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물고… 짓고…‘옥탑방의 運命’…團束避하기 숨바꼭질|東亞日報

허물고… 짓고…‘옥탑방의 運命’…團束避하기 숨바꼭질

  • 入力 2003年 7月 30日 18時 35分


코멘트
대부분이 불법건축물인 옥탑방은 서울에서 한 해 3000∼5000여개가 새로 지어지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원대연기자
大部分이 不法建築物人 屋塔房은 서울에서 한 해 3000∼5000餘個가 새로 지어지는 것으로 推算되고 있다. -원臺演技者
25日 午前 서울 송파구 방이동 多家口住宅 新築現場.

아침부터 갑자기 들이닥친 區廳 住宅과 所屬 職員들이 쇠망치로 1層 駐車場에 增築한 俗稱 ‘階段房’의 壁을 허물기 始作했다. 建物主 金某氏(54·女)가 屋塔房 階段房 等을 不法 增築했기 때문이었다.

區廳 職員들은 2週日 안으로 自進 撤去할 것을 命令하는 ‘違法建築物 整備 通告書’를 던져주고는 떠났다.

金氏는 “屋塔房 等 不法建築物이 例外 없이 團束된다면 建物主가 지을 엄두를 내겠는가”라며 “團束당하는 사람들은 人事를 안 해서 團束됐다는 생각을 갖는 境遇가 많다”고 말했다.

▽恣意的 團束=지난해 서울 서대문구 自身의 집에 屋塔房을 新築한 李某氏(34)는 “新築하면서 100萬∼200萬원을 區廳 職員에게 건넸다”며 “分期別로 一定額을 提供하지 않으면 ‘不法 建築物’이라는 理由로 더 많은 罰金을 맞게 된다”고 말했다.

建築業者 金某氏(42)도 “定期的으로 人事를 하지 않으면 相當한 罰金과 團束 對象이 된다”며 “罰金을 내도 貰를 주면 利益이 되기 때문에 建物主의 不法 增改築은 사라지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建築業者들은 서울 市內에서 年間 不法으로 만들어지는 屋塔房은 大略 3000∼5000個에 이를 것으로 推算한다.

▽허술한 制度=現行 建築物에 關한 使用承認制度는 建物 內外部에 對한 檢査는 建築監理社가 맡고 區廳은 書類審査만 하도록 돼 있다.

따라서 大部分의 建物主들은 一旦 適法하게 建物을 新築해 使用承認을 받은 後 任意로 屋塔房 等 不法 建築物을 짓거나 아니면 아예 建築監理사와 짜고 書類上으로만 合法的인 建物을 만들어 使用承認을 받기도 한다.

한 區廳 建築과 關係者는 “建物主로부터 施工權을 따내야 하는 監理使와 施工社의 共生關係를 勘案하면 監理使가 不法 建築을 摘發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說明했다.

▽管理監督의 虛點=屋塔房 같은 不法 建築物을 區廳이 摘發하면 自進撤去를 指示하고 不應하면 6個月마다 ‘履行强制金’을 賦課한다. 問題는 大部分의 區廳들이 6個月에 한 番씩 標本地域을 選定해 點檢을 하거나 民願이 提起되지 않는 限 不法 建築物에 對한 一齊 團束 같은 行爲가 거의 없다는 點.

이 때문에 ‘財數 없게’ 摘發된 建物主들은 撤去를 하느니 擔當 公務員을 買收하는 方法을 擇하게 된다는 것이다.

지난해 서울市內 各 區廳이 不法 建築物에 賦課한 罰金은 100億원臺. 적게는 2000萬원(성동구)에서부터 많게는 11億餘원(동대문구)에 이르기까지 偏差가 크지만 平均的으로는 3億∼4億원의 財政 收入을 區廳에 안겨주고 있다.

多世帶住宅을 主로 建築하는 崔某氏(60)는 “不法 建築으로 利得을 보려는 建物主와 허술한 制度, 管理監督의 虛點이 이 같은 構造的인 非理를 낳고 있다”고 말했다.

김재영記者 jay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