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正去來委員長 “出冢弟 例外對象 7月前 擴大 檢討”|東亞日報

公正去來委員長 “出冢弟 例外對象 7月前 擴大 檢討”

  • 入力 2006年 4月 26日 03時 00分


코멘트
권오승 공정거래위원장(오른쪽에서 세 번째)이 취임 한 달을 맞아 25일 처음으로 전국경제인연합회 강신호 회장(오른쪽에서 네 번째) 등 재계 인사들과 만나 출자총액제한제도 등 대기업 정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연합뉴스
권오승 公正去來委員長(오른쪽에서 세 番째)李 就任 한 달을 맞아 25日 처음으로 全國經濟人聯合會 강신호 會長(오른쪽에서 네 番째) 等 財界 人士들과 만나 出資總額制限制度 等 大企業 政策에 對해 이야기를 나눴다. 聯合뉴스
“저에 對해 親企業이냐 反企業이냐 하는 얘기가 많은데 (그보다는) 親競爭的, 親市場的이라고 생각합니다. 親競爭的, 親市場的인 企業은 저를 親企業的이라고 생각할 것입니다.”

就任 한 달을 맞아 25日 財界와 첫 만남을 가진 권오승 公正去來委員長은 人事말에서 親企業, 反企業 이미지 論爭을 避해가려고 했다.

代身 이날 財界가 要求한 一部 制度改善 事項의 檢討를 約束해 앞으로 大企業 政策에서 多少 悠然한 姿勢를 取하지 않겠느냐는 展望을 낳게 했다.

權 委員長은 이날 서울 中區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全國經濟人聯合會와의 懇談會에서 “財界가 要求하는 出資總額制限(出冢弟) 例外 擴大와 持株會社의 子會社 持分 要件 緩和를 제로베이스에서 檢討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出冢弟를 全面 再檢討할 ‘市場先進化 태스크포스(TF)’의 活動이 始作되는 7月 以前이라도 例外 對象을 擴大하는 方案을 檢討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全經聯은 이에 앞서 “TF에서 出冢弟를 再檢討하는 데 時間이 걸리는 만큼 이에 앞서 時急한 出冢弟 改善事項을 法 改正에 反映해 달라”고 要請했다.

時急한 改善事項으로는 △特殊目的會社(SPC) 出資에 對한 例外 認定 △社會間接資本(SOC) 出資에 對한 例外條項 擴大 △現在 5年인 外國人投資企業 例外認定 期間 廢止 等을 提示했다.

全經聯은 權 委員長에게 持株會社의 上場 子會社 持分 要件을 30%에서 20%로 낮춰 줄 것을 要請했으며 權 委員長은 肯定的으로 答辯했다.

강신호 全經聯 會長은 “企業의 投資活性化가 時急한 만큼 市場先進化 TF에서 出冢弟 廢止 等 大企業集團 政策의 根本的인 再檢討가 이뤄지기를 要請한다”고 말했다.

一部에서 憂慮하는 出冢弟 廢止 後의 副作用은 社外理事制度, 證券集團訴訟制度 等이 導入돼 안팎에서 監視裝置가 있으므로 充分히 解消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對해 權 委員長은 確答을 하지 않은 채 “7月부터 稼動되는 TF에서 檢討할 것”이라며 “무엇보다 競爭秩序가 確立될 수 있도록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市場競爭에 對해 여러 次例 强調하면서 “國民經濟 比重이 큰 大型 引受合倂(M&A)을 中心으로 競爭制限性 審査를 强化하겠다”고 말했다.

硏鑽會가 끝난 뒤 姜 會長은 “財界의 立場을 充分히 傳達했고 公正委員長의 肯定的인 答辯을 얻었다”고 만족해했다. 懇談會에는 財界에서 姜 會長과 최도석 三星電子 社長, 김신배 SK텔레콤 社長 等 25名의 最高經營者(CEO)가 參席했다.

박현진 記者 witness@donga.com

박정훈 記者 sunshad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