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科學世上/이정모]로봇硏究, 心理學이 必須인데…|동아일보

[科學世上/이정모]로봇硏究, 心理學이 必須인데…

  • 入力 2005年 1月 21日 17時 56分


코멘트
最近 國內外에서 人間과 닮은 로봇을 만드는 일이 한창이다. 흔히 로봇의 基本 槪念과 理論的 模型이 機械工學이나 컴퓨터科學 等 理工系 學問에서 비롯됐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人文社會科學에 屬하는 心理學科 認知科學이 基本이다.

空想科學映畫 ‘터미네이터’의 主人公을 떠올려보자. 이 로봇은 對象에 對한 不透明한 이미지로부터 몇 段階의 計算 過程을 거쳐 相當히 具體的인 이미지를 뽑아낸다. 이 映畫를 보면 마치 터미네이터가 人間과 다른 視角 處理를 하는 것처럼 보인다. 또 이런 이미지 計算 方法은 컴퓨터科學者가 만든 것이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 일은 한 認知心理學者가 提示한 人間의 視角計算理論을 바탕으로 이뤄진 것이다.

世界的인 人工知能센터人 美國 매사추세츠工大(MIT) 미디어랩의 例를 보자. 사람과 相互作用을 하면서 스스로 學習하는 能力을 가진 레오나르도, 空間이나 對象에 對한 人間의 言語를 理解하며 自身의 感覺運動 行爲를 造作하는 리플리 等이 만들어지고 있다. 또 키스멧이란 로봇은 人間과 얼굴을 맞대고 자연스러운 表情을 지을 줄 안다.

이처럼 空間과 對象의 知覺 및 言語的 指稱의 理解, 얼굴 表情을 비롯한 情緖表現, 人間과의 相互作用 等의 基本 槪念과 메커니즘은 心理學科 認知科學의 理論에 바탕을 두고 있다. 따라서 西歐의 로봇 硏究그룹에는 心理學者와 認知科學者가 恒常 共同硏究者로 參與하고 있다.

學界에서 ‘發達로보틱스’라는 新生 學問分野가 脚光받고 있다. 傳統的 로봇硏究의 目標는 特定 分野의 特定 問題만 解決하는 것이었다. 自動車工場에서 끊임없이 部品을 組立하는 일을 反復하는 産業用 로봇이 代表的인 事例다.

하지만 發達로보틱스는 最小限의 知識만 附與받고 만들어진 로봇이 마치 人間의 아기처럼 스스로 作動하면서 새로운 情緖的, 認知的, 社會的 能力을 習得해 發達해 가는 硏究를 遂行한다. 여기에 必要한 知識을 얻기 위해 著名한 發達心理學者人 피아제나 非고츠키의 理論이 導入되고 있다. ‘피아제 로봇’이나 ‘非고츠키 로봇’이란 이름으로 새로운 硏究패러다임이 登場하고 있는 것이다.

美國 상무부와 科學財團은 2001年 著名한 科學者들과 政策硏究者들에게 未來 科學技術이 어떤 틀에서 推進돼야 할지를 물었다. 調査 結果 向後 最小 20年 동안 推進해야 할 4大 核心 軸으로 나노科學, 生命科學, 情報科學, 그리고 認知科學이 選定됐다. 勿論 이들 核心軸이 서로 融合하며 發展하는 일이 必須다. 캐나다는 이에 刺戟 받아 1年 後 비슷한 틀을 提示했다. 유럽聯合은 2004年 9月 美國의 틀에 유럽의 特性을 加味해 ‘유럽知識社會를 위한 融合科學技術(CTEKS)’ 案을 提示했다.

이런 世界的 趨勢를 보면 韓國의 狀況이 多少 답답하게 느껴진다. 認知로봇, 鎭火로봇, 發達로봇 等 尖端 로봇을 硏究해 國際的으로 競爭해야 할 韓國의 理工系 學生들이 心理學科 認知科學의 基本知識을 大學이나 大學院에서 習得할 수 있는 敎育體制가 全혀 마련돼 있지 않기 때문이다. 海外에서는 이미 30餘 年 前부터 科學敎育 過程에 心理學科 認知科學이 必須 敎科目으로 자리 잡고 있다.

우리의 理工系 學生들이 10年 後 心理學科 認知科學에 無知한 채 國際舞臺에서 苦生할 생각을 하면 안쓰럽기까지 하다. 하루빨리 國家 科學敎育 政策 次元에서 改善策이 마련돼야 한다.

이정모 成均館大 敎授·心理學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