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放送][漫畫]歌手 김현정이 본 東亞-LG 漫畫페스티벌|東亞日報

[放送][漫畫]歌手 김현정이 본 東亞-LG 漫畫페스티벌

  • 入力 2003年 8月 5日 17時 13分


코멘트
가수 김현정이 서울 종로구 세종로 일민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동아·LG 국제만화 페스티벌’에 전시된 만화 작가 권가야의 작품 ‘남자이야기’를 보고 있다. 이종승기자
歌手 김현정이 서울 鍾路區 세종로 일민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東亞·LG 國際漫畫 페스티벌’에 展示된 漫畫 作家 권가야의 作品 ‘男子이야기’를 보고 있다. 이종승記者
歌手 김현정(25)은 숨은 ‘漫畫 마니아’이다.

김현정은 서울 鍾路區 세종로 일민미술관에서 열리는 ‘東亞·LG 國際漫畫 페스티벌’戰에서 平素 팬들에게 보여주지 못했던 오랜 漫畫 사랑을 드러냈다.

김현정의 漫畫 사랑은 初等學校 時節 ‘드래곤 볼’(도리야마 아키라) ‘아톰’(데즈카 오사무)에서 始作했다. 그는 日本 少年 漫畫에서 出發해 황미나 원수연의 韓國 純情 漫畫를 涉獵하고, 아트 슈피겔만의 ‘쥐’ 等 유럽 漫畫까지 좋아하고 있다.

“어떤 種類의 漫畫를 좋아한다고 딱히 말할 수 없을만큼 가리지 않아요. 뭐든지 다 봐요. 그림만 너무 형편없지 않으면.” (웃음)

授業時間에 親舊들과 함께 릴레이 漫畫도 그렸다는 그는 2001年 12月 漫畫 스토리作家로 데뷔했다. 그는 隔週刊 漫畫雜誌 ‘케이크’에 歌手 志望生의 成功記를 그린 ‘T.R.Y.’(施工社)를 漫畫家 박무직과 共同作業으로 連載했고 最近 單行本으로도 發刊했다.

‘東亞·LG 國際漫畫 페스티벌’의 하나로 一民美術館 2層에서 열리고 있는 ‘韓國 漫畫의 視線과 呼吸’展은 올해 初 프랑스 앙굴렘 페스티벌에 招請된 韓國 作品들의 앙코르 展示. 김현정은 이곳에 展示된 최호철의 原畫를 보자마자 額子를 가리키며 “이 作品 或是 購入할 수 없냐”며 좋아했다. 그는 이 作品에 對해 “庶民들의 日常을 담은 繪畫風 그림이 지닌 色感과 雰圍氣가 세련됐다”고 말했다.

그는 변병준의 ‘프린세스 안나’에 나오는 人物들의 퀭한 눈망울을 보고 “日本 漫畫같은 느낌을 주지만 펜터치에서 나오는 獨特한 質感은 獨逸 漫畫와 닮았다”고 評했다.

함께 展示된 양영순의 ‘冷藏庫’는 實驗 性짙은 作品이다. 冷藏庫 속에 少女를 保管한다는 內容인데 마지막 그림을 實際 冷藏庫에 사람의 模型을 넣는 設置 作品式으로 展示했다. 김현정은 多少 섬뜩해 하더니 “漫畫가 이런 式으로도 表現이 되는 것을 보면 漫畫의 想像力이 無窮無盡하다”고 말했다.

김현정은 이애림의 作品 ‘레인보우’에 對해서는 “功을 많이 들였다”며 感歎詞를 連發했다. 이 作品은 화난 듯 기쁜 듯, 妙한 表情의 人物과 天然色 컬러링이 돋보인다는 評을 받았다.

함께 열리고 있는 ‘韓國 漫畫의 呼吸’展은 日帝時代 新聞 萬坪부터 인터넷 漫畫까지 韓國 漫畫의 變遷史를 時期別로 보여준다. 김현정은 50年代 政治 宣傳用 漫畫나 김용환의 ‘코주부 三國志’는 낯설어했으나, 60年代 고우영 길창덕 윤승운 作家의 作品에 이르러서는 오랜 親舊를 만난 듯 반가워했다.

“윤승운 作家의 ‘맹꽁이 書堂’은 歷史 漫畫지만 여러 次例 재미있게 봤어요. 아! ‘恐怖의 外人球團’, 이것도 正말 좋아했던 漫畫예요. 그리고 ‘둘리’는 漫畫月刊誌 ‘寶物섬’에 連載될 때부터 봤어요. 둘리와 희동이 팬입니다.”

김현정은 80年代 作品쪽으로 옮겨가자 황미나의 ‘안녕 미스터 블랙’, 강경옥의 ‘별빛속에’ 等을 모두 한눈에 알아봤다.

“유럽에서는 몇 次例 봤지만 韓國에서 漫畫를 美術館에 展示하는 境遇는 처음 봅니다. 漫畫는 文化産業의 重要한 部分인데 美術館 等에서 더 待接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特히 이런 行事일수록 漫畫 팬들이 많이 몰려들어와 ‘漫畫의 힘’을 보여줘야 해요.”

展示는 17日까지(월요일 休館), 初中高 學生 3000원, 一般 4000원. 02-2020-1620

조경복記者 kathy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