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팝 다룬 映畫 準備… BTS 出演해주면 榮光”|東亞日報

“K팝 다룬 映畫 準備… BTS 出演해주면 榮光”

  • 東亞日報
  • 入力 2022年 8月 30日 03時 00分


코멘트

윤제균 監督 “來年 本格 撮影 突入”
뉴욕行 보이그룹 텍사스 漂流記
‘인터스텔라’ 옵스트가 製作맡아
“孫女따라 K팝 팬이 됐다 말해”

할리우드 자본으로 만들어지는 K팝 영화를 연출하기로 한 윤제균 감독. CJ ENM 제공
할리우드 資本으로 만들어지는 K팝 映畫를 演出하기로 한 윤제균 監督. CJ ENM 提供
“K팝 마니아인 할리우드의 有名 製作者와 함께 만드는 K팝 이야기입니다.”

20日(現地 時間) 美國 로스앤젤레스(LA)에서 만난 윤제균 監督은 “할리우드와 손을 잡고 만드는 映畫 ‘K팝: 로스트 인 아메리카’가 來年 本格的인 撮影에 들어간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날 열린 글로벌 韓流 祝祭 ‘케이콘 2022 LA’ 參席次 LA를 찾았다.

映畫 ‘K팝: 로스트 인 아메리카’는 美國 데뷔를 앞둔 K팝 보이그룹이 뉴욕에 가려다 텍사스 시골마을에 漂流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할리우드 映畫 ‘인터스텔라’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 等을 製作한 린다 옵스트가 製作을 맡아 注目받고 있다. ‘金髮이 너무해’의 脚色으로 有名한 커스틴 스미스도 시나리오에 參與했다.

尹 監督은 各各 1000萬 觀客을 動員한 映畫 ‘海雲臺’와 ‘國際市場’을 만든 興行 監督이다. 그는 “直前 作品이 安重根 義士가 主人公인 ‘英雄’이었다. 最近 무겁고 眞摯한 作品을 하다 보니 재미있는 映畫가 그리웠다”며 “이番 K팝 映畫 시나리오는 文化的 衝突에서 오는 狀況 코미디가 特히 재미있다. 元來 코미디 監督 出身이라 初心으로 돌아간 듯 설렌다”고 말했다.

이番 映畫는 李美卿 CJ그룹 副會長이 平素 親分이 있는 옵스트와 함께 構想해 尹 監督에게 演出을 提案했다. 尹 監督은 “옵스트의 孫女가 K팝 마니아라 本人도 K팝 팬이 됐다고 한다”며 “製作者가 音樂에 造詣가 깊어 이미 콘셉트를 定한 狀態로 世界的인 音樂 프로듀서를 起用하겠다는 意志가 確固하다”고 말했다. 이어 “옵스트가 直接 參與하는 시나리오 會議가 매우 熾烈하게 進行된다. 英語로 쓴 韓國人들의 大使를 내가 直接 韓國語로 바꾸고 있는데 文化的 差異 때문에 유머 코드가 달라 끊임없이 疏通하고 있다”고 했다.

映畫 속 K팝 보이그룹은 5人組다. 멤버로 그룹 아스트로의 멤버이자 俳優인 차은우가 캐스팅 物望에 오르고 있다. 이 外에 할리우드 俳優 레벨 윌슨과 찰스 멜턴은 캐스팅이 確定됐다.

尹 監督은 “映畫 德分에 K팝에 對해 工夫하고 美國에서 經驗해보니 우리 생각보다 K팝이 더 人氣 있다는 것에 놀랐다”며 過去 事務室이 있던 서울 청담동 빌딩 地下에 當時 데뷔 初期였던 BTS의 演習室이 있었던 記憶이 떠올랐다고 했다. 밤낮으로 熱心히 練習하는 모습이 印象的이었다는 것이다. ‘映畫 속 K팝 그룹 멤버로 BTS를 涉外할 생각은 없느냐’는 質問에 그는 “그래 주면 너무나 큰 榮光일 것”이라며 웃었다.

尹 監督은 “世界的으로 注目받는 K팝을 다루고 있는 만큼 世界 어디에 내놔도 遜色없는 映畫를 만들겠다는 使命感으로 作品에 臨하고 있다”고 말했다.


뉴욕=김현수 特派員 kimhs@donga.com
#윤제균 #映畫 #k팝 #k팝: 로스트 인 아메리카 #bts
  • 좋아요
    0
  • 슬퍼요
    0
  • 火나요
    0
  • 推薦해요

댓글 0

只今 뜨는 뉴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교육부 고전문헌국역지원사업의 지원으로 구축되었습니다.
- "漢字路" 한글한자자동변환 서비스는 전통문화연구회 "울산대학교한국어처리연구실 옥철영(IT융합전공)교수팀"에서 개발한 한글한자자동변환기를 바탕하여 지속적으로 공동 연구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 현재 고유명사(인명, 지명등)을 비롯한 여러 변환오류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를 인지하시고 다른 곳에서 인용시 한자 변환 결과를 한번 더 검토하시고 사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변환오류 및 건의,문의사항은 juntong@juntong.or.kr로 메일로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opyright ⓒ 2020 By '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 All Rights reserved.
 한국   대만   중국   일본