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U+의 決斷… “원내비 끊고 카카오내비로 서비스”|東亞日報

LGU+의 決斷… “원내비 끊고 카카오내비로 서비스”

  • 東亞日報
  • 入力 2019年 11月 13日 03時 00分


코멘트

SK텔레콤의 T맵에 對抗해 2017年 KT와 만든 원내비 終了
카카오와 U+카카오내비 出市… 원내비 加入者 170萬名中
60萬名 U+카카오내비로 옮길듯… KT는 “원내비 서비스 繼續할 것”


LG유플러스_ KT와 共同으로 서비스하던 ‘원내비’를 終了하고 ‘카카오내비’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바꾼다고 12日 밝혔다. LG유플러스_ 카카오가 이날 ‘U+카카오내비’를 出市하면서 SK텔레콤의 T맵에 對抗해 2017年 두 移通社가 共同으로 만든 원내비는 KT만의 서비스로 남게 됐다.

現在 모바일 내비게이션은 T맵이 約 1200萬 名의 月刊實使用者(MAU)를 保有하며 카카오내비(藥 400萬 名)와 원내비(藥 100萬 名)를 크게 앞서고 있다. 累積 加入者 規模도 T맵 約 1800萬 名, 카카오내비 約 1600萬 名, 원내비 約 170萬 名 巡이다. 원내비의 加入者 中 LG유플러스 加入者 約 60萬 名이 이番에 出市된 U+카카오내비로 移動할 것으로 보인다. 事實上 T맵과 카카오내비의 兩强 構圖다. 하지만 KT는 “앞으로도 원내비를 통해 革新的인 서비스를 持續的으로 提供할 計劃”이라고 말했다.

2002年 SK텔레콤 ‘네이트 드라이브’로 世上에 첫선을 보인 모바일 내비게이션은 單純히 消費者에게 길 案內를 提供하는 서비스 次元으로 여기면 誤算이다. 車輛 走行 빅데이터를 蒐集하고, 나아가 未來型 自律走行 서비스를 開發하기 위한 核心 基盤이 되는 플랫폼으로 꼽힌다. 情報技術(IT) 企業들은 人工知能(AI)을 비롯한 最新 技術을 내비에 椄木하며 使用者를 끌어오기 위한 競爭을 벌이고 있다.

모바일 내비게이션에서 利用者 規模가 重要한 건 利用者가 많을수록 더 正確한 情報를 提供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蓄積된 데이터와 現在 走行 中인 내비게이션 使用者의 데이터가 混合돼 ‘가장 빠른 經路’와 ‘到着 豫想 時間’ 等의 情報를 提供하는 方式을 쓴다. SKT 關係者는 “蓄積된 데이터量의 ‘제곱 水準’에 比例해 더 精巧한 알고리즘으로 빠른 길을 案內할 수 있다”며 “使用者들의 累積된 交通 데이터가 많을수록 交通 滯症 없는 더 빠른 길 案內가 쉬워진다”고 說明햇다.

데이터의 規模만큼 重要한 건 데이터 蒐集의 精巧함과 이를 分析하는 技術力이다. 交通情報는 衛星位置確認시스템(GPS)을 통해 蒐集되는데, 測定 單位가 작을수록 더 正確한 情報를 담는다. 假令 1km 單位로 交通情報를 把握하는 境遇, 區間 내 運行速度 偏差가 클 수 있지만 100m 單位로 把握하면 200, 300m 앞의 停滯區間도 避할 수 있게 되는 式이다.

韓國科學技術硏究院(KIST)과 카카오모빌리티는 LTE 信號를 基盤으로 車輛의 情報를 蒐集하는 技術을 이르면 年末 내놓을 豫定이다. 카카오모빌리티 關係者는 “GPS는 高架道路나 地下, 高層建物 사이에서는 信號가 不正確해 位置 正確度가 낮은 限界가 있어 이를 補完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交通情報 데이터를 分析하는 ‘經路 推薦 알고리즘’은 내비게이션 運營社들의 核心 營業祕密로 꼽힌다. AI 技術인 머신러닝(機械學習)을 비롯한 各 企業의 技術力이 總動員된다.

모바일 내비게이션은 가까운 未來에는 사람이 아닌 自律走行車의 運行을 이끄는 役割도 맡게 될 것으로 展望된다. 自動車가 스스로 運行하려면 길의 位置나 路面의 障礙物, 信號를 正確하게 認識해야 하는 것은 勿論이고 가장 安全하고 效率的인 經路를 찾는 것도 重要하다. 구글, 네이버 等 ‘인터넷 恐龍’들이 精密한 指導 서비스에 내비게이션을 얹어 서비스하는 것도 自律走行 플랫폼으로서의 活用을 念頭에 둔 것이다.

황태호 記者 taeho@donga.com
#lg유플러스 #원내비 #카카오내비 #u+카카오내비 #모바일 내비게이션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