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韓銀 基準金利 引上에 住擔貸 金利 年內 7% 突破한다|동아일보

韓銀 基準金利 引上에 住擔貸 金利 年內 7% 突破한다

  • 뉴스1
  • 入力 2022年 4月 14日 11時 38分


코멘트
서울 시내 한 은행에서 대출 관련 창구가 운영되고 있다. 2022.4.6/뉴스1
서울 市內 한 銀行에서 貸出 關聯 窓口가 運營되고 있다. 2022.4.6/뉴스1
韓國銀行 金融通貨委員會가 14日 基準金利를 年 1.25%에서 1.50%로 0.25%포인트 引上함에 따라, 銀行圈 固定型 住宅擔保貸出 最高金利가 早晩間 6% 中盤을 넘길 것으로 展望된다. 美國 聯邦準備制度(Fed)와 韓國銀行이 高空行進 中인 物價를 잡기 爲해 繼續해서 ‘金利 引上 시그널’을 보내고 있는 만큼, 銀行圈 貸出金利 上昇勢는 持續될 것으로 보인다. 業界에선 固定型 住擔貸 最高金利가 年內 7%을 거뜬히 넘길 것이라 보고 있다.

銀行圈에 따르면 이날 基準 KB國民·新韓·하나·우리 等 4大 市中銀行의 住宅擔保貸出 混合型(固定型) 金利는 3.90~6.45%, 變動型(新規코픽스 基準)은 3.4~5.30%로 集計됐다. 지난 11日과 比較해서 上段 金利가 各各 0.19%p, 0.01%p 上昇했다.

韓國銀行의 年內 基準金利 追加 引上은 確實視되고 있다. 美 聯準이 8%에 達하는 物價上昇率을 잡기 위해 來年 上半期까지 漸進的으로 基準金利를 引上할 것으로 豫想되는데다, 3月 消費者物價 上昇率이 4.1%로 韓國銀行의 目標値인 2%를 크게 上廻하고 있기 때문이다. 市場에선 韓銀이 年內 基準金利를 2% 以上까지 올릴 것이라는 展望이 나온다.

韓銀 金通委度 이날 通貨政策方向 議決文을 통해 “對內外 與件의 不確實性이 常存하고 있으나 國內經濟가 回復勢를 持續하고 物價가 相當期間 目標水準을 上廻할 것으로 豫想되므로, 앞으로 通貨政策의 緩和 程度를 適切히 調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銀行圈 貸出金利 上昇勢는 한동안 持續될 것으로 보인다. 貸出金利는 準據金利인 市場金利에 加算金利를 더한 값이다. 市場金利는 基準金利에 先行한다. 中央銀行의 基準金利 引上 時點보다 貸出金利가 더 빠르게 오른다는 意味다.

業界에선 年內 固定型 住擔貸 最高金利가 7%를 거뜬히 넘길 것이란 觀測이 나온다. 市中銀行 關係者는 “이番 金通委에서 韓銀이 基準金利를 올리지 않을 것이란 觀測도 많았던 만큼, 現在 市場金利엔 이番 基準金利 引上 可能性이 모두 反映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繼續해서 市場金利가 오를 수밖에 없는 狀況”이라고 말했다.

韓國銀行에 따르면 金利 上昇에 따라 利子 負擔이 커지는 變動金利 貸出 借主는 2月末 基準 全體의 76.5%다. 10名 中 約 7名은 利子 負擔이 커진다는 意味다. 韓銀 推算으로 基準金利가 0.25%p 引上될 때마다 家計의 利子負擔은 2兆9000億원씩 늘어난다.

한便 基準金利가 引上됨에 따라 銀行圈은 預·積金 等 受信金利 引上을 檢討하고 있다. 通常 銀行들은 基準金利 引上幅만큼 受信金利를 올린다. 다만 尹錫悅 大統領 當選人이 銀行圈 ‘預貸金利差 週期的 公示 制度’를 導入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引上幅을 더 높일 可能性도 排除할 수 없다. 銀行 關係者는 “언제 얼마나 올릴지는 內部的으로 協議 中”이라고 說明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