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國系로서 6·25때 美軍 犧牲에 報答하고 싶었다”|동아일보

“韓國系로서 6·25때 美軍 犧牲에 報答하고 싶었다”

  • Array
  • 入力 2011年 12月 15日 03時 00分


코멘트

■ 함께 派兵됐던 2人 인터뷰

“낯선 곳에 配置돼 제대로 適應하지 못해 어찌할지 몰라 苦悶하다 울면서 相談을 要請하는 將兵들이 적지 않았습니다. 每日 作戰에 나가는 兵士들을 모아놓고 祈禱를 했지요. 오늘도 우리 兵士들의 安全을 지켜달라고….”

12日 포트블리스 軍人 旅客터미널로 歸還한 美軍 將兵들 가운데는 韓國系度 눈에 띄었다. 그中 심호연 大尉(35)는 美 第1機甲師團 第4戰鬪旅團 所屬의 채플린(軍牧)으로 7月 28日 이라크에 派遣됐다가 歸還했다.

美國에 神學을 工夫하러 왔다가 軍牧의 길을 걷게 된 審 大尉는 “高校를 막 卒業했거나 大學 1, 2學年을 마치고 軍人으로 들어오는 境遇가 많아 어린 나이에 軍에서 많은 葛藤을 겪기도 한다”고 말했다.

다섯 살과 네 살짜리 딸을 둔 審 大尉는 “6·25戰爭 때 많은 美軍들이 韓半島를 지키느라고 犧牲했다. 韓國系 美國人으로서 이들의 犧牲에 조금이라도 報答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이날 歸還한 에드워드 兆(조한조·33) 少領은 이番이 세 番째 이라크 勤務였다. 2005年, 2006年에도 갔었다. 美國에서 태어난 그는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經濟學科를 다니면서 學軍團(ROTC)에서 服務했다. 2001年 中尉로 任官해 只今은 中領 進級을 앞두고 있다.

兆 少領은 “偵察 나갔던 兵士들이 부상당해 오는 것을 보는 것이 가장 마음 아팠다. 現場에 가보면 戰爭이 생각보다 크게 벌어지고 있구나 하는 點을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글·寫眞 포트블리스(엘파소)=최영해 特派員 yhchoi65@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