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小說]큰바람 불고 구름 일더니 <539>卷六.東트기 前|東亞日報 </539>

[小說]큰바람 불고 구름 일더니 <539>卷六.東트기 前

  • 入力 2005年 8月 18日 03時 08分


코멘트
그림 박순철
그림 박순철
“漢王 劉邦이 大軍을 이끌고 東쪽에서 下水(河水)를 건넜다 합니다. 只今 少數무(小修武) 南쪽에서 梧倉(敖倉)을 向해 오고 있는데 그 氣勢가 如干 아니라는 所聞입니다.”

그 말을 들은 牌왕이 憤怒를 失笑로 바꾸어 허허거리며 말했다.

“그 場돌뱅이 놈이 무슨 妖術이라도 부린단 말이냐? 한 놈은 西쪽에서 種魑魅와 龍邸를 막고 있고, 또 한 놈은 東쪽에서 大軍을 몰고 온다니 都大體 이게 어찌된 일이냐?”

“한王은 애初부터 西쪽으로 달아난 게 아니라 東쪽 阪神에게로 가서 그 大軍을 거둬들였습니다. 거기다가 며칠 前에는 觀衆에서 적지 않은 軍士가 다시 한王에게 이르렀다 합니다.”

멀리 斥候를 나갔던 軍士가 그곳 百姓들에게서 들은 대로 傳해 주었다.

“그 소리야말로 丈量이나 眞坪이 過人을 이곳에 묶어 놓기 위해 퍼뜨린 헛所聞일 것이다.”

霸王은 믿을 수 없다는 듯 그렇게 소리쳤으나 軍士를 함부로 움직이지는 못했다. 다시 한番 사람을 東쪽으로 보내 그 말이 맞는지를 알아보게 했다. 하지만 牌왕이 들은 所聞은 事實이었다.

그때 漢王 乳房은 正말로 下水를 건너 少數무 南쪽에다 眞彩를 벌여 놓고 있었다. 韓信의 軍士를 거두어들이자 霎時間에 불어난 韓君은 蕭何가 漢王 劉邦의 四寸 兄 有故(劉賈)에게 觀衆에서 긁어모은 軍士 3萬을 보내면서 더욱 크게 勢力을 떨쳤다. 이에 힘이 솟은 한王은 霸王과 다시 한番 맞붙어 보려고 衡陽 성고 쪽으로 軍士를 몰아가는 길이었다.

하지만 한王의 鬪志는 장해도 그 하려는 바는 위태롭기 짝이 없었다. 유고가 이끌고 온 觀衆의 軍士들 때문에 머릿數로는 牌왕이 거느린 楚나라 軍士와 비슷해졌지만 그 質은 아직 楚나라 軍士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싸움에 져본 적이 別로 없는 超軍은 如前히 江東의 淨甁(精兵)을 中心으로 하고 있는 데 비해, 한군은 大槪가 여기저기서 새로 긁어모은 데다 調鍊도 제대로 안 된 雜軍(雜軍)이었다. 또 將帥들도 여기저기 흩어져 霸王 밑에서 鍛鍊된 楚나라 將帥들을 當해낼 만한 盲腸이 漢王 곁에 別로 남아 있지 않았다.

거기다가 한王을 더욱 위태롭게 하는 것은 쓸 만한 策士(策士)들이 모두 멀리 나가 있다는 點이었다. 幕賓으로는 겨우 驛이기 程度가 있었으나, 驛이기는 幼生(儒生)이고 遊說가(遊說家)였다. 아무리 그 재주를 크게 봐주어도 싸움터에서 丈量이나 陳平의 빈자리를 메워줄 만한 策士는 決코 못 되었다. 그런데 한 사람 알려지지 않은 策士가 있어 한王을 그 無謀한 싸움에서 건져냈다.

漢王 곁에서 시중드는 郎中(郎中) 가운데 怔忡(鄭忠)이란 사람이 있었다. 精蟲은 平素 헤아림이 깊고 忠直하여 한王을 便하게 모셨으나 말이 없어 그 재주는 別로 드러난 바 없었다. 그런 그가 어느 날 한王을 찾아보고 操心스레 말했다.

“新(臣)李 삼가 大王께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들어봐 주시겠습니까?”

“그대가 어쩐 일인가? 말하라. 過人이 귀담아들으리라.”

워낙 말이 없던 사람이라 한王이 그렇게 받았다. 精蟲이 차분하게 말했다.

“只今 大王의 處地는 석 달 前 兄陽性을 빠져나가 觀衆으로 들어가셨을 때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大王께서 對處하시는 모습은 어찌 이리도 그때와 다른지 實로 알 수 없습니다.”

글 李文烈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