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家族이 함께]봄이 오는 캠퍼스로/ <5>경희대 水原캠퍼스|東亞日報 </5>

[온家族이 함께]봄이 오는 캠퍼스로/ <5>경희대 水原캠퍼스

  • 入力 2004年 2月 29日 18時 20分


코멘트
雅淡한 野山과 湖水로 둘러싸인 京畿 용인시 기흥읍 서천리 경희대학교 水原캠퍼스. 造成된 지 20餘年에 不過하지만 오랜 歷史를 지닌 캠퍼스 못지않은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다.

大部分 大學의 地方캠퍼스가 單調로운 建物들만 奧密稠密 들어선 것과는 달리 中世 유럽風의 正門과 中央圖書館, 思索의 廣場, 體育大學 建物 等은 보는 이들을 壓倒한다.

날씨가 포근한 週末이면 隣近 靈通新都市 住民들이 많이 찾아 住民 休息空間으로서도 役割을 톡톡히 하고 있다.

▼連載物 記事 目錄▼
- 1.文化와 環境의 調和 '서울대와 新林洞 奉天洞'
- 2.傳統과 歷史의 香氣 '고려대와 홍릉'
- 3.浪漫과 젊음의 糞蟲 '연세대 이화여대와 新村'
- 4.霸氣와 竊盜의 空間 '陸軍士官學校와 태릉'

▽中世유럽式 正門과 思索의 廣場=캠퍼스 正門부터 예사롭지 않다. 2001年 造成된 네오르네상스式 門은 幅 62m, 높이 22m에 이르는 花崗石 構造物로 16個의 돌기둥이 받치고 있다. 水原캠퍼스가 제2 르네상스 運動의 發源地가 될 것을 念願하는 뜻에서 建立됐다.

正門에서 캠퍼스를 바라보면 道路 左右側으로 學校 建物들이 配列돼 安定感과 뛰어난 造形美를 느끼게 한다.

正門을 지나 中央圖書館으로 가기 위해 넘는 一名 ‘할딱고개’ 周邊에 造成된 진달래동산은 해마다 봄을 알리는 傳令 役割을 한다. 또 體育大學은 中世 유럽 建物을 연상시켜 눈길을 끈다.

中央 圖書館과 思索의 廣場

中央圖書館 앞 思索의 廣場은 水原캠퍼스에서도 아름답기로 소문난 곳. 6500坪 廣場의 中央에는 13個의 噴水,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 彫刻像, 廣場 左右側에는 27m 높이의 오벨리스크塔이 우뚝 솟아 印象的이다. 봄에는 廣場과 周邊으로 벚꽃과 철쭉 等이 滿發한다.

이 廣場에서 駐車場 너머로 바라보이는 신갈貯水池는 또 다른 아름다움. 새벽녘 물안개와 해질녘 落照는 캠퍼스의 浪漫과 여유로움을 안겨준다.

76cm의 大型 天體望遠鏡을 갖춘 宇宙科學敎育館(天文臺)은 週中에는 一般에 無料 開放한다. 031-201-2470

中央圖書館 뒤便에서 始作하는 散策路(50分假量 所要)는 學校를 한바퀴 빙 돌아 正門 앞까지 이어져 많은 이들이 찾는 데이트 코스 中 하나다.

週中에 無料 開放하는 天文臺

▽한국민속촌과 京畿道博物館=경희대 水原캠퍼스에서 自動車로 10餘分 距離에 있다.

傳統家屋과 風物을 엿볼 수 있는 韓國民俗村에는 널뛰기, 農樂놀이, 줄타기 等 農樂놀이牌 公演이 午前 11時, 午後 3時 하루 두 次例 있다. 또 各 放送局의 史劇 드라마 撮影이 月曜日부터 金曜日까지 이어져 찾는 이들의 발길을 붙잡는다. 031-286-2111

京畿道博物館은 考古美術과 民俗資料를 常設展示하고 있지만 特別企劃展이 優秀하다는 評價를 받고 있다. 12日부터 한 달間 ‘亂世의 名宰相 백헌 이경석(白軒 李景奭·1595∼1671) 前’李 열린다.

백헌은 朝鮮 中期 때의 代表的 學者로 顯宗(顯宗)으로부터 下賜받은 几杖(櫃杖·앉아서 팔을 기대는 받침臺와 지팡이·寶物 930號)과 賜几杖宴會度牒(賜궤杖宴會圖帖) 等 백헌 집안의 書畫類 100餘點이 선보인다. 每週 月曜日 休館. 031-288-5400

<끝>

水原=남경현記者 bibulu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