 만든 境遇다.

燕西: (가)와 (나)는 性格이 다른 文化 間에 일어나는 長期間의 文化 變動이다.

上곤: (나)는 (다)보다 文化의 多樣性에 寄與하는 文化 變動 樣相이다.」

[풀이 및 正答]

文化의 變動과 發展에 對해 알아보는 問題다. 서로 다른 A文化와 B文化가 相互 作用을 통해 文化 變動을 가져온다. (가)는 ‘文化 竝存’의 事例로 두 文化가 相互 尊重하며 共存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東南아시아는 印度 文化(佛敎 包含), 中國 文化, 原住民의 文化가 混合된 文化 地域이다. (나)는 ‘文化 童話’의 事例다. 두 文化가 相互 作用을 통해 한쪽 文化로 吸收된 것으로 淸나라를 세운 滿洲族의 文化가 사라진 것이 한 例다. (다)는 ‘文化 融合(文化 創造)’의 事例다. 두 文化가 相互 作用을 통해 새로운 文化를 形成하는 것이다. 文化의 變動은 長期間에 걸쳐 進行되는데 (가) 境遇에서 (나)와 (다) 境遇로 文化가 變動한다.

賞鯤의 說明은 (다)가 (나)보다 文化의 多樣性을 認定하는 變動 樣相이라고 해야 正確해진다. (나)는 强制的이고 劃一的인 文化 變動 事例로, 크리스트교 文化가 新大陸에 進出했던 일을 例로 들 수 있다.

正答: 上곤

▼言語▼

(보기)는 낱말을 통해 單語의 集合 關係를 나타낸 벤다이어그램(Venn diagram)입니다. (보기)와 같은 벤다이어그램을 통해 하나의 낱말을 推論하고자 할 때, ㉮에 들어갈 가장 適切한 것을 고르시오.

〈보기〉

*높새바람: 主로 봄부터 初여름에 걸쳐 太白山脈을 넘어 嶺西 地方으로 부는 高溫 乾燥한 바람으로 農作物에 被害를 주는 北東風을 말함.


[풀이 및 正答]

이 問題를 解決하려면 먼저 벤다이어그램에 提示된 單語들의 共通的인 意味(㉮)를 推理한 後 選擇肢에 提示된 單語의 意味를 確認하면서 正答을 골라야 한다.

(1)에서 ‘햇볕, 短時間, 비’를 통해 共通部分人 ㉮에 들어갈 만한 單語를 推論하면 햇볕 속에서 短時間에 내리는 비가 聯想된다. 이에 該當하는 비는 맑은 날에 잠깐 뿌리는 비인 ‘여우비’다. ①가랑비는 이슬비보다는 좀 굵지만 가늘게 내리는 비(細雨, 細雨), ②마른費는 땅에 닿기도 前에 蒸發되어 버리는 비, ④소나기는 갑자기 세차게 내리다가 곧 그치는 비, ⑤채찍비는 굵고 세차게 내리치는 비를 各各 가리킨다.

(2)에서 ‘사람, 運數, 險談’을 통해 共通部分人 ㉮에 들어갈 수 있는 單語를 推論하면 사람들에게 是非하거나 헐뜯는 말을 들을 運輸 程度가 되겠다. 따라서 正答은 口舌數(口舌數)다. 選擇肢 中에서 ‘運輸(運數)’라는 槪念이 들어있는 單語는 口舌數밖에 없음에 留意하자. ①葛藤(葛藤)은 칡과 籐나무가 서로 얽히는 것과 같이, 個人이나 集團 사이에 目標나 利害關係가 달라 서로 敵對視하거나 不和를 일으키는 狀態, ③뒷公論은 일이 끝난 뒤에 쓸데없이 이러니저러니 다시 말하거나 겉으로 떳떳이 나서지 않고 뒤에서 이러쿵저러쿵 是非調로 말하는 일, ④말失手는 말을 잘못하여 저지르는 失手 또는 그 말, ⑤군소리는 하지 아니하여도 좋을 쓸데없는 말이나 잠이 들었을 때 꿈결에 하는 말을 가리킨다.

正答: (1) ③, (2) ②

▼英語 讀解▼

다음 글의 밑줄 친 部分 中 語法에 어긋난 것을 고르고 바르게 고쳐 쓰시오.

『Traditionally, Koreans play yeonalligi mainly around New Year's Eve or from the tenth to the fifteen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They hardly ever fly kites past the fifteenth day. On the fifteen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a player writes the Chinese character aek, meaning calamity or bad fortune on a yeon, a kite, ㈎ winding more and more string to let it rise high in the sky. At this time, when no more string is left wound on the *bobbin, he cuts the string to separate the kite and ㈏ lets it fly far away to take possible misfortune with it. The Korean yeon, kite, is normally rectangular regardless of its size, and a round hole ㈐ is punched at its center to catch the strong wind freely in order to fly high. Owing to its shape, the yeon can be easily handled by anyone.

*bobbin: (桶 模樣의) 失敗, 얼레』

○ 語法에 어긋난 것: __________________________

○ 바르게 고쳐 쓴 것: __________________________

[풀이 및 正答]

(한글 풀이) 傳統的으로 韓國人들은 主로 설날 前날, 또는 陰曆 1月 10日부터 15日頃까지 鳶날리기를 한다. 그들은 15日이 지나면 거의 鳶을 날리지 않는다. 陰曆 1月 15日에 鳶 날리는 사람은 鳶에 漢字로 큰 災難과 不運을 뜻하는 液(厄)이라는 글字를 써서 하늘 높이 날도록 더욱더 줄을 풀어준다. 이때 얼레에 줄이 더 以上 감겨 있지 않게 되면 그는 줄을 끊어서 鳶을 分離시켜 그 鳶이 豫想할 수 있는 不運을 가지고 멀리 날아가 버리도록 한다. 韓國의 鳶은 普通 그 크기에 關係없이 直四角形이며, 맘껏 높이 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剛한 바람을 붙잡도록 鳶의 가운데에 둥근 구멍을 뚫는다. 그 形態로 인해 聯銀 누구라도 쉽게 다룰 수 있다.

(解說) 하늘 높이 날아갈 수 있도록 하려면 줄을 감는(winding) 것이 아니라 줄을 풀어주어야(unwinding)한다.

正答: 語法에 어긋난 것=(가), 바르게 고쳐 쓴 것=unwinding more and more string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