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小企業은 싫어요” 統計로 본 2011 韓國社會|東亞日報

“中小企業은 싫어요” 統計로 본 2011 韓國社會

  • 東亞日報
  • 入力 2011年 12月 15日 19時 54分


코멘트
서울 강북구 수유동 A高校 2學年 김유림 量(17)의 將來希望은 '9級 公務員'이다. 全校 10等 안에 들 程度로 成績이 좋고, 特히 英語를 잘 하지만 꿈은 素朴하다. 金 孃은 "會社에서 명예퇴직한 아빠가 安定되고 1等 新婦감人 公務員이 最高라고 하신다"며 "父母님으로부터 一般 企業, 特히 中小企業에 對해 안 좋은 얘기를 하도 많이 들어 그 쪽은 생각도 안 하고 있다"고 말했다.

政府가 中小企業 育成을 통해 靑年 일자리를 創出하겠다고 野心차게 밝혔지만 靑年들의 認識은 如前히 차가운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靑年 10名 中 4名은 選好하는 職場으로 國家機關과 公企業을 꼽았고 中小企業을 選好한다고 應答한 比率은 2.3%에 머물렀다. 中小企業 育成을 통한 일자리 創出과 함께 中小企業에 對한 認識 改善이 時急한 實情이다.

●中小企業 選好度, 公務員의 20分의 1

統計廳이 15日 發表한 2011 社會調査에 따르면 13~29歲 靑年에게 가장 選好하는 職場을 물어본 結果, 國家機關(28.7%), 大企業(21.6%), 公企業(15.6%), 專門職企業(9.1%) 順으로 많았다. 反面 中小企業(2.3%)과 벤처企業(3%)은 選好度가 가장 낮았다. 일자리가 가장 많고 政府가 集中 支援하겠다는 中企와 벤처企業을 靑年들은 徹底하게 外面하고 있었다.

靑年들의 職業觀을 보면 왜 中小 및 벤처企業이 人氣가 없는지를 알 수 있다. 職業을 選擇할 때 가장 重要하게 考慮하는 要因으로는 '輸入'(38.3%)과 '安定性'(29.2%)이 꼽혔다. 發展性 및 將來性이라고 答한 比率은 6%에 不過했다. 就業者 中 職場에 對한 不安感을 느끼느냐는 質問에는 '그렇다'가 59.9%에 이르렀다. 다시 말해 政府가 아무리 中小企業이 좋다고 추켜 세워도, 俸給이 낮고 雇傭이 不安한 곳에는 가기 싫다는 뜻이다. 백필규 中小企業硏究院 硏究委員은 "中小企業 스스로 會社의 未來 비전을 確實하게 펼쳐 보여 求職者나 職員이 일할 만한 職場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國民 中 45% "나는 下層民이다"

家口主 1萬7000 名에게 自身의 社會經濟的 地位가 어느 水準인 지를 묻는 質問에 上層이라 應答한 比率은 1.9%에 그친 反面 下層이라고 答한 사람은 45.3%였다. 같은 質問을 2009年에 했을 때는 各各 2.7%, 42.4%였다. 上層이라고 느낀 比重은 줄어든 反面 下層이라고 생각하는 家口主는 더 많아졌다. 特히 女性 家口主의 61%가 自身을 下層이라고 했다.

60歲 以上 老人들에게 어떤 點이 어렵냐고 묻자 40.6%는 經濟的인 어려움을, 37.8%는 健康 問題를 各各 꼽았다. 子女와의 同居 與否를 묻는 質問에는 66.6%가 따로 산다고 答했다. 따로 사는 理由로는 '따로 사는 것이 便해서'(33.3%), '獨立生活이 可能해서'(21.8%), '子女에게 負擔이 될까봐'(21.6%) 순이 꼽혔다. 앞으로 子女와 함께 살고 싶은지 與否에 對해서는 71%가 '따로 살고 싶다'고 밝혔다.

障礙人 差別에 對한 設問調査에서는 '나는 問題없는데 社會가 問題 있다'는 結果가 나와 눈길을 끌었다. 우리 社會의 障礙人 差別에 對해서는 72.3%가 '甚하다'고 答했지만, 설문자 本人의 障礙人 差別程度에 對해 묻자 '없다'는 應答이 86.1%에 達했다. 非障礙人이 障礙人을 考慮해 더 配慮해야 한다는 應答도 66.8%에 이르렀고, 집 近處 障礙人 施設이 들어서는 것에는 93.8%가 反對하지 않는다고 答했다.

이상훈 記者 januar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