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修能 探究領域 1科目 줄어들 듯|東亞日報

修能 探究領域 1科目 줄어들 듯

  • 入力 2008年 9月 25日 02時 55分


■ 敎育課程評價院 公聽會

“學習負擔 줄이려 2012學年부터 變更 檢討”

‘高校 1學年 科目 追加-選擇科目 縮小’ 案도

3科目 줄이겠다던 引受委 計劃보다는 後退

現在 中學校 3學年 學生들이 치르게 될 2012學年度 大學修學能力試驗에서는 探究領域 凝視科目이 現在보다 1科目 줄어들 것으로 展望된다.

修能 出題機關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4日 서울 종로구 가회로 敎員訴請審査元會 講堂에서 ‘2012學年度 修能 探究 및 第2外國語·漢文 領域 應試科目 縮小 方案 公聽會’를 열고 硏究方案을 發表했다.

評價院은 △探究領域 選擇科目을 1個 줄이는 안(第1안) △高校 1學年 探究領域 過程을 修能에 追加하면서 選擇科目을 줄이는 안(第2안) △現行 體制를 維持하며 2014學年度부터 縮小를 論議하는 안(제3안) 等을 檢討하고 있다고 밝혔다.

評價院은 이 가운데 1個 方案을 選擇해 다음 달 敎育科學技術部에 提出할 豫定이며, 敎科부는 이를 審議한 뒤 年內에 最終 決定할 計劃이다.

▽引受위 計劃보다 後退=評價院의 3가지 方案은 ‘2012學年度부터 探究와 第2外國語·漢文 領域의 選擇科目을 現行 最大 5個에서 2個로 줄이겠다’는 大統領職引受委員會의 當初 計劃보다 後退한 것이다.

第1案과 第2案은 모두 修能 第2外國語·漢文 領域에서 1科目을 選擇하는 現行 方式을 維持한 채 探究領域 科目만 줄이는 것이다.

現在 4科目인 探究領域의 最大 選擇科目 數를 第1案은 3科目으로 줄이는 反面 第2案은 2科目으로 줄인다. 그러나 第2案은 現在 修能에 包含되지 않는 高校 1學年 探究領域 敎育課程을 修能에 包含시켜 1個 科目을 新設하기 때문에 줄어드는 科目 數는 第1案과 같다.

第1案은 科目 數만 1科目 줄어들기 때문에 學校 現場의 混亂을 最少化 할 수 있다는 長點이 있다. 그러나 學生들의 學習負擔 輕減이라는 當初 趣旨를 살리지 못하는 것은 短點이다.

第2案은 高校 1學年 授業 跛行의 問題點을 改善할 수 있는 反面 ‘高1 社會’(文科), ‘高1 共通科學’(理科)李 修能에 새로 追加돼 學習負擔이 加重되는 問題가 있다.

▽엇갈리는 意見=評價院이 公聽會에 앞서 敎師 學生을 包含한 5375名을 相對로 實施한 設問調査에서 64%가 科目 縮小에 贊成해 現行 維持(36%)를 크게 앞섰다.

그러나 縮小 方案에 對해서는 제1안(29.7%)과 第2안(28.1%)이 팽팽히 맞섰다.

第1안에 對해서는 敎師(37.3%) 敎授(37.2%) 大學 入學處長(52.2%) 敎師團體(33.3%)가 모두 높은 比率로 贊成한 反面 第2안에 對해서는 學生(31.1%)들이 가장 높은 贊成率을 보였다.

이에 따라 이날 公聽會에서도 討論者들의 意見이 엇갈렸다.

문흥안 건국대 入學處長은 “이番 안을 보면 今年 末까지 確定하기 위해 서두른 느낌이 있다”며 “修能科目 縮小는 波紋이 큰 만큼 2014學年度에 맞춰 차분히 論議돼야 한다”고 主張했다.

‘學校를 사랑하는 學父母 모임’의 최미숙 常任代表는 “選擇科目이 준다고 私敎育費나 學習負擔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며 “그나마 歷史와 共通科學 敎育이 强化되는 第2案이 나을 것 같다”고 밝혔다.

김기용 記者 kk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