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섬上에 따라잡힌 소니… 緦麻 社長은 日 構造調整을 외친다”|동아일보

“섬上에 따라잡힌 소니… 緦麻 社長은 日 構造調整을 외친다”

  • 東亞日報
  • 入力 2012年 4月 21日 03時 00分


코멘트

■ 日 人氣漫畫 ‘緦麻 시리즈’ 著者 히로카네 겐詩가 보는 韓國과 日本

히로카네 겐시 씨의 작업실은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방대한 책과 사진 자료로 가득차 있다. 오른쪽은 히로카네 씨가 동아일보 독자들에게 보낸 사인과 메시지. ‘동아일보 독자 여러분 건강하세요’라고 쓰여 있다.
히로카네 겐詩 氏의 作業室은 발 디딜 틈이 없을 程度로 厖大한 冊과 寫眞 資料로 가득차 있다. 오른쪽은 히로카네 氏가 동아일보 讀者들에게 보낸 死因과 메시지. ‘동아일보 讀者 여러분 健康하세요’라고 쓰여 있다.
“이제 日本 企業들이 製造業 世界 1位라는 名聲을 되찾기는 힘들 겁니다. 새로운 企業戰略이 必要하지만 韓國 企業들 때문에 좀처럼 餘裕가 없습니다.”

日本의 人氣 企業漫畫 ‘緦麻 시리즈’의 著者 히로카네 겐詩(弘兼憲史·64) 氏가 바라보는 日本의 未來는 밝지 않았다. 그는 지난해 소니 파나소닉 等 日本 電氣電子企業의 史上 最惡의 赤字에 對해 “잘나가던 鄕愁에 젖어 오랫동안 內需市場에 安住해온 業報”라고 指摘했다.

인터뷰를 하기 위해 11日 도쿄(東京) 네리마(練馬) 區에 있는 히로카네 氏의 作業室을 찾았을 때 100m² 남짓한 아파트를 改造해 만든 作業室에는 補助漫畫作家(어시스턴트) 4名이 바쁘게 背景그림을 그리고 있었다. 마감을 하느라 10餘 分이 지나 나타난 그는 “現在 ‘緦麻 社長 便’ 外에도 連載하고 있는 漫畫가 두세 篇 더 있다. 一週日 내내 마감의 連續”이라며 웃었다.

日本에서 緦麻 社長의 人氣는 實存人物들은 누릴 수 없는 水準이다. 아사히신문 等 日本 主要 新聞은 2008年 4月 1日 漫畫 속 主人公 緦麻 專務가 下쓰시바전산과 고요電氣가 合倂해 誕生한 下쓰시바·고요홀딩스의 社長에 올랐다고 大大的으로 報道했다. 히로카네 氏의 故鄕이자 緦麻 社長의 故鄕인 日本 南部地域의 야마구치(山口) 縣 이와쿠니(巖國) 市에서는 緦麻 社長 就任 祝賀 플래카드를 걸기도 했다.

―29年째 連載하고 있는 市마 시리즈의 人氣 祕訣은 무엇인가.

“大槪 코믹漫畫는 엔터테인먼트가 100%지만 主人公이 新入社員에서 課長 部長 任員을 거쳐 社長이 되는 緦麻 시리즈는 재미와 情報가 折半씩 들어가 있다. 이 때문에 取材도 꼼꼼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스토리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新聞과 書籍 雜誌 TV를 닥치는 대로 본다. 特히 電氣電子 企業 關聯 情報를 빠짐없이 모으고 있다. 最近에는 삼성전자가 하도 잘나가서 ‘三星의 祕密’이라는 冊도 有心히 읽었다.”

그의 作業室은 圖書館을 彷彿케 할 程度로 다양한 冊과 寫眞 파일이 꽂혀 있다. 그는 “漫畫의 背景을 事實的으로 그려 넣기 위해 外國에 直接 가 風景寫眞을 잔뜩 찍어온다”며 “中國 篇을 쓸 때는 상하이에만 7, 8回 다녀왔다”고 했다.

―緦麻 社長이 就任 以後 相當히 危機感을 느끼고 있다.

“外國에 나갈 때마다 ‘이제 日本은 끝인가’라는 不安感이 떠나질 않는다. 讀者들에게 ‘큰일났다’는 메시지를 傳達해야 한다는 義務感이 든다.”

―讀者 中에는 緦麻 氏가 社長이 되더니 構造調整만 하려 하고 課長 時節 가지고 있던 信念과 所信이 없어졌다는 批判을 하기도 한다.

“關聯 企業이 30萬 個나 되는 巨大 그룹의 社長이 내려야 할 決斷과 한 部署의 일만 생각하면 되는 課長과 部長의 判斷은 다를 수밖에 없다. 構造調整 안 하고 厖大한 系列社도 그대로 維持하면서 會社가 잘되는 모습을 ‘漫畫처럼’ 그릴 수도 있다. 그러나 現實世界는 犧牲 없이 얻을 수 있는 게 없지 않나.”

―2011 會計年度에 史上 最惡의 赤字를 낸 소니와 파나소닉 샤프 等 日本 電子企業이 緦麻 社長을 배워야 한다는 뜻인가.

“日本 電子企業들은 只今까지 TV 販賣에 過度하게 依存해 온 側面이 있다. 世界에 TV를 가장 많이 판다는 교만함에 빠져 安住해 왔다. 그러나 韓國이라는 競爭者가 뛰어들면서 板이 바뀌었다. 뒤늦게 精神을 차리고 海外로 눈을 돌리고 있지만 이미 韓國 製品이 市場을 차지해 버렸다. 韓國 製品의 水準은 日本과 對等해진 反面 價格競爭力이나 디자인은 오히려 앞선다. 內需市場이 너무 작다는 걸 안 韓國 企業들은 일찌감치 外國으로 나가 現地化에 成功했다.”

히로카네 氏는 韓國이 美國 유럽聯合(EU) 等 巨大 經濟圈과 自由貿易協定(FTA)을 締結한 事例를 들면서 “韓國은 政治的으로도 밀어붙이는 힘이 있다”고 强調했다. 그는 “農業에 負擔이 되리라는 것을 알면서도 國家의 未來를 위해 必要하니까 政治가 決斷을 내리지 않았나”라며 “아무것도 決定을 내리지 못하는 日本 政治를 보면 韓國이 부럽다”고 말했다.

―韓國의 未來는 어떻게 될 것 같은가.

“日本 製造業은 이제 限界에 逢着했다. 하지만 日本이 韓國에 자리를 내준 것처럼 韓國 亦是 中國에 밀려날 수밖에 없다. 時間이 많이 남지 않았다. 只今 日本이 겪고 있는 低出産 高齡化 問題, 高齡者 福祉를 위한 財政 負擔 增加 等 諸般 問題들은 早晩間 韓國도 똑같이 겪을 수밖에 없다. 韓國은 日本 事例를 꼼꼼하게 硏究할 必要가 있다.”

―緦麻 시리즈가 ‘段카이(團塊) 世代에 對한 熱烈한 應援歌’라는 評價처럼 緦麻 社長은 ‘段카이 世代’의 表象이다(단카이 世代는 第2次 世界大戰 直後인 1947∼49年에 태어난 戰後 베이비부머 世代로 日本 全體 人口의 5%가 넘는 680萬 名에 이른다).

“戰後 日本 社會는 段카이 世代의 人生 사이클과 正確히 一致한다. 그들이 20, 30代인 1960, 70年代에 日本은 高度成長을 이뤘고, 經濟的 安定期인 40代(1980年代)에 버블이 끼기 始作해 50代(1990年代)가 되자 日本은 長期 不況이라는 病에 걸렸다. 段카이 世代의 隱退가 始作되는 只今 日本은 經濟發展의 頂點을 지나 ‘下山’ 中이라고 할 수 있다.”

1947年生으로 自身도 段카이 世代인 히로카네 氏는 앞으로 段카이 世代의 社會的 役割이 重要하다고 했다. 많은 惠澤을 받은 만큼 이제는 社會에 還元해야 한다는 것이다.

“段카이 世代는 人口가 많다 보니 日本 社會에서 影響力도 컸다. 時代的으로 스포트라이트를 가장 많이 받은 ‘惠澤 받은 世代’다. 그러나 段카이 世代가 너무 많이 누리다 보니 後世代들은 相對的으로 損害를 봤다. 段카이 世代는 이제 積極的으로 消費를 해줘야 한다. 經濟活性化를 위해 財産의 70%를 60代 안에 쓰자는 캠페인이라도 벌여야 하지 않을까 싶다.”

―緦麻 社長도 64歲이니 早晩間 隱退할 때가 됐다. 앞으로 어떤 일을 하게 되나.

“나도 모른다. 出版社가 連載 中斷을 決定하면 하루아침에 癌에 걸려서 죽을 수도 있고….(웃음) 아마 緦麻 社長은 早晩間 다른 日本 企業처럼 經營 一線에서 손을 떼고 會長에 앉게 될 것이다. 只今 緦麻 社長은 日本 企業의 國際競爭力을 어떻게 키워야 할지 深刻하게 苦悶하고 있다.”
:: 緦麻 시리즈 ::

1983年부터 日本 漫畫週刊誌 ‘모닝’에 連載되고 있는 企業漫畫. 主人公 緦麻 고사쿠(島耕作)가 日本 電子會社인 下쓰시바전산(파나소닉이 모델)에 新入社員으로 入社해 社長에 오르는 過程을 그렸다. 漫畫 속에서 韓國 企業인 三星과 LG가 各各 섬賞과 PG로 紹介되고 있다. 시마 科長, 部長, 任員, 常務, 專務, 社長便 等 總 69卷의 單行本이 出版됐으며 3900萬 卷이 팔렸다.

도쿄=김창원 特派員 changkim@donga.com
#緦麻 시리즈 #日本 企業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